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희선, 김숙남, 장순복 (1998). 기혼 여성의 성 만족. 대한 간호학회지, 28(1). 201-209.
- 고정애 (2004). 기혼여성의 성만족 및 일반적 의사소통과 성관련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권정혜. 채규만 (1998).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논문집.
- 김동석 (1988). 정관수술 수용자군과 비수용자군의 성기능 및 성만족도 비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영기, 한성열, 한민 (2008). 부부의 자존감 수준과 성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2), 103-119.
- 김요완 (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지식 수준의 성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용옥 (1991).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후 성생활 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윤미 (1996). 임부의 성생활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인숙 (1988). 부부간의 의사소통 유형 재차원에 따른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임영 (2002).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이 신혼기 부부의 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정옥, 박경규, 박순희, 안영희, 구향숙, 한동희, 전형미, 류도희, 박영숙, 이은경, 이현혜, 정복희, 김성희 (1996). 결혼과 가족. 서울: 학지사.
- 김진영 (2005). 기혼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효현 (1996). 성생활 만족도가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도시의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나은영, 민경환 (1998). 한국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4(1), 75-93.
- 문혜숙 (1994). 부부적응과 성적 적응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연구: 도시 중산층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박영숙, 신혜숙, 이은희, 장순복 (1999). 현대여성의 건강생활. 서울. 학지사.
- 방영희 (2001). 임신부부의 성태도와 성만족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서선영 (2001). 결혼초기 부부관계에서 남편과 아내가 지각하는 사랑과 성.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손영미, 김효창 (2009). 상호구성적 성지수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2), 241-267.
- 송성자, 정문자 (1998).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 양혜주 (1997). 혈액투석환자와 신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성생활 만족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양희란 (1993). 임신 부인의 성생활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가현 (1998). 성 문화와 심리. 서울 : 학지사.
- 윤진, 오경자, 이훈구, 정찬섭, 최정훈, 한종철 (1993). 인간행동의 심리적 이해. 서울: 범우사.
- 원효종 (1984). 부부간의 의사소통양식과 의사소통 불안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근후 (1999). 가족해체와 부부간 성윤리.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학술대회.
- 이민식 (1988). Derogatis 성 기능 검사의 표준화 예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영실 (1989). 도시 부인의 부부갈등 제 요인과 성생활 불만족의 정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윤수 (1998). 한국 여성의 성의식 및 성실태. 한국성의학연구소.
- 이정순 (1991). 부부간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 이홍식 (1987). 완전한 부부: 전문의가 쓴 알기쉽고 완벽한 성의학 백과. 서울: 오늘.
- 이혜진 (2004). 기혼 여성의 심리적 특성과 성기능간의 관련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임승락, 권정혜 (1998).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과 결혼생활 만족-성차, 요구입장 차이 및 성격특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1998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109-124.
- 장성숙 (2006). 한국문화에서의 부부상담: 현실역동 상담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특), 117-131.
- 장순복 (1989). 자궁절제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홍숙선 (2001). 기혼여성의 결혼만족: 관계 및 자율지향성과 성만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홍성묵 (2000). 사랑은 진할수록 아름답다. 서울: 명진출판.
- 황민혜, 고재홍 (2010). 부부간 결혼가치관 차이, 오해 및 부부갈등: 의사소통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79-800.
- Adams, B. N. (1980). The family(3rd ed) Chicago: Rand Mcnally Colledge Publishing Company
- Bell, R. B. & Bell, P. L. (1972). Sexual satisfaction among marriged woman. Medical Ascepts of Human Sexuality, 6, 136-144
- Brentton, M. (1994). 성 커뮤니케이션 소프트 [Sex communication soft]. (이민섭 역). 서울: 한이름. (원전은 1991년에 출판)
- Brommel, B, J. & Galvin. (1991).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이재연, 최영희 역). 서울: 형설출판사. (원전은 1988년에 출판)
- Conrad, H. & Milburn, M. (2001). Sexual Intelligence. NY: Three Rivers Press.
- Derogatis, L. R. (1980) Psychological assessment of psychosexual functioning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3(1), 113-131.
- Donnelly, D. (1993). Sexually inactive marriages. Journal of Sex Research, 30, 171-179.
- Gilbert, S. (1976) Empirical and theoretical extentions of self-disclosure. exploration in interpersonal commnication. Gerald Miller, (Ed.).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 197-215
- Gottman, J. M., Porterfield, A. L. (1981).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nonverbal and the family, (vol. 43), 818.
- Hansen, J. E, Schuldt, W. J. (1984). Marital self-disclosure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 923.
- Hawkins, J. L, Weisberg, C, & Ray D. L (1977).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nd social cla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ly, 39
- Hawkins, J. L, Weisberg, C, & Ray D. L (1980). Spous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tyle : Preference, perception,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ly, 42(3), 585-593.
- Jorgensenm, S R, & Gandy, J. C (1980) Self-disclosure and satisfaction in marriage : The relation examuned Family Relations, 29, 281-288.
- Jourard, S. (1971). Some lethal aspects of the male role. Men and masculinity. Joseph Pleck and Jack Sawyer,(Ed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1-29
- Kaplan, H. S. (1990). 새로운 성치료 [The new sex therapy]. (박영숙, 성금영, 이근후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1982년에 출판)
- Landis. J. T., & M. G. Landis (1968). Building a successful Marriage, U. S. A. 275-301
- Littlejohn, S. (1983).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Columbus, OH :Charles Merrill.
- Marokoff, P, & Gilliland, R (1993). Stress, sexual functioning,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Research, 30, 43-53.
- Marshall, E., Krupinski, J., & Yule, V. (1970). Patterns of marital problemes in marriage guidance clients, Journal of Marrigge and the Family, 32, 138-143
- Means (2000). An intergrative approach to what really want Sexual satisfaction. University of Detroit Mercy.
- Perlman, S. D.M., & Abramson, P. R.(1982). Sexual satisfaction among marriaged and cohabiting individuals. Journal of Counsell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3), 459-460.
- Satir, V. (1991). 사람 만들기 [People making]. (성문선 역). 서울: 홍익제. (원전은 1972년에 출판).
- Stack, S, & Gundlach, J. (1992). Divorce and sex. American Sexual Behavior, 21, 359-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