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water quality management of lake Pyeungtaek for the reduction of pollutant loadings in upstream watersheds

상류 유역의 오염부하량 삭감에 따른 평택호 수질관리 보존 대책 연구

  • 황병기 (상명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0.12.22
  • Accepted : 2011.03.1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Water quality surveys has been performed to establish water quality improvement strategy for the lake Pyeungtaek, and WASP model was used to simulate to identify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pollutant loadings for the upstream watersheds. Assuming that present loadings was continued up to the future, the water quality of the lake was found to be getting worse resulting from the increase of pollutants due to the planned future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made various scenarios to predict the future water quality, scenario 6 made a large contribution to improve the lake water quality compared to others. Even the scenario 6, COD concentration of year 2016 in the lake was examined to be under the 4th rate of water quality level for the lake (COD less than 8 mg/L), similar to year 2021. Even though additional reduction of loadings for the scenario 6 was made, the water quality in lake was a little improvement, and was though to be inappropriate action in the economic point of view.

평택호의 수질개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호수 내 수질조사를 2회 수행하였으며, 상류 유역의 부하량 삭감에 따른 호소 내 수질개선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WASP/EUTRO5 모형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현재의 부하량이 장래에도 지속이 되는 경우에는 호소 내 수질이 상류 유역의 개발에 따른 오염부하량의 증가로 수질이 더욱 더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부하량 삭감 대책을 수립하여 장래의 수질을 예측하였으며, 대안 6가 다른 대안에 비하여 호소의 수질농도를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안 6의 경우에도 2016년에 호소 내 COD 농도가 9.74 mg/L로 호소수질환경기준 약간 나쁨(4등급, COD 8 mg/L 이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1년에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안 6에 부하량을 추가로 삭감하여도 호소의 수질개선 효과는 미미하며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신동석, 권순국, "WASP5모형을 적용한 복하천의 수질예측", 한국환경농학회지, 16(3), pp.233-238, 1997.
  2. 이길성, 팔당호 수질조사 및 평가 보고서, 1993.
  3. 조홍연, 전경수, 이길성, 한광석, "WASP4 모형의 매개변수 추정", 대한환경공학회지, 13(4), pp.177-188, 1993.
  4. 정팔진, 고흥석, 현미희, 이은주, "WASP & WASP Builder을 이용한 농업용저수지 유역의 수질관리", 한국물환경학회지, 20(5), pp.422-431, 2004.
  5. 박영기, 최문술, 이장춘, "WASP5 모형에 의한 새만금호의 수질 매개변수 추정", 22(4), 대한환경공학회지, pp.743-75, 2000.
  6. 서동일, 최재훈, 이은형, 이혜근, "EUTRO5를 이용한 시화호 수질 모델 보정 및 검증", 대한환경공학회지, 23(1), pp.131-139, 2001.
  7. 신유리, 윤춘경, 전나정, 이한필, "WASP 모의를 이용한 하천 수계 중금속 위해성 평가 방법", 한국물환경학회지, 26(4), pp.629-636, 2010.
  8. APHA, AWWA, WEF,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s, 20th ed., Washington D.C. 1998.
  9.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 동화기술, 2001.
  10. Di Toro, D.M., Fitzpatrick, J.J., and Thomann, R.V., Documentation for 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 (WASP) and Model Verification Program, EPA/600/3-81-044, USEPA, 1981.
  11. Ambrose, R.B. et al., WASP5 A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USEPA, 1991.
  1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하천 수질관리 방안을 위한 연구, 1993.
  13. 황병기, 신응배, 곽결호, "안양천 구간 내 오염하천 정화시설 도입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4(1), pp. 99-109, 2002.
  14. 건설교통부, 용담다목적댐 건설사업 상수원보호구역지정 보고서, 2002.
  15. 건설교퉁부, 화북댐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서, 2002.
  16. 한강수계관리위원회, 평택호 수질개선대책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