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irls Left Behin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ffective Domains among Top 10% High Achievers in PISA 2006

최우수 여고생은 과학영재교육의 소외 집단인가? : PISA 문항의 과학성취도 상위 10% 고등학생의 과학 정의적 영역의 성차 분석

  • Received : 2011.02.21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op 10% high achievers of girls in high schools are not equally provided with opportunities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For this reason, the research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ffective domain through employing PISA 2006 science achievement test and survey of science affective domains. The research subjects of 132 students as top 10% high achievers extracted from those 1,409 students who were nationwidely sampled and responded to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and science affective domain survey in July 2008. The responses by 132 students of top 10% high achievers were analyz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cience achievement and most items of science affective domain survey between girls and boys of top 10% population in high schools. Further, it was indicated that top 10% high achieving girls have interest, self-concept, self-efficacy, future job aspiration in science as high as boys. In conclusions, further attentions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for girls are called for.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최우수 여학생이 과학영재교육 대상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ISA 2006 과학성취도 공개문항을 과학성취도 검사로 구성하여 실시하고 상위 10%에 속하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과학성취도와 과학 정의적 영역의 성차를 탐색하였다. 2008년 7월 전국적으로 표집된 41개교 1,409명을 대상으로 과학성취도 검사와 과학 정의적 영역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상위 10% 과학성취도를 성취한 132명 결과의 성차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상위 10% 남학생과 여학생의 과학성취도에는 유의한 성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과학 정의적 영역의 대부분 요인에서도 성차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최우수 여학생도 최우수 남학생만큼 과학을 즐기고 자아 개념 및 자기 효능감을 가지며 장래직업으로서 과학과목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과학 정의적 영역의 일부 문항에서는 유의한 성차가 나타났으며, 이 요인들은 가정과 학교의 교육여건이나 과학과목의 교육내용, 교사의 교수학습지도 전략을 통해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최우수 여학생에게 과학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등 과학영재교육의 기회가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변화의 특성. 연구보고 RRE 2008-3-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김경희 (2010). PISA연구 및 문항 개발 개요. pp3-12. PISA 2012 문항 개발 워크숍 자료집. 연구자료 ORM 2010-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김경희, 시기자, 김미영, 김부미, 옥현진, 임해미, 윤미선, 박소영 (2010a). OECD PISA에 나타난 학력의 상향평준화 현상 심층 분석. 연구보고 RRE 2010-14.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경희, 시기자, 김미영, 옥현진, 임해미, 김선희, 정송, 정지영 (2010b).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연구보고 RRE 2010-4-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김재철 (2005). 성별과 학습선호도 유형에 따른 독서흥미, 독서량, 인지전략, 학문적 자신감, 읽기소양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19(1), 93-114.
  6. 박정 (2006). 우리나라 여학생과 남학생의 OECD/PISA 과학적 소양 평가 문항에서의 차별기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40-449.
  7. 이미경, 박선희, 손원숙, 남민우 (2006). 2006년도 OECD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PISA 2006 본 검사 시행. 연구보고 RRE 2006-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이미경, 손원, 노언경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문항 분석 - PISA 2000, PISA 2003, PISA 2006 공개문항 -. 연구자료 ORM 2007-25.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Baker, D. (2002). Editorial: Where is gender and equity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8), 659-663. https://doi.org/10.1002/tea.10044
  10. Kahle, J. (2004). Guest editorial: Will girls be left behind? Gender differences and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61-969. https://doi.org/10.1002/tea.20051
  11. Gilleece, L., Cosgrove, J., & Sofroniou, N. (2010). Equity in mathematics and science outcome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high and low achievement on PISA 2006 in Ire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8, 475-496. https://doi.org/10.1007/s10763-010-9199-2
  12. Yip, D., Chiu, M., & Ho, E. (2004). Hong Kong student achievement in OECD PISA study: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content, literacy skills, and test item forma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 91-106. https://doi.org/10.1023/B:IJMA.0000026537.8519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