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commodative Astigmatism of Near Vision

근거리 주시 시 조절성 난시에 대한 연구

  • Lee, Hark-Jun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Wonkwang Health Science College)
  • 이학준 (원광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11.07.30
  • Accepted : 2011.09.1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 accurate grasp of the astigmatic change due to eyes accommodation on near vision and suggested problems occurring accommodative astigmatism using near glasses. Methods: 154 subjects(308eyes) from 20 to 40 years selected for this study who had many opportunity of near vision. First, far vision corrective refraction measured using the phoropter, and then both eyes opened simultaneously for maintaining the function of binocular put away dot chart 40 cm. One eye was fogging and the other eye measured near vision astigmatism axis and degrees astigmatism using cross cylinder, and then compared with far astigmatism. Results: Increased degree of astigmatism persons on near vision more than decreased or did not changed degree of astigmatism persons, which could affect visual acuity more than 0.75 diopters in 30 eyes with an increase of 9.7% of total subjects. Direct astigmatism and oblique astigmatism were increased on near vision. Astigmatic axes were rotated base in direction on both eyes and 66.9% of subjects were more than ${\pm}$5$^{\circ}$ rotation. Due to the rotation axis of astigmatism, residual astigmatism is expected to occur and expect to adversely affect the eyes. Conclusions: Long-term using the glasses without correction of increased astigmatic and rotated axis on near vision should occur new residual astigmatism and increase the asthenopia also. Considered to be taken astigmatic change on near vision during near refraction examination.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주시 시 눈의 조절로 인한 난시의 변화를 파악하여 근용 안경사용 시 조절성 난시 발생의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근거리 주시 기회가 많은 20세에서 40세까지 154명을 대상으로 포롭터를 사용하여 원거리 교정 굴절력을 측정한 다음 점군시표를 40 cm 거리에 두고 양안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두 눈을 동시에 뜨게 하고 한쪽 눈을 운무 시키고 다른 눈에는 크로스실린더 렌즈를 사용하여 근거리 난시축, 난시량을 측정하여 원거리 난시와 비교하였다. 결과: 근거리 주시 시 난시량이 감소 또는 변화가 없는 사람보다 증가한 사람이 많았고,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0.75D이상 증가한 눈이 총 30안으로 전체 대상자의 9.7%로 나타났다. 근거리 주시 시 직난시와 사난시가 증가 하였고 난시 축방향은 좌안, 우안, 모두 내회선 하였으며 ${\pm}$5$^{\circ}$ 이상 회전된 눈은 조사대상자의 66.9%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난시의 축방향 회전으로 인하여 잔류난시의 발생이 예상되어 눈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근거리 주시 시 난시량의 증가와 축방향 회전으로 교정이 안된 안경을 장용하고 근거리를 주시하면 새로운 잔류난시가 발생하여 눈의 안정피로가 증가할 수 있어 근용 굴절검사에서 근거리주시에 의한 난시 변화를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진성, 윤정우, 김재호, "VDT 작업이 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지, 33(7):693-697(1992).
  2. 성풍주, "Optometry 안경광학", 6판, 대학서림, 서울, pp.77, 91-95(2009).
  3. 신문균, "눈의 생리학", 초판, 현문사, 서울, pp. 25-26, 177(1995).
  4. 진용한, "굴절검사와 처방", 증보판, 울산대학교 출판부, pp. 179-180(2004).
  5. 주석희, 심현석,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시 난시축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12(2):47-59(2007).
  6. Mandell R. B. and Polse K. A., "Corneal Thickness Changes Accompanying Central Corneal Clouding", Am. J. Optom., 48(2):129-132(1971). https://doi.org/10.1097/00006324-197102000-00006
  7. 김덕훈, "시기생리학", 초판, 현문사, 서울, pp, 28-35, 168(2005).
  8. Fairmaid J. A., "The Constancy of Corneal Cuvature", Brit. J. Physiol. Opt., 16(1):2-23(1959).
  9. 주석희, 박성종, "연령에 따른 원,근거리 난시의 굴절력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12(2):25-36(2007).
  10. Tokoro T., Murakami K., Shibata S., Murase Y., and Inoue H., "Corneal and total astigmatism Report II", Studies on cases with total astigmatism, Nippon Ganka Gakkai Zasshi, 81(6):532-538(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