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MEA 2000 프로토콜을 적용한 선박 전력 컨버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MEA 2000 Protocol Application for Ship Electrical Power Converter Monitoring System

  • 홍지태 (부산대학교 전기공학과) ;
  • 박동현 (한국해양대학교 제어계측공학과) ;
  • 유영호 (한국해양대학교 IT공학부)
  • 투고 : 2011.01.28
  • 심사 : 2011.02.21
  • 발행 : 2011.03.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FPGA기반의 SoC보드(Xilinx Virtex-4 ML401 EVM)를 이용한 전력인버터제어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선박에 전력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 선박의 최신 통신 프로토콜인 NMEA 2000 표준 프로토콜을 적용하였으며 전력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PC기반의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전력 제어시스템은 FPGA기반의 임베디드 SoC보드상에서 이중프로세서(Dualprocessor)형태로 설계하였으며 이중프로세서를 적용함으로써 실시간 제어 감시가 가능하다. 이중프로세서 중 하나는 전력 제어를 위한 PWM신호생성 및 전력 회로내의 주요 전력 파라미터를 센싱 하는 제어용 프로세서로 동작하며(Control processor) 다른 프로세서는 제어프로세서의 각종 전력 센서 파라미터와 제어 파라미터들을 이중포트 램(Dual Port RAM)을 이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외부 NMEA 2000프로토콜 기반의 모니터링 장치와 네트워크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용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제작한 전력 제어시스템은 선박내의 분산발전,송배전 및 전압 레귤레이션 시스템에 적용 될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FPGA-based SoC board (Xilinx Virtex-4 ML401 EVM) is adopted to control electrical power inverter system. For marine application, its performance is shown on PC-based system for monito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power inverter using by the NMEA 2000 protocol. This power inverter system is achieved in Real-Time monitoring and control by dual micro-processor operation on embedded FPGA-based SoC board. One micro processor is for control (Control processor) electrical power inverter using by PWM signal. And the other microprocessor (Communication processor) is for communication with PC-based monitoring system. The two-processor is communicating each other using by dual-port ram (DPRAM). PC-based system user can control and monitor information of the electrical power inverter via NMEA 2000 based communication processor. Control and monitoring information includes the inverter status and configuration. SoC board converts this information to Parameter Group Numbers (PGNs) in the NMEA 2000 protocol. This system can be applied to marine power electronics for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regulation systems on the ship.

키워드

참고문헌

  1. IMO Maritime Safety committee 78th, 2004
  2. http://www.lowrance.com/Products/Marine/LowranceNET-Marine-Networking-System, 2010.
  3. http://www.maretron.com/products.php, 2010.
  4. 선박전자장치간 직렬데이터 네트워킹 규격(NMEA2000) 기술보고서, TTA 단체표준작성, TTAR-11.0012, 2009.
  5. MEA2000, Standard for Serial-Data Networking of Marine Electronic Device, ver 1.20, 2004.
  6. ISO11898-1, Controller Area Network, 2006.
  7. ISO11898-1,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Data link layer and physical signaling, 2006.
  8. F. Cassidy, "NMEA 2000 Explained-The latest word", Marine Electronics, 1999.
  9. 김경엽, 박동현, 심진보, 유영호, "2010 A study of marine network NMEA2000 for e-Navigation",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 34, no. 1, pp. 133-140, 2010.
  10. NMEA와 NMEA 2000통신프로토콜 표준화 동향, TTA Journal, 기술해설, no. 126, pp52-57, 2009.
  11. NMEA, Appendix B.1-PGN Table, ver1.210, 2006.
  12. 박동현, 허진영, 김종현, 유영호, 심진보, 신옥근, "FPGA를 이용한 NMEA2000 선박표준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구현",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공동학술대회논문집, pp. 205-206, 2009.
  13. 박동현, 김종현, 김경엽, 홍지태, 유영호, "Development of SOC for NMEA2000 ship standard network protocol using FPGA", International Symposium on Marine Engineering (ISME), 2009.
  14. 박동현, 홍지태, 김경엽, 유영호, "Marine implementation of SoC for NMEA2000 ship standard network protocol using FPGA",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vol. 34, no. 1, pp. 125-132, 2010.
  15. 김경엽, 김종현, 박동현, 홍지태, 유영호, "A Study of on marine network NMEA 2000 for e-Navigation", International Symposium on Marine Engineering (ISME), 2009.
  16. http://www.nmea.org/Assets/20100813%20nmea%202000%20registration%20numbers.pdf, 2010.

피인용 문헌

  1.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igital Interfac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an Analysis of Integration Condition of Ships vol.48, pp.6, 2011, https://doi.org/10.3744/SNAK.2011.48.6.490
  2. Design of High-Speed Easy-to-Expand CC-Link Parallel Communication Module Based on R-IN32M3 vol.E102.D, pp.1, 2019, https://doi.org/10.1587/transinf.2018EDP7101
  3. NMEA 2000 범용 게이트웨이 설계 및 구현 vol.c39, pp.2, 2011, https://doi.org/10.7840/kics.2014.39c.2.191
  4. 소형 선박 기관부 탑재 장비의 경량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개발 vol.21, pp.1, 2011, https://doi.org/10.6109/jkiice.2017.21.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