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복식문화의 근.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미국화의 특성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in Modern Korean Fashion

  • 투고 : 2010.05.03
  • 심사 : 2010.12.14
  • 발행 : 2011.03.31

초록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from the traditional Korean Han-bok to today's modernized fashion. The Republic of Korea received the most influences form the United States among other western countries. The U. S. A. was the primary country who helped to release S. Korea from Japanese colonization in 1945, and provided the most economic and military aids after the Korean War in 1950.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out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in modern Korean fashion through sociocultural evidences and reference pictures. The Americanization can be defined as the U. S. A. influencing cultures of other countries, and sometimes resulted in the substitution of a given culture with American culture. Americanization generally is a part of westernization. The analogous terms for Americanization, are Coca-colonization, McDonaldization, Starbuckslization, and Hollywoodization. The theories related to Americanization are theory of economic determination, global system theory, conspiracy theory, modernization theory, and theory of dependence. However, Americanization of Korea cannot be explained in one single theory, but only can be explained as a hybrid of two cultures. There also is a critical viewpoint of de-Americanization. Americanization of Korea were studied in three important chronicles, a period of modernization (1945-1950s), a period of industrialization & popularization(1960s-1970s), and a period of consumerization(1980s-present). The traits of Americanization in the process of modernizing Korean fashion, were found as simplicity, functionality, popularity(kitsch & mimicry), anti-traditional ethics(unchastity & skin revealing), and materialism(lavishness & trend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p. 15-16.
  2. 안선경 (2001). 한국적 복식문화의 현대성에 나타난 미국화의 규율권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민자 (200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 연구총서 26,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제다움 찾기: 전통미와 현대적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p. 173-182.
  4. 유순례 (2001). 20세기 한국여성복에 나타난 근대성.탈근대성.세계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신소윤 (1993). 개화기 이후 우리나라 복식의 도덕성에 관한 사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정 (1988). 1950년대 이후 한국 패션의 변천과 그 양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2.
  9.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p. 23-24.
  10. Eriksen, Thomas Hylland (2007). The key concepts; Globalization. Oxford, New York: Berg, p. 59.
  11.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11.
  12.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03
  13. 위키백과사전(국). 자료검색일 2008. 3, 자료출처 http://ko.wikipedia.org & 네이버. 자료검색일 2008. 3, 자료출처 www.naver. com.
  14.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 24.
  15.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 17.
  16. 안선경, 양숙희(2001). 한국 근대 복식문화에 나타난 아메리카니제이션에 관한 연구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1), p. 59.
  17. USIS Seoul${\rightarrow}$USIA Washington(1962.6.18). Subject: Study of Korean Attitudes Towards the United States, p. 3, RG306, Record, pertaining to Exhibition in Foreign Countries, Box20을 허은 (2008).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냉전시대(1945-1965) 문화적 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pp. 361-362에서 재인용.
  18.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13.
  19.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7.
  20. 김상률 (2005). 탈식민시대의 미국문화읽기: 차이를 넘어서.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pp.19-20.
  21. 메타이론(Meta-Theory): Metatheory 혹은 Metatheory란 그 이론의 주제가 다른 이론인 것을 의미한다. 위키백과사전(영). 자료검색일 2010. 5. 7, 자료출처 http://en.wikipedia.org & 이론 체계 그 자체를 분석 대상으로 하는 이론. 네이버 영어사전. 자료검색일 2010. 5. 7, 자료출처http://endic.naver.com.
  22.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 12.
  23.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 20.
  24.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 27.
  25. 서재정(1991.6). 국제, 미국의 제3세계 지배기구 NED의 정체. 월간 말, 서울: (주)월간말, pp. 62-66.
  26. 김덕호, 원용진.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p. 19-20.
  27. Zakaria, Fareed (2008). The Post-American World. New York & London: Norton, p. 74.
  28.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8.
  29. 김덕호, 원용진(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 해방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 서울: 푸른역사, p. 18.
  30. 최수아(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5.
  31. 김민자 (2007. 12. 24). "문화가 최고의 부가가치 창출." 국제섬유신문 & 정철 환 (2007. 10. 15). "Kobalization! 한국식 경영이 세계표준으로" 조선일보를 최수아. 앞의 책, p. 2에서 재인용.
  32. 전병란 개인 소장, 촬영 장소 청주무심천, 조사 일자 2010. 3. 20.
  33. 최덕식 개인 소장, 조사 일자 2008. 2. 5.
  34. 유수경(1990). 韓國女性洋裝變遷史(한국여성양장변천사). 서울: 일지사, pp. 150-151.
  35. 유수경 (1990). 韓國女性洋裝變遷史(한국여성양장변천사). 서울: 일지사, pp. 279-280.
  36. 서중석(2007).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9쇄). 서울: (주)웅진 씽크빅, p. 141.
  37. 국립민속박물관 (2003). 생활속에 담긴 우리 옷의 발자취. 서울: 신유문화사, p. 82.
  38. 유수경 (1990). 韓國女性洋裝變遷史(한국여성양장변천사). 서울: 일지사, p. 190.
  39. 고부자 (2001).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14. 우리생활100년․옷. 서울: 현암사, p. 216.
  40. 지재원 (1988. 2). 청계천 '군수품 시장'. 월간 멋. 서울: 동아일보사, p. 105.
  41. 지재원 (1988. 2). Nylon 66: 미국 듀퐁사의 캐러더스에 의해 개발된 대표적 폴리아미드 섬유. 월간 멋. 서울: 동아일보사, p. 169.
