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Headgear in the Painting of Tongshinsa Parade in 1711

신묘사행(辛卯使行) "도중행렬도(道中行列圖)"에 나타난 통신사 편복 관모 연구

  • Park, Sun-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Hong, Na-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 홍나영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0.10.05
  • Accepted : 2011.01.3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everyday headgear, which is often found in many paintings of Tongshinsa, Joseon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in the 18th century. That resembles Yu-geon儒巾, but on the top of the headgear are lappets like a roof.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1) The painting of Tongshjnsa parade in 1711 was used to analyze wearers of everyday headgear because titles of position are shown for each one. 2) Personal records of Tongshinsa in the 18th century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ases of everyday headgear. 3) Cases of everyday headgear in literature around the 18th century were examined. Those researches revealed three findings: 1) The names of everyday headgear with a roof shaped top are Gohu-gwan高厚冠 and Yeonyeop-gwan蓮葉冠. 2) Among Tongshinsa, wearers of Gohu-gwan or Yeonyeop-gwan are medical staff, interpreters, painters, and secretaries. However, it doesn't seem to have been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ypes according to social class and position. 3) People wore everyday headgear, that resembled the two types in appearance, such as Mjnja-geon民字巾, Sunyang-geon純陽巾, Hwayang-geon華陽巾, Jeon-geon戰巾, or Jang-geon將巾 in China and Joseon around the 18th century. Among them, Sunyang-geon and Hwayang-geon seem to have had the closest relationship with Gohu-gwan and Yeonyeop-gwan in terms of shape and character of wearer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two following conclusions: 1) Gohu-gwan and Yeonyeop-gwan were worn as one of everyday headgear to represent appearances of a scholar. 2) Gohu-gwan and Yeonyeop-gwan could be changed versions of the similar everyday headgear or different names of them.

