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Biotope area ratio Estimation Model using GIS

GIS를 활용한 생태면적률 산정 모델 개발

  • 이지수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 이승욱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 이승엽 (경주대학교 건축학과) ;
  • 홍원화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Received : 2011.02.09
  • Accepted : 2011.04.11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an accurate biotope area ratio model with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database management through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o provide people amenities in a new town. In particular, the biotope area ratio is used not only in th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but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ut now there is no any index map of biotope. So it is very hard to implement with data for supplement results. In this research, we suggest the model of integrated attributable information. The evaluation of biotope area ratio is to include a basic land use planning map and a building coverage area which is a wall of greening surface and roof. In case of non building coverage area, the evaluation of biotope area ratio is to include water space, artificial ground, natural ground and pervious gap-pave. A weighted value on the spatial information is combined into the information. And then the merged one is given a land use planning information in a block. In the weighted value on the space typ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 its circumstances. Therefore, it can be substituted a correspondence of numerical change for various values elastically in this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신도시 등의 조성에 있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시민들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생태면적률을 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구축의 효율성과 데이터베이스 유지관리의 간편성과 정확성을 확보함에 있다. 특히 생태면적률은 현재 환경영향 평가 뿐만 아니라 친환경 인증기준 중 생태환경기준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생태면적률의 산정도 구축을 위한 지표가 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자료의 누락, 데이터 수정보완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통해 도형 자료를 구축하고 가중치의 속성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생태면적률 산정은 토지이용계획도를 기초로 하여 건폐지의 경우 옥상 및 벽면 녹화, 비건폐지의 경우 수공간, 인공지반, 틈새투수포장, 자연지반 녹지의 공간유형을 대상으로 한다. 가중치가 부여된 공간유형정보는 도형정보와 통합되고 통합된 자료는 향후 토지이용에 따른 분석을 위해 토지이용계획 정보를 블록 별로 부여한다. 한편, 공간유형별 가중치 적용의 경우 도출방법이 각 지자체나 적용 주체의 상황에 따라 특성에 맞게 판단기준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 수치가 유동적일 수 있으나 본 모델에서 수치변화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간편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구축의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Gruene Innenstadt, 2000, BFF-Biotopflaechenfaktor, Senatsverwaltung fuer Stadtentwicklung ,Berlin
  2. 박동현, 2007, 생태면적률과 물리지표에 의한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친화성 평가, 동의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학위논문.
  3. 변혜선 외, 2007, 기성시가지의 친환경 관리 도구로서 지구단위계획의 환경성검토 개선 방안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2권 1호, pp 51-67.
  4. 손학기, 2000, GIS 공간유형분석 모형을 이용한 경관 규모 생태계의 평가기법, 한국GIS학회, 제8권 2호, pp 233-241.
  5. 신창숙 외, 2004, 공동주택 외부 공간 조성에 따른 생태면적률 제고 방안 연구, 한국 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6권 1호, pp 157-162.
  6. 우제윤, 2003, 친환경 건설을 위한 GIS 기반의 환경영향평가시스템 개발,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5권 2호, pp 33-53.
  7. 이은석, 2007, 공동주택의 생태면적률 적용기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이지숙, 2010, 생태면적률을 적용한 아파트 외부 공간의 주민 선호도 분석,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이효정, 2007, 지방도시 공동주택의 생태면적률 적용에 대한 연구 : 김해 율하 신도시에 시공중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조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10. 환경부, 생태면적률 적용지침, 2005
  11. 환경부, 신도시 조성 등에 적용할 생태면적률 기준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12. 환경영향 평가 정보 지원 시스템, (www.eias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