  42. 박완서(1991. 여름). 1950년대 -'미제문화 비로도가 판치던 거리.' 역사비평, 13호.
  43. 송병수 (1957). 쏘리킴. 서울: 동아출판사.
  44. 김현숙 (2006). GI와 PX 문화를 통해 본 미국문화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18, p. 150.
  45. 서중석(2007).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9쇄). 서울: (주)웅진 씽크빅, p. 70.
  46. 네이버 이미지 검색, 자료검색일 2008. 3. 1, 자료출처 http://image.search.naver.com
  47. 김현숙. (2006). GI와 PX 문화를 통해 본 미국문화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18, p. 143.
  48. 최수아(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92.
  49. 김현숙. (2006). GI와 PX 문화를 통해 본 미국문화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18, p. 143.
  50. 오지연 (1997). 미군 기지촌 매춘여성들의 주변적 문화 -의정부시 송산동 기지촌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p. 12.
  51. 오지연 (1997). 미군 기지촌 매춘여성들의 주변적 문화 -의정부시 송산동 기지촌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p. 14.
  52. 정혜란 (1991. 6). "유행은 몇 년마다 바뀌는가?". 월간 멋. 서울: 동아일보사, p. 267.
  53. 정혜란 (1991. 6). "유행은 몇 년마다 바뀌는가?". 월간 멋. 서울: 동아일보사, p. 269.
  54. 장인석 (1985. 3). "유행1번지 명동". 월간 멋. 서울: 동아일보사, p. 206.
  55. 김청 (1981. 6). "특집: 패션산업의 경영전략 -기성복을 중심으로-".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p. 22-23.
  56. 금기숙 외 9명 (2002). 현대 패션 100년, 1900-2000. 서울: 교문사, p. 237.
  57. 조선일보 (1977. 11. 10). 여성 기성복 너무 비싸다.
  58. 의상편집부 (1977. 11). 새로운 유행을 창조하는 기성복.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p. 18-31.
  59. 의상편집부(1977. 12). 기성복 퍼레이드/ 새시대 새감각 새패션.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p. 27-41.
  60.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0-101.
  61.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02.
  62. 체에리체티, 데이빗 (1977. 7, 8, 9, 10, 11). "헐리웃 영화 속의 의상: 불꽃처럼 화려한 엠지엠(MGM) 영화사의 의상(1)(2)(3)(4)(5).".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 96-, p. 102, p. 66, p. 96, p. 94.
  63. 체에리체티, 데이빗, 백문영(역) (1977. 12-1978. 2). "우아한 품위, 파라마운트 의상(Paramount Polish)(1)-(3)-.".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 98, p. 78.
  64. 체에리체티, 데이빗, 백문영(역) (1978. 7). "워너브라더스, 재기의 디자이너 오리 켈리-(2)-.".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 130.
  65. 의상편집부 (1979. 6). "헐리웃 의상 디자인: 능란한 기교의 20세기 팍스 영화사편-(3)-.".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 110.
  66.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5-106.
  67. 금기숙 외 9명. (2002). 현대 패션 100년, 1900-2000. 서울: 교문사, p. 210.
  68. 구글 이미지 검색, 자료검색일 2008. 3. 1, 자료출처 http://image.search.google.com
  69. 의상편집부 (1971. 2). 衣裳(의상). 서울: 衣裳社.
  70. 최경자 (1974). 崔敬子自伝年鑑패션 50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 117.
  71. 유석재 (2008. 7. 18 (A8)). 사진으로 본 '건국 60년, 60대 사건', "미니스커트․ 장발은 '저항의 상징'". 조선일보.
  72. 손성진 (2008). 20세기 한국을 읽는 25가지 풍속 키워드, 럭키 서울 브라보 대한민국. 서울: 추수밭 p. 153.
  73.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67.
  74. 금기숙 외 9명. (2002). 현대 패션 100년, 1900-2000. 서울: 교문사, p. 228.
  75.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0.
  76. 정혜란. (1991. 6). "유행은 몇 년마다 바뀌는가?". 월간 멋. 서울: 동아일보사, p. 270.
  77. 이호정 (1981. 5). "81/82 추동 패션경향의 종합진단".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p. 22-27.
  78. 이호정 (1981. 5). "특집: 81/82 패션트렌즈의 감각- 현대여성이 바라는 심플성 추구", 依裳(의상). 서울: 衣裳社, p. 80.
  79. 지혜경 (2002). 한국 의류무역의 변화 추이 및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4.
  80. 김영관 외 2명 (1989. 2). "한국에 상륙한 세계의 오리지널 패션명품들". 월간 멋. 서울: 동아일보사, p. 105.
  81. 조선일보 (1988. 10. 13(10)). "백화점마다 수입의류코너 증설".
  82. 조선일보 (1987. 1. 9). 자료검색일 2008. 5. 7.
  83. 월간 멋. 자료검색일 2008. 5. 7.
  84.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5.
  85. 송수원. (2008). 영국.미국 패션의 문화 정체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41-42.
  86. 하지수 (2001). 20세기 기능주의 패션디자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3.
  87. 조선일보 (1988. 5. 7(8)). "스포츠웨어도 '외출복시대.'"
  88.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6.
  89.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40 표에서 수정, 2010. 6.
  90.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79.
  91.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81 표에서 수정, 2010. 6.
  92. 최수아. (2009). 해방 이후 한국패션에 나타난 미국화.탈미국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