Keywords

References

  1. 차미애 (2006). 江戶時代通信使登城行列圖. 미술사연구, 20, p. 273.
  2. 궁민복 (1983). 조선통신사 복식의 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이자연 (2005). 조선통신사일행의 의례와 복식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8(1), pp. 19-30
  4. 신혜성, 박선희 (2007). 통신사 기록을 통한 단령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복식, 57(10), pp. 99-111
  5. 이주영 (2008). 18세기 조선통신사행의 삼사신․상상관․상관 복식 고찰. 지역과 역사, 23, pp. 35-70
  6. 진미희 (1985). 조선시대 남자 편복관모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강순제 (1993). 우리 관모의 시말에 관한 연구: 남자 편복 관모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은희 (1986). 조선조 흑립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은정, 강순제 (2007). 감투에 관한 연구. 복식, 57(6), pp. 112-121.
  10.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국사편찬위원회 (2005). 조선시대 통신사 행렬.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국사편찬위원회, pp. 10-82.
  11. 정은주 (2006). 正德元年(1711) 朝鮮通信使行列繪卷연구. 미술사논단. 23, p. 212-217
  12. 차미애. (2006). 江戶時代通信使登城行列圖. 미술사연구, 20, p. 290.
  13. 숙종37(1711)년의 동사일기(東槎日記), 동사록(東槎錄), 숙종45(1719)년의 해유록(海游錄), 영조24(1748)년의 봉사일본시문견록(奉使日本時聞見錄), 영조39 (1763)년의 해사일기(海槎日記), 일본록(日本錄), 일관기(日觀記), 승사록(乘槎錄)
  14. 이원식 (1991). 조선통신사. 서울: 민음사, p. 63.
  15. 賴尾維賢(1712). 雞林唱和集卷之四. 二十二.
  16. 이원식. (1991). 조선통신사. 서울: 민음사, p. 39. 조선통신사일람표 참고.
  17. 권섭. 옥소고. 이창희 외 편 (2007). 옥소고 9. 서울: 다운샘, pp. 289-290.
  18. 김현문. 동사록. 백옥경 역 (2007). 동사록. 서울: 혜안, p. 68, p. 264.
  19. 신유한. 해유록. 민족문화추진회 (1977a). 해행총재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05(五三).
  20. 신유한. 해유록. 민족문화추진회 (1977a). 해행총재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522(六九).
  21. 신유한. 해유록. 민족문화추진회 (1977a). 해행총재 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528(七O).
  22. 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민족문화추진회(1977b). 해행총재 X.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80(四O).
  23. 홍대용. 담헌서. 민족문화추진회(2008b). 홍대용 담헌서 5. 파주: 한국학술정보, p. 198.
  24. 김경선. 연원직지. 민족문화추진회(1977c). 연행록선집 XI.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30.
  25. 이유원 (1871). 임하필기. 김동현, 안정 공역 (2000). 임하필기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09(四一).
  26. 중추원조사자료. 관례(冠禮). 자료검색일 2009. 9. 28. 자료출처 http://www.history.go.kr
  27. 중추원조사자료. 의식주. 자료검색일 2009. 9. 28. 자료출처 http://www.history.go.kr
  28. 승정원일기. 영조14(1738)년 9월12일(신유). 자료검색일 2009. 8. 31. 자료출처 http://sjw.history.go.kr
  29. 승정원일기. 영조33(1757)년 9월4일(계사). 자료검색일 2009. 8. 31. 자료출처 http://sjw.history.go.kr
  30. 민족문화추진회 (1989). 선조수정실록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214-224(四八-五一). 선조수정실록7(1574)년 11월1일
  31. 이익. 성호사설. 민족문화추진회(1978). 성호사설IV.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52(七三).
  32. 宮瀨龍門(1764). 東槎餘談. 寫眞六.
  33. 장언푸 저, 김영진 역 (2008). 한 권으로 읽는 도교. 서울: 산책자, p. 193.
  34. 王圻. 三才圖會. 왕기 (2004). 삼재도회4. 서울: 민속원, p. 1515.
  35. 백인산 (2009). 조선왕조 도석인물화. 간송문화 77호, pp. 109-110.
  36. 삼성미술문화재단 편 (1982). 호암미술관명품도록. 서울: 삼성미술문화재단, p. 261.
  37. 周錫保(1984). 中國古代服飾史. 北京: 中國戲劇剧出版社, p. 403
  38. 黃能馥, 陳娟娟(1999). 中國歷代服飾藝術. 北京:中國旅游出版社, p. 363
  39. 陳高華, 徐吉軍(2002). 中國服飾通史. 寧波: 寧波出版社, p. 456.
  40. 陳高華, 徐吉軍. (2002). 中國服飾通史. 寧波: 寧波出版社, p. 440.
  41. 上海市戱曲學校中國服裝史硏究組(1997). 中國歷代服飾. 上海: 學林出版社, p. 253.
  42. 이유원. (1871). 임하필기. 안정, 김동주 공역 (2000). 임하필기 7.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6(六).
  43. 조명채. 봉사일본시문견록. 민족문화추진회 (1977b). 해행총재 X.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65(五九).
  44. 민족문화추진회 (1993a). 정조실록 16.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56(三三). 정조15(1791)년 6월18일.
  45. 이덕무, 박제가 (1790). 무예도보통지. 이덕무, 박제가 (1970). 무예도보통지. 서울: 학문각, p. 87, p. 603.
  46. 정조. 홍재전서. 민족문화추진회 편 (1998). 국역 홍재전서 7.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11.
  47. 민족문화추진회 (1971). 국역 만기요람.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40.
  48. 민족문화추진회 (1971). 국역 만기요람.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84, p. 316, p. 357.
  49. 민족문화추진회 (1993b). 정조실록19.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07(二一). 정조17(1793)년 11월17일.
  5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1). 정조실록2.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133(二七). 정조즉위(1776)년 10월27일
  51.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2). 순조실록3.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51(九). 순조3(1803)년 윤2월27일
  52. 세종대왕기념사업회(1990). 헌종실록1.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p. 134. 헌종3(1837)년 9월12일.
  53. 민족문화추진회 (1990). 인조실록19.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87-89(十七). 인조22(1644)년 10월27일.
  54. 성해응. 연경재전집. 민족문화추진회 편(2001). 한국문집총간277-연경재전집V.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242.
  55. 민족문화추진회 (1993c). 광해군일기24.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96(二五). 광해군13(1621)년 9월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