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Clinical Application of Guibi-tang for Obstetrics and Gynecological Disease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여성의학과에서의 귀비탕(歸脾湯) 임상 적용 사례 분석 연구

  • Park, Jang-Kyung (Dongguk Univ.-Seoul,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
  • Kim, Dong-Il (Dept. of Ob&Gy, Dongguk Univ. Ilsan Oriental Hospital)
  • 박장경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 김동일 (동국대 일산한방병원 여성의학과)
  • Received : 2011.04.30
  • Accepted : 2011.05.11
  • Published : 2011.05.28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linical usage of Guibi-tang based on actual applicat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Guibi-tang-gami-bang and what herbal medicines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ir chief complaint from January 1st, 2007 to August 31th, 2008.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ho were prescribed Guibi-tang for obstetrics and gynecological diseases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was 721. Guibi-tang has been used to treat menstrual irregularity, postpartum general weakness, postpartum pantalgia, perimenopausal symptoms and postmenopausal syndrome most frequently. And Guibi-tang has been widely used in obstetric and gynecologic diseases such as general weakness after abortion or gynecological surgery, pelvic pain, dysmenorrhea, uterine myoma, endometriosis, infertility, premenstrual syndrome, urinary incontinence and breast disease. Conclusions: Guibi-tang can be used in obstetric and gynecologic diseases as described in classical oriental medicine literatures, and it is necessary to research clinical usage of Guibi-tang throug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eywords

