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남국 (2002). 여가사회의 이해. 형설출판사.
- 권상희 (2008). 디지털문화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김정운 (2005). 노는 만큼 성공한다. 21세기북스.
- 류철균과 신세미 (2007). 가상세계의 재미노동과 사용자 정체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8), pp.182~190.
- 정상철 (2010). SNS가 문화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토론문.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 진화에 따른 문화콘텐츠 산업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자료집(2010. 11.4)
- 정준영 (2003). 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
- 이선애 (2009). 유아와 바깥놀이 이론과 실제. 창지사.
- 이성식, 전신현 (2007) 사이버공간의 사회심리학. 집문당.
- 이장주 (2007). 중독담론의 이데올로기- 게임을 중심으로. 제3회 춘천국제여가심포지엄. pp.201~218.
- 이장주 (2008). e스포츠의 여가적 발견. 현대여가 연구의 이슈들(한국여가문화학회 편, pp. 67~92.), 한올출판사.
- 이정모, 이건효, 이재호 (2004). 사이버인지심리학의 개념적 재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6(4), pp.365~391.
- 이정우 (2000). 가로지르기. 산해.
- 이채리 (2010). 사이버 공간에 대한 기술철학적 연구. 범한철학, 56, pp.257~282.
-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인터넷으로 인한 유.청소년 행동변화관련 실험연구. 한국인터넷진흥원 연구보고서.
- 황상민 (2004). 대한민국사이버신인류: 폐인 그들이 세상을 바꾼다. 21세기북스.
- 황상민, 한규석 (1999). 사이버 공간의 심리. 박영사.
- Beck, J. C., & Wade, M. (2006). 게임세대 회사를 점령하다[The Kids are Alright: How the Gamer Generation is Changing the Workplace], (이은선 역, 2006). 세종서적.
- Brown, S., & Vaughan, C. (2009). 플레이, 즐거움의 발견[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윤미나 역, 2010). 흐름출판.
- Caillois, R. (1958). 놀이와 인간[Les Jeux et les Hommes], (이상률 역, 1994), 문예출판사.
- Cohen, J. (2005). How to Read 프로이트[How to Read Freud], (최창호 역, 2007). 웅진지식하우스.
- Ellul, J. (1954). 기술의 역사[The Technological Society, trans. by J. Wilkinson(1964) New. York: Vintage], (박광덕 역, 1996), 한울.
- Friebe, H., & Lobo, S. (2006). 디지털 보헤미안 [Wir Nennen es Arbeit], (두행숙 역, 2007). 크리에디트.
- Huizinga, J. (1938). 호모루덴스[Homo Ludens], (김윤수 역, 1998). 까치
- Kern, S. (1983).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1918[The Culture of Time and Space], (박성관 역, 2004). 휴머니스트.
- Markurs, H.,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pp.224~253.
- Negroponte, N. (1995).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백욱인 역, 1996), 커뮤니케이션북스.
- Pink, D. H. (2001). 프리에이전트의 시대가 오고 있다.[Free Agent Nation].(석기용 역, 2001). 에코리브르.
- Pink, D. H. (2001). 새로운 미래가 온다.[A Whole New Mind], (김명철 역, 2006). 한국경제신문.
- Polanyi, K. (1944). 거대한 전환: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The Great Transformation :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홍기빈 역, 2009). 도서출판 길.
- Ryfikin, J. (1995). 노동의 종말[The End of Work: The Decline of the Global Labor Force and the Dawn of the Post-Market Era],(이영호 역, 1996), 민음사.
- Ryfikin, J. (2009). 공감의 시대[The Empathic Civilization: The Race to Global Consciousness in a World in Crisis], (이경남 역, 2010), 민음사.
- Roos, D. (2008). How Net Generation Students Learn and Work. How stuff Works, May 5. http:// communication howstuffworks.com에서 2011년 1월 24일 추출.
- Seligman, M. E. P. (1975). Helplessness: Ondepression, development, anddeath. SanFrancisco. CA: Freeman.
- Said, E. W. (1978).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박홍규 역, 1991). 교보문고.
- Tapscott, D. (2009). 디지털네이티브[Grown Up Digital: How the Net Generation Is Changing Your World], (이진원 역, 2009), 비즈니스북스.
- Triandis, H.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l: Westview Press.
-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 Press.
- Yee, N. (2006). The Labor of Fun: How Video Games Blur the Boundaries of Work and Play. Game and Culture Issue, 1(1), pp. 6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