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약산업 R&D 인력수급 전망과 인력수급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 - 델파이 조사 기법 적용

Study on R&D Manpower Requirements for the Field of Pharmaceutical - An Application of Delphi Method

  • 투고 : 2010.09.01
  • 심사 : 2011.03.10
  • 발행 : 2011.03.31

초록

제약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지식기반산업으로 우수한 연구개발 인력에 기초한 연구 역량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작용한다. 연구개발 역량이 우수한 국가가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높은 기술력만 있으면 세계 시장지배를 통해 고도성장이 가능한 분야다. 특히 제약분야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적정 규모의 연구인력 확보가 선결되어야할 과제다. 본 연구는 전문가 델파이 기법을 이용하여 제약분야의 연구개발 인력 수급 현황(2007년)과 함께 미래(2017년)의 인력수급 현황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현재 제약 산업 분야의 연구개발 인력은 적정규모에 비해 약 5,600명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부족률: 약 18.1%). 둘째, 향후 2017년에는 필요 연구개발 인력 대비 공급이 약 13,500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되어 연구인력 수급 불균형은 향후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본 연구결과는 정부의 제약 분야에 대한 R&D 인력수급 정책의 변화가 없을 경우 향후 인력 수급에 심각한 차질(부족 현상)이 예상됨을 보여주는 만큼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인력 수급 정책마련이 시급하게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Since the pharmaceutical industry is a research oriented sect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capability based on the qualified R&D manpower is one of the key success factors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Secur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researcher needed for the research activities in these fields is an important precondition for a government policy that aims for a strongly knowledge-intensive the pharmaceutical industry growth. In this study, we conducted and analyzed a delphi survey of the experts(the principal investigators) with expertise in these pharmaceutical research areas. The current and future requirements for the pharmaceutical science research personnel including medical doctors have been evaluated, extending the year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2007 the field of pharmaceutical R&D personnel is currently under-supplied as many as about 5,600 people. The rate of under-supplied is about 18.1%. Second, in 2017 the evaluation shows that the R&D personnel in this field will be more severely under-supplied as many as 13,500 people. The rate of under-supplied will be about 28.6%. As a result, the confrontation of demand and supply evaluation shows that, in general, severe shortages of R&D manpower in the field of pharmaceutical will result if there are not adequate manpower policy adjust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석관, "제약산업의 기술혁신 패턴과 발전전략",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4.
  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약산업실태분석, 2008.
  3. 국회보건의료포럼, "국내․외 제약산업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08.
  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연구개발실태 조사․분석", 각년도.
  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 각년도.
  6. 과학기술부, "2005-2014년 이공계인력수급조사 및 실태조사", 2005.
  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기술분류", 2006.
  8.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국가 의료연구개발투자현황 분석 및 투자전략 연구", 2006.
  9. 과학기술처, "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 과학기술부문계획, 1987-1991년", 1987.
  10. Crisp, J., Pelletir e, D., Duffidld, C., Adams, A., and Nagy, S. TheDelphi Method?, Nur sing Research, Vol. 46, No. 2, 1997.
  11. 김진응, "델파이기법을 이용한 병원정보시스템관리에서의 주요이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2. 곽승준 외, "해양산업의 전망과 정책과제 : 델파이, 접근방법", 해양정책연구 제17권 2호, 12월, pp. 1-18, 2002.
  13. 금재호, "IT 전문인력 수요실태조사", 노동연구원, 2003.
  14. 이초희, "국내 정보보호인력수급체계에 대한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15. 최윤희 외,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의 경쟁력 현황과 시장전략", 산업연구원, 2005.
  16. 최한주․서창진, "의료분야 연구인력 수급 전망과 정책과제 - 전문가 델파이조사 방법 적용",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 15권 2호, 12월, 2009.
  17. 강영호 외, "델파이법을 적용한 암연구수준의 평가", 예방의학회지, 1998.
  18. 기획재정부 외, "제약산업경쟁력 강화방안", 2010.
  19. Department of Trade and Industry, "Bioscience 2015", UK,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