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chemistry of the Gneisses in the Jangsu Area, Jeonbuk, Korea

전북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의 지구화학적 연구

  • Received : 2011.03.02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recambrian gneiss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Jangsu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s and metamorphic P-T conditions of the gneiss. We have analyzed garnet, biotite and plagioclase among the gneiss through the EPMA analysis, and calculated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accordingly. The metamorphic temperature was estimated by the average of values from the garnet and biotite formulas, and the metamorphic pressure by value of the Hoisch(1990) geopressured on garnet-biotite-plagioclase. The mineral sample we examined shows garnet-biotite-plagioclase-quartz composite and garnet-plagioclase-orthoclase-quartz composite. Garnet shows almandine-pyrope solid solution in general, while porphyroblastic gneiss shows almandine-grossluar solid solution. The fact that the abundances, observed by garnet profile, are almost identical in both the central region and the outer egion indicates that the crystal was developed uniformly. There is almost negligible variance in biotite on metamorphic grade, and andesine is observed in plagioclase. The metamorphic temperature and pressure from EPMA analysis and its indications are as follows: the middle-temperature, high-pressure metamorphism ($500-650^{\circ}C$, 6.9-10 kbar) ensued in the beginning, and then was followed by the high-temperature, middle-pressure($600-740^{\circ}C$, 2.7-5.9 kbar) to ($500-540^{\circ}C$, 3.1 kbar) retrograde metamorphism.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완, 김형식, 오창환, "경기육괴 북동부지역에 분포하는 오대산편마암복합체의 다변성작용", 암석학회지, Vol.6, no. 3, p. 22, 1997.
  2. 권용완, 신의철, 오창환, 김형식, 강지훈, "풍기지역 소백산편마암복합체의 백립암상 변성작용", 암석학회지, Vol.8, no.3, p. 183, 1999.
  3. 김규봉, 최위찬, "1/50,000 함양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p. 16, 1994.
  4. 김동학, 이병주, "1/50,000 남원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40, 1984.
  5. 김옥준, 윤석규, 박양대, 이하영, 홍만섭, 박희인, 김기태, "1/50,000 운봉도폭 지질보고서", 경상남도, p. 18, 1964.
  6. 김주봉, 최위찬, 황재하, 김정환, "1/50,000 오수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38, 1984.
  7. 송용선, 류호정, "지리산일대 소백산편마암체의 다변성작용", 한국암석학회 2차 학술발표회 요약집, p. 20, 1994.
  8. 송용선, 이상만, "소백산육괴 중앙부 선캠브리아 변성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Vol. 25 no.4, p. 451, 1989.
  9. 송용선, "소백산육괴 중앙부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서의 흑운모-석류석 지온계", 이상만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p. 155, 1986.
  10. 송용선, "소백산육괴 서남부 지리산지역의 반상변정 질편마암에서 산출되는 백립암질 포획암", 암석학회지, Vol. 8, no. 1, p. 34, 1999.
  11. 이광진, 조문섭, "가평-청평지역 경기육괴의 변성작용", 암석학회지, Vol. 1, no.1, p. 1, 1992.
  12.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1/250,000 광주지질도폭설명서", 과학기술부, p. 47, 1997.
  13. 이상만, "지리산(하동-산청)지역의 변성니질암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Vol. 16, no.1, p. 1. 1980.
  14. 이상만, 나기창, 이상헌, 박배영, 이상원, "소백산육괴(동남부)의 변성암복합체에 대한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Vol. 20, no. 3, p. 169, 1981.
  15. 이상원, "소백산육괴 서남부(구례-곡성-남원)의 편마암복합체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Vol. 8, p. 285, 1984.
  16. 이상원, "지리산지역 편마암류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Vol. 9, p. 53, 1984.
  17. 이상원,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편마암복합체의 변성 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Vol. 10, p. 229, 1985.
  18. 이상원,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편마암복합체의 변성 작용에 관한 연구", 이상만 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p. 133, 1986.
  19. 이춘희, 이상원, 옥수석, 송용선,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의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22, no. 6, p. 528, 2001.
  20. 이호선, "소백산육괴 중부지역 김천일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 편마암류의 기원과 저어콘 CHIME 연대",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01, 2000.
  21. 정증효, "하동-산청지역의 정편마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22. 조문섭, 김종욱, "춘천-홍천지역 용두리 편마암 복합체내에 산출하는 남정석", 암석학회지, Vol. 2, no.1, p. 1, 1993.
  23. 조윤호, 조문섭, 이승렬, "청평-양평지역에 분포하는 근청석편마암의 백립암상 변성작용과 P-T 진화 경로", 암석학회지, Vol. 5, no. 1, p. 52, 1996.
  24. 최유구, 정창희, 이대성, 김서운, 김수진, "1/50,000 단성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28, 1964.
  25. 홍승호, 윤욱, "1/50,000 장계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p. 17, 1993.
  26. J. M. Ferry and F. S. Spear, "Experimental calibration of the partitioning of Fe and Mg between biotite and garnet, 66", Contributions to the Mineralogy and Petrology, Vol. 66, p. 113, 1978. https://doi.org/10.1007/BF00372150
  27. T. D. Hoisch, "Empirical calibration of six geobarometers for the mineral assemblage quartz+muscovite+ biotite+plagioclase+garnet", Contribution to the Mineralogy and Petrology, Vol. 104, p. 225, 1990. https://doi.org/10.1007/BF00306445
  28. M. J. Holdaway, "Stability of andalusite and the aluminium silicate phase diagram", American Journal of Science, Vol. 271, p. 97, 1971. https://doi.org/10.2475/ajs.271.2.97
  29. M. J. Holdaway and S. M., Lee, "Fe-Mg cordierite stability in high-grade rocks based on experimental, theoretical and natral observations", Contributions to the Mineralogy and Petrology, Vol. 63, p. 175, 1977. https://doi.org/10.1007/BF00398778
  30. A. Indres and J. Martingnole, "Biotite-garnet geo-thermometry in the granulite facies: The influence of Ti and Al in biotite", American Mineralogist, Vol. 70, p. 272, 1978.
  31. I. V. Lavent'eva, and ,Phase correspondence in the system biotite-garnet experimental data", Doklady Akademii nauk SSSR, Vol. 260, p. 731, 1983.
  32. L. L. Perchuck and I. V. Lavrent'eva,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xchange equilibria in the system cordierite-garnet-biotite, In Saxena, S.K.,(ed.), Kinetics and Equilibrium in Mineral Reactions", Advances in Physical Geochemistry, Springer, New York, USA, p, 199,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