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취업스트레스가 취업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stress on self-confidence in job-seeking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 투고 : 2011.01.25
  • 심사 : 2011.03.20
  • 발행 : 2011.03.31

초록

대학생들의 취업률 향상을 위하여 각 대학에서는 취업상담, 채용정보 제공, 취업강좌 개설, 모의면접, 각종 어학 모의고사 실시 등 다양하게 시행을 하고, 학생 스스로도 학점관리, 자격증 취득, 외국어시험 등 다양한 취업준비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계명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취업을 위한 학교 지원에 대한 인식정도, 학생들의 취업준비 정도와 취업스트레스가 취업에 대한 자신감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취업에 대한 학교의 지원이 많을수록 학생들의 취업준비 정도가 높았으며,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취업에 대한 자신감은 떨어졌다.

To enhance employment rate of students, every college provides various methods, such as consulting, information provision, course and mock interview. Students also are trying to get high GPA scores, to achieve certificates and to enhance english ability for getting jobs. We analyzed the relations self-confidence in getting jobs, college supports, students preparation for getting jobs and job-seeking stres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e found that college supports increase students preparation for getting jobs and job-seeking stress lessens self-confidence in getting job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훈 (2009).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취업스트레스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2. 강원준, 김종인, 김정원 (2008).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분석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 17-36.
  3. 김민정, 조긍호 (2009). 취업준비생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성숙도가 무망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23, 47-62.
  4. 김혜정 (2004).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신체적 증상과의 관련성>,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5. 남진열 (2010). 대학생의 개인적 직업 관련요인들과 취업준비실태의 관계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2, 353-374.
  6. 민혜리 (2003). 대학졸업자 취업구조의 변화가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양식 변화에 미친 영향. <교육비평>, 12, 148-182.
  7. 박기문, 이규녀 (2009). 대학생의 진로개발과 취업준비에 대한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 103-127.
  8. 박미경, 이현림 (2008).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5, 239-259.
  9. 신선행 (2010).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0, 663-670.
  10. 이요행, 권혜자 (2009). 대졸 청년층 노동시장에서 국가자격 취득의 취업 및 임금효과. <직업교육연구>, 28, 95-111.
  11. 이은화, 박정희 (2009). 남녀 대학생의 취업준비 학습실태 및 직업기초역량 교육의 만족도 차이. <진로교육연구>, 22, 141-166.
  12. 이승호 (2008). 참여정부의 실업관련정책 평가; 청년실업 해결을 향한 16가지 정책 제언. <도시와 빈곤>, 86, 77-105.
  13. 장재윤, 신희천, 이지영 (2007). 대학에서 "전공"에 몰입하면 좋은 직장을 얻게 되는가? 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20, 415-435.
  14. 진미석, 정혜령, 이수영 (2010). 국내 4년제 대학의 진로개발지원 현황과 과제. <진로교육연구>, 23, 35-152.
  15. 정태영, 이기엽 (2005). 대졸자 취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학점이 취업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8, 159-184.
  16. 채창균, 김태기 (2009). 대졸 청년층의 취업 성과 결정 요인 분석. <직업교육연구>, 28, 89-107.
  17. 황성혜, 박종구 (2009). 대학생 취업난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효과 -사바나 이론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4, 85-101.
  18. Choi, K. (2005) Enhancing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6, 781-790.
  19. Choi, K. (2006). An empirical study for university educational service satisfaction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7, 279-289.
  20. Fornell, C. and La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 39-50.
  21.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22. Jeong, S., Cho, K., Lee, W., Choi, Y. and Song, K. (2004)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dental resident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 395-403.
  23. Park, T. (2002). Determinants of IT Usage : Test of the revised TAM.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3, 8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