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처방조제지원시스템 도입성과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rug Prescriptions

  • 조경원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박진우 (대웅바이오(주) 마케팅팀) ;
  • 채영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병원경영학과)
  • 투고 : 2010.12.28
  • 심사 : 2011.03.18
  • 발행 : 2011.04.28

초록

이 논문에서는 일개 POC(Point Of Care) 시스템을 사용하는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의약품 처방조제지원 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과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시스템 평가요소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CDSS의 성과 평가 모형을 제시하여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의약품 처방조제지원시스템의 도입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시스템 품질을 제외하고는 각 평가 영역들 사이에 인과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모형 검증결과 의약품처방최적화를 위한 CDSS의 시스템 품질이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정보품질이 사용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용자 만족은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DSS(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rug prescription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medical institutions using POC(Point Of Care) systems. For achieving this goal, evaluation factors for influencing performance of information system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for CDSS. In the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causality between each evaluation domain except system quality domain. In addition, the system quality of CDSS for optimal drug prescription has no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But information qual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which has also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M. Musen, Y. Shahar, and E. Shortliffe, "Clinical decision-support systems, biomedical informatics," Computer Applications in Health Care and Biomedicine, Vol.3, pp.698-736, 2006.
  2. K. N. Barker and E. L. Allan, "Research on drug-use-system errors," Am. J. Health Syst. Pharm., Vol.52, pp.400-403, 1995.
  3. 이영택, 배미영, 박진현, 최창규, 배석봉, 채영문, "병원 내 Drug CDSS 구축사례를 통한 진료개선 평가", 한국보건정보 통계학회지, 제32권, 제2호, pp.89-98, 2007.
  4. 박병주, "약물요법과 DUR", 대한의학협회지, 제37권, 제2호, pp.181-188, 1994.
  5. D. C. Classen,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to improve clinical practice and quality of care," JAMA, Vol.280, pp.1360-1361, 1998. https://doi.org/10.1001/jama.280.15.1360
  6. 최남경, 박병주, "한국형 DUR의 효과적 추진전략," 대한의사협회지, 제53권, 제2호, pp.1130-1138, 2010.
  7. 김춘섭, 의료기관의 처방검토시스템 설치에 따른 의약품사용 양상변화의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보건약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8. W. H. DeLone and E. R. McLea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4, pp.9-30, 2003. https://doi.org/10.1080/07421222.2003.11045748
  9. J. Heo and I. Han, "Performance measure of information systems(IS) in evolving computing environments: an empirical investigation," Information & management, Vol.40, pp.243-256, 2003. https://doi.org/10.1016/S0378-7206(02)00007-1
  10. G. G. Gable, D. Sedera, and Taizan Chan, "Enterprise Systems Success: A Measurement Model," Proceedings 2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pp.576-591, 2003.
  11. W. H. Delone and E. R. Mclean, "Information system success :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3, No.1, pp.55-69, 1992.
  12. F. D. Davis,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 characteristics, user perceptions and behavioral impact," International J. of Man-Machin studies, Vol.38, No.3, pp.475-487, 1989.
  13. P. B. Seddon and N. Y. Kiew, "A partial test and development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t J. I. DeGross SL, Huff MC. Nunro(ed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Atlata, GA: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 pp.99-110, 1994.
  14. P. B. Seddonm, "A respectification and extension of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S succes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Vol.8, No.3, pp.240-253, 1997. https://doi.org/10.1287/isre.8.3.240
  15. 신은주, 병원의 ERP시스템 도입 성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16. 김준호, ERP 시스템의 성과평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