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실습에 대한 안경광학과 학생들과 실습업체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s

  • Lee, Ok-Jin (Department of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Dongnam Health College) ;
  • Jung, Se-Hoo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hinheung College) ;
  • Shin, Jin-Ah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 투고 : 2011.11.18
  • 심사 : 2011.12.17
  • 발행 : 2011.12.31

초록

목적: 안경광학과 실습생(학생)과 안경원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안경원의 임상실습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임상실습의 효율적 운영과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학생 중 임상실습의 경험이 있는 281명의 실습생과 안경원 원장 105명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에 관한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안경원의 92.4%(97곳)가 임상실습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원장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고(p=0.004) 임상실습 기간으로는 '4주'를 선호하였으며(53.3%) 안경원의 규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00). 실습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평균 3.50${\pm}$0.68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의 내용에 관한 만족도', '임상실습 시간 및 실습업체에 대한 만족도(평균 3.74${\pm}$0.80)'가 가장 높았고 실습생의 연령에 따라 통계적유의성을 보여주었다(p<0.05). 안경원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평균 4.08${\pm}$0.64로 학생들의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임상실습의 내용에 관한 만족도(평균 4.17${\pm}$0.54)'가 가장 높았다. 결론: 임상실습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실습생과 안경원의 만족도가 반영된 임상실습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이에 따른 폭 넓은 연구와 관심이 요구된다.

Purpose: To establish basic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quality improvement on clinical practice by investigating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and optical shop owners. Methods: A survey was administered for 281 students with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es and 105 optical shop owners regarding satisfaction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and optical shops.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survey results. Results: 92.% (97 shops) of optical shop owners responded that clinical practice was necessar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4) according to gender. 4 weeks was the preferred length of practice period (53.3%)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ptical shops (p=0.000).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students was 3.50 ${\pm}$ 0.68 and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program, clinical practice time and clinical practice shop (3.74 ${\pm}$ 0.80) were the highe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tudents (p<0.05).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for optical shops was 4.08 ${\pm}$ 0.64 which is higher than stud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program was (4.17 ${\pm}$ 0.54) was the highest. Conclusions: To maximize the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a clinical practice program reflecting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optical shops is required and further research and attention are requi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능력표준이란?"(2011), http://nos.hrdkorea.or.kr/nos/dispatcher.jsp?p_menu=81(2011.10.03).
  2.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능력표준 개발 배경"(2011), http://nos.hrdkorea.or.kr/nos/dispatcher.jsp?p_menu=82 (2011.10.03).
  3. 대한안경사협회, "2011년 전국 안경사용실태 보도자료" (2011), http://www.optic.or.kr/cate_02/content.asp?ref=478&step=1&re_level=1&board_id=notice&page=1&board_kind_sub=(2011.04.12).
  4.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조 의료기사.의무기록사 및 안경사의 업무범위등"(2011), http://www.lawnb.com/lawinfo/contents_view.asp?cid=E7B114D0ABAE40898E97A 4F652C5209E|0|K.(2011.11.16.).
  5. 김인식, 엄정희, "2년제 대학의 현장실습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 안경광학과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8:173-195(2000).
  6. 이숙자,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0(2):41-52(1980).
  7. 김선엽, 김지혁, 송주영, 안덕현, 채정병, "물리치료학 전공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1(3):71-84(2004).
  8. 이영애, 김영선,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정도와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지, 8(4):353-359(2008).
  9. 김영순, 김연선,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장소에 따른 만족도 조사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4(4):543-552(2010).
  10. 손행미, 김숙영, 이화인, 전은미, 한신희, "임상실습 지도자의 부담감과 교수 효율성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4(2):187-203(1998).
  11. 양승경, 한경순, "치위생 현장임상교육에서 임상실습지도자의 교수 효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4):653-664(2009).
  12. 류경호, "안경광학과 전공교육과정에 대한 안경사들의 요구도 분석", 대한시과학회지, 11(3):161-171(2009).
  13. 이옥진, 신진아, 정세훈, "안경광학과 임상실습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5(4):319-328(2010).
  14. 이옥진, 김상모, 정세훈, 이승원, 윤경한, 김상기, "경기지역 안경광학과 학생들의 안경원 창업교육 요구도", 한국안광학회지, 14(1):23-29(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