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경수, 이소은 (2003). 개방적.폐쇄적 소프트웨어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1), 25-49.
- 김순흥, 김경호, 김광수, 김두식, 김미라, 김시업 (2007). 한국청소년의 삶: 가정생활.학교생활.여가생활. 광주: 한국사회조사연구소.
- 모리 아키오 (2003). 게임뇌의 공포. 이윤정 역, 서울: 사람과책.
- 박효정.최상근.연은경 (2004). 한국 초등학생의 생활 및 문화 실태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수희림 (1990). 발전도상의 연변. 연변: 연변인민 출판사.
- 심도현, 이순형 (2005). 좌반구성 인지과제 수행시 컴퓨어게임 중독성향 아동과 비교집단 아동의 뇌지수 차이. 인간발달연구, 12(4), 191-207.
- 이기춘, 이기영, 이은영, 이순형, 김대년, 박영숙, 최연실 (1997).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I). 대한가정학회지, 35(6), 289-315.
- 이소은 (2000). 유아의 일상활동과 자기주도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35-48.
- 이소은, 이순형 (2009). 초등학생의 전자매체 놀이문화 실태 분석. 아동권리연구, 28, 305-332.
- 이순형. (1991). 놀이노래 가사의 실태와 가사의 전통성 조사. 아동학회지, 12(1), 68-77.
- 이순형. (1999). 북한의 주체사상 사회화의 원리와 한계. 교육학회지, 37(4), 49-68.
- 이순형 (2009a). 호모루덴스의 전 생애 관점에서 본 놀이의 기능과 의미 변화. 2009 인간발달학회.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주제 발표. 2009년 10월 31일, 한남대학교.
- 이순형 (2009b). 한국 아동의 일상생활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이순형 (2000a). 북한 어린이들의 놀이노래 가사의 의미 분석. 아동학회지, 21(2), 5-16.
- 이순형 (2000b). 중국 연변 조선족 어린이들의 놀이와 놀이노래 조사 연구. 아동학회지, 21(3), 69-83.
- 이순형 (2002). 사이버 공간과 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의 불일치. 대한가정학회지, 40(4), 59-72.
- 이순형 (2010).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임송미, 이순형 (2004) 컴퓨터 게임이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2(10), 79-89.
- 이순형, 이소은 (1997). 전자오락 경험과 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시각정보 처리능력. 아동학회지, 18(2), 105-120.
- 이순형, 서봉연, 이소은, 성미영 (1999) 컴퓨터게임이 아동의 공간기술과 단기기억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0(3), 293-306.
- 임동권 (1975). 한국 민요 연구. 국어 국문학 총서 12, 서울: 삼우출판사.
- 정금자 (1998). 일본의 현대아동놀이의 성격에 관한 고찰. 아동교육, 7(2), 163-181.
- 조금석 (1991). 연변조선족 생활소묘: 풍경 풍속 인물. 서울: 홍익제.
- 중앙교육연구소 (1962). 한국 아동의 놀이에 관한 실태 조사. 서울: 중앙교육연구소.
- Belsky, T., & Most, R. (1981). From exploration to play: A cross-sectional study of infant free-play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17, 630-639.
-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 Fein, G. G., & Stork, L. (1981). Socio-dramatic play: Social class effects in an integrated classroom.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 267-279.
- Galda, L., & Pellegrini, A. D. (Ed.)(1985). Play, language, and storie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e behavior. Norwood, NJ: Ablex Publishing.
- Granlinski, J. H., & C. B. Kopp (1993). Everyday rules for behavior: Mothers' requests to young children. Development Psychology, 29, 573-584.
- Graybill, D., Kirsch, J. R., & Esselman, E. D. (1985). Effects of playing violent versus nonviolent video gameson the aggressive ideation of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children. Child Study Journal, 15(3), 199-205.
- Harkness, S., & Super, C. M. (1983). The cultural structuring of children's play in rural African communit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Play, Baton Rouge, LA.
- Irwin, A. R., & Gross, A. M. (1995). Cognitive tempo, violent video games, and aggressive behavior in young boy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3), 337-350.
- Lee, S. (1994). Culture and Preschooler's activities: The United States and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 Lee, S., & Tudge, J. (1995). Young children's play in 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ross-Cultural and Sub-cultural comparisons.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Cross-Cultural Research, Savannah, GA.
- McGhee, P. E. (1984). Play, incongruity and humor. In T. D. Yawkey & A. D. Pellegrini (Eds.), Child's play: Development and applied. Hillsdale, NJ: Lawrence Erbaum.
- Slade, P. (1995). Child play: Its importance for human development. London: J. Kingsley Publishers.
- Okagaki, L., & Frensch, P. A. (1994). Effects of video game playing on measures of spatial performance: Gender effects in late adolescen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1), 33-58.
- Rubin, K. H., Fein, G. C., & Vandeberg, B. (1983). Play. In P. H. Mussen(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4th ed., 693-774). New York: Wiley.
- Schwartzman, H. G. (1978). Transformations: The anthropology of children's play. New York: Plenum.
- Schwartzman, H. G. (1979).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play. In B. Sutton-Smith (Ed.), Play and learning. New York: Gardner Press.
- Sivern, S. B., & Williamson, P. A. (1987). The effects of video game play on young children's aggression fantasy, and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8(4), 453-462.
-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M. Cole,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 (ed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 Wohlwill, J. F. (1984). Relationships between exploration and play. In T. D. Yawkey & A. D. Pellegrini, (Eds.), Child's play:Developmental and applied. Hillsdale, NJ: Lawrence Erb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