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re-Red Mud and Bio-Solids Applicability as Soil Stabilizer

Pre-Red Mud 및 Bio-Solids의 토양 안정화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양주경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 강선홍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11.06.15

Abstract

Recycling as a stabilizer of industrial by-product can be terms of the proper handling of industrial by-product and positive side in terms of recycling of wast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has the possibility as stabilizer by primary processing Pre-Red Mud and Bio-Solids which are generated as waste in soils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and compared the efficiency with steel slug being applied in an existing site. In evaluation of the arsenic-fixing ability of stabilizer in batch test, Bio-Solids have the similar arsenic-fixing ability with Pre-Red Mud, which shows 17% h igher arsenic-fixing ability than PS Ball. Since the stabilization periods using Bio-Solids and Pre-Red Mud are faster than the PS Ball, they seems to be better stabilizer than PS Ball to decrease the leaching of arsenic in contaiminated soil.

Keywords

References

  1. 이상환, 고주인, 이진수(2008) 중금속 오염토양 처리에 있어 안정화제의 효율평가, 2008 광해방지심포지엄, pp 99∼104
  2. 김민길(2007) 정수장 슬러지를 활용한 하수슬러지의 고화처리 및 복토재 제조방안, 충남대학교 공학박사학위논문
  3. 김동근, 황인국, 배재흠(2005)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황화수소 제거용 흡착제의 제조, 수원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한국폐기물학회지, Vol 22, No 5, pp 492-496
  4. 채수천, 장영남, 배인국(2005), 적토의 활성화를 통한 적조구제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자원활용소재연구부, 한국광물학회지, Vol 18, No 4, pp 213
  5. 전병훈, 김선준, 이상훈, 정우식(2008), 토양 및 지하수의 비소오염과 제거기술 동향, 광해방지기술 Vol 2, No 1, pp 3-13
  6. 장민(2008), 고효율 비소 정화를 위한 나노물질 개발 기술, 광해방지사업단 광해관리본부 토양복원팀, 광해방지기술 제1권 제1호 연구논문, pp. 98-110
  7. 양주경, 강선홍, 이춘원(2011), Bio-Solids의 토양 안정화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대한상하수도학회지, Vol 25, No 2, pp. 257-264
  8. 김정식, 이재록, 한상원, 황인국, 배재흠(2000) 적니를 이용한 무기응집제의 제조연구, 수원대학교 화학공학과, 대한환경공학회지, Vol 22, No 11, pp 2085-2095
  9. 환경부(2010)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
  10. 환경부(2010)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11. 한국광해관리공단, 2010년 광해 통계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