References

  1. 嚴用和. 四庫全書 中 濟生方 卷七 ,失血, 中國醫學大系11. 서울:도서출판 정담 영인. 1986:241.
  2. 임동욱, 정진홍, 유동열. 부인과 질환에 활용된 歸脾湯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8;11(2):165-77.
  3. 위석, 이승준, 유심근. 加味歸脾湯이 생쥐에 Immobilization Stress부하 후혈중 Corticosterone과 Histamine 함량 및 면역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94-110.
  4. 최보인, 정진홍. 갱년기질환에 활용되고 있는 加味歸脾湯의 항스트레스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201-12.
  5. 조광훈, 김연섭, 정대규. 歸脾湯과 二神交濟丹이 구속 스트레스 생쥐의 뇌부위별 monoamines 함량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1):111-22.
  6. 은재순, 송정모. 歸脾湯이 stress부하후 혈중 호르몬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1):172-8.
  7. 이택렬 등. 歸脾湯이 C57BL/6 Mouse에 stress 부하 후 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5):1208-15.
  8. 권혁란 등. 歸脾湯加減方이 구속 stress 유발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5;19(2):99-114.
  9. 김상호 등. 화병과 주요우울장애가 병발한 근위축성측삭경화증 환자 1예 증례보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2):159-69.
  10. 이지인 등. 만성두통을 주소로 하는 화병 환자 1례 증례보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2):221-8.
  11. 임정화 등. 독서요법과 뉴로피드백을 시행한 心脾兩虛형 울증 환자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7(2):187-98.
  12. 박세환 등. 불면과 신체증상을 호소하는 화병 환자에게 한의학적 치료와 마음챙김명상을 병행하여 호전된 1례.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08;19(3):231-44.
  13. 김은정 등. 加減歸脾湯의 진정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2;13(2):195-211.
  14. 김지훈 등.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공황장애 환자의 1례 보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8;19(2):251-63.
  15. 석선희 등. 무력감과 불안정한 혈압을 호소하는 공황장애 환자에게 한방치료 및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하여 호전된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7;18(3):193-207.
  16. 김경화 등. 陽虛不眠症환자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1):121-6.
  17. 고영탁, 심상민, 김태수. 증류한약과 상담치료로 호전된 불면증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7(2):217-25.
  18. 송일헌 등. 급성 뇌경색을 동반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歸脾湯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546-53.
  19. 정학수 등. 여성 전환장애 환자 45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2):229-41.
  20. 김주호 등. 압박골절 후유증 관리 중 발생한 섬망 환자 1례 증례보고.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5;16(1):227-35.
  21. 이정아 등. Chronic mild stress로 유발된 우울증 모델 흰쥐에 대한 歸脾湯의 실험적 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1;12(1):123-35.
  22. 성우용 등. 우울증유발 흰쥐에 대한 歸脾湯의 항우울효과. 2002;13(2):121-47.
  23. 이정은 등. 갑상선종을 동반한 산후우울증 환자에 대한 한방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2):273-83.
  24. 임재환 등. 歸脾湯과 歸脾湯加味方의 항산화 효과 및 6-Hydroxydopamine에 대한 PC12 세포 보호효과 비교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1):1-20.
  25. 전희준 등. 歸脾湯이 Glutamate에 의한 성상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4;25(2):184-93.
  26. 강익현 등. 歸脾湯이 glutamate에 의한 c6 glial cell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1;22(4):45-57.
  27. 박선동 등. 歸脾湯및 그 구성약물군이 항산화효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지. 2001;16(2):11-27.
  28. 김동은 등. 일산화탄소 중독 후 발생된 지연성 뇌병증 환자의 치험 및 호전 1예. 대한한의학회지. 2001;22(3):169-78.
  29. 박찬원 등. 脾기능이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2;20(4):39-49.
  30. 이상룡, 최훈, 임종필. 加味歸脾湯이 알콜 중독된 흰쥐의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4):1050-3.
  31. 김락형, 송범용, 유경.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한방치료 3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4;15(1):239-46.
  32. 황주민 등. 加味歸脾湯이 환경호르몬에 의한 발기부전 및 염산 apomorphine의 penile erection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4):980-90.
  33. 이연경, 서일복, 이동녕. 歸脾湯이 Estradiol Valerate로 유도된 흰쥐의 다낭성 난소에 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60-74.
  34. 정연철 등. 歸脾湯이 자성생쥐의 생식능력과 Capase-3, MARK, MPG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3):13-34.
  35. 최창민 등. 加味歸脾湯이 백서의 배란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 방제학회지. 2003;11(2):111-24.
  36. 박인기, 김경준. 歸脾湯및 歸脾湯加味方의 지혈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16(1):63-75.
  37. 배상진 등. 복통을 동반한 崩漏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242-52.
  38. 김석중, 김동철, 백승희.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후유증으로 인한 혈변의 임상경과 보고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179-89.
  39. 김윤근 등. 歸脾湯加味方으로 치료한 經行吐血환자의 임상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3):224-31.
  40. 조준기 등. 알레르기성 자반증의 증례 보고 2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3):260-7.
  41. 김창훈, 연경진, 노석선. Henoch-Scholein Purpura 환자 치험 2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5;18(3):127-34.
  42. 김학재, 최준혁, 임성우. 스트레스와 에탄올로 유발된 mouse의 위점막 손상에 대한 歸脾湯의 예방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3;24(1):155-68.
  43. 조성희, 유동열. 歸脾湯및 歸脾湯加紫河車가 난소적출로 유발된 흰쥐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4):24-40.
  44. 조수인, 조성희, 진천식. 歸脾湯및 歸脾湯加紫河車추출물 투여로 인한 난소적출 흰쥐의 체중 및 지질대사 변화. 대한본초학회지. 2004;19(3):85-90.
  45. 박호순, 김혜정, 김윤범. 加味歸脾湯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2):48-58.
  46. 조석기, 정은아, 오승희, 배일영. 재발된 바르톨린선 낭종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1):224-30.
  47. 원호영 등. 한방정신요법으로 치료한 심인성 소아 유뇨 환자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6;17(2):209-15.
  48. 정달림, 홍승욱. 歸脾湯加味方복용 후호전된 양성 돌발성 체위성 현훈 환자 1례.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21(2):198-205.
  49. 박정한 등. 歸脾湯으로 호전된 뇌경색을 동반한 하지정맥류 환자 치험1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3):633-9.
  50. 김정훈 등. EBM 기반구축을 위한 歸脾湯연구 문헌 분석.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9;20(3):205-16.
  51. 이준경 등. EBM 구축을 위한 雙和湯의 실험 연구 문헌 분석. 대한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8;14(3):41-7.
  52. 이준경 등. EBM 구축을 위한 六味地黃湯문헌 분석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1):15-26.
  53. 김정훈 등. EBM 기반구축을 위한 四物湯연구 문헌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4):779-88.
  54. 마충제 등. EBM 기반 구축을 위한 八物湯문헌 연구 분석.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7;15(2):35-45.
  55. 이남헌 등. EBM기반 구축을 위한 五積散연구 논문 분석.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8;16(2):1-9.
  56. Twaddle 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Singapore Med J. 2005;46(12):681-6.
  57. 危亦林. 四庫全書中, 世醫得效方, 卷四, 健忘, 中國醫學大系11. 서울:도서출판 정담 영인. 1986:487.
  58. 薛己. 四庫全書, 薛氏醫案, 中, 內科摘要, 卷一, 各症方藥, 中國醫學大系31. 서울:도서출판 정담 영인. 1986:27.
  59.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135-226, 237-50, 267-81, 311-4, 331-63, 414-37.
  60. 허준. 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2002:362, 824-5.
  61. 황도연. 方藥合編. 서울:영림사. 2002:156.
  62. 이부균, 국윤범. 동의보감 중 소엽이 주약으로 배오된 방제의 활용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5;13(1):179-94.
  63. 송영림, 김동일, 이태균. hCG로 유도된 자궁근종세포와 자궁평활근세포의 증식에 대한 半枝蓮억제효과.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3):92-104.
  64. 정병문, 진천식. 자하거가 난소적출 백서의 성호르몬 및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103-17.

Cited by

  1. 과민성 방광 환자 치험 2례 vol.25, pp.1, 2012,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