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n Weight Proportion of Eco-friendly El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Low-Carbon Green City : Case of Eco-Environment Certified Apartment Housing Complexes in the Metropolitan Newtown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친환경 요소의 비중도 분석: 수도권 신도시내 친환경 인증 아파트단지 사례

  • 정성훈 (중앙대학교 산업경제학과) ;
  • 김정인 (중앙대학교 산업경제학과)
  • Received : 2011.03.07
  • Accepted : 2011.08.30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aper affirms the weight proportion concept as an element, which could be empirically analyzed quantitatively through the developmental expansion of qualitative empirical analysis on taxonomy that is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Low-Carbon Green Cities and their eco-friendly elements, such as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The weight proportion concept is proposed as a new measure to identify eco-friendly elements and as an objective assessment indicator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surveys were first given to the residents of Metropolitan Newtown (50 persons) and outside experts (50 persons) for the total of 100 persons. Second, the paper surveyed 74 sites of Eco-Environmental Certified Apartment Housing Complexes. Upon analysis of eco-friendly elements by their type and total weight, the largest weight proportion was expressed in the interior and eco-environmental elements, carbon-decrease types, and carbon-absorption types. The results of this paper confirm recent positive sentiments and preference toward a variety of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eco-friendly elements like the eco-housing and new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the paper affirmed the new housing trend towards constructing eco-friendly elements, such as carbon-decrease and carbon-absorption, that induce long-term investments, despite their need for higher investments.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에 있어서 쾌적한 주거환경의 필수조건인 친환경 요소에 대한 정성적(qualitative) 계획요소 분류체계를 발전적으로 확장하여 정량적(quantitative) 계량분석이 가능한 비중도 개념으로 구체화하였다. 이 비중도 개념을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에 있어서의 다양한 친환경 요소의 발굴과 그에 따른 객관적 평가지표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첫째, 설문조사는 국내 수도권 신도시내 현지거주자(50명) 및 외부전문가(50명)등 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둘째 사례조사는 수도권 신도시내 74개소의 친환경 인증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친환경 요소의 항목별, 유형별 합산 비중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항목별로는 실내환경 및 생태환경, 유형별로는 탄소저감형 및 탄소흡수형이 큰 비중도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 따라 최근 수도권 신도시에서는 생태주거 및 신 재생에너지 등의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성을 위주로 한 다양한 친환경 요소에 대한 인식도 및 선호도가 상당히 보편화 단계에 이르렀다는 긍정적인 의미를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적 투자 효과를 유발하는 탄소저감형 및 탄소 흡수형 위주의 친환경 요소의 도입이 초기 투자비용의 부담에도 불구하고 점차 새로운 주거 트렌드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