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ABO Antibody Titration Using Tube and Column Agglutination Techniques

ABO 동종 응집소 역가 측정을 위한 시험관 및 미세원주응집법의 평가

  • Cho, Chi-Hyu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Ha-Nui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Yun, Seung-Gyu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i, Gye-Ryu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Choi, Jae-Y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Jang-Su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im, Chae-Seung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Kim, Young-Ke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 Lee, Kap-No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 조치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김하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윤승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최계령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최재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김장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임채승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김영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 이갑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
  • Received : 2010.07.28
  • Accepted : 2010.09.06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Background: ABO antibody titration is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ABO-incompatible bone marrow or solid organ transplantations, yet the results quite vary between different test methods used. We compared the results of microcolumn agglutination and tube methods. Methods: Anti-A and anti-B isoagglutionin titers were determined in 63 healthy individuals (23 O, 20 A, and 20 B blood groups) using 4 different methods: immediate spin tube (tube), microcolumn agglutination without anti-human globulin (AHG) (CAT), tube with AHG (tube-AHG) and microcolumn agglutination with AHG (CAT-AHG). Results: The median (range) titers of anti-A and anti-B in group O individuals by tube, CAT, tube-AHG, and CAT-AHG methods were 64 (8-512), 64 (8-512), 128 (8-2,048), and 128 (16-2,048); 64 (16-128), 128 (16-256), 128 (16-512), and 256 (16-512), respectively. The median (range) titers of anti-A in group B and anti-B in group A individuals by the four methods were 64 (16-128), 128 (8-128), 128 (8-256), and 256 (8-256); 64 (8-128), 64 (8-128), 32 (8-128), and 64 (8-256), respectively. The isoagglutinin titer measured by CAT-AHGmethod was the highest. The titers measured by CAT and CAT-AHG methods were 0-1 titer higher than those by tube and tube-AHG methods, respectively. Whatever method was used, the isoagglutinin titers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Conclusions: CAT-AHG was the most sensitive method among the four methods tested. Since AHG titer values are critical for the clinical management and CAT has less manual procedures than tube method, CAT-AHG method could be us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ABO antibody titration in different institutions.

배경: ABO 혈액형의 동종응집소 역가는 ABO 부적합 골수이식 또는 장기 이식에서의 경과 관찰 및 치료평가 등에 도움을 주나, 미세원주응집법이나 시험관법 등 검사법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저자들은 시험관응집법과 미세원주응집법을 이용한 동종응집소 역가의 분포를 비교 평가하였다. 방법: 2010년 4월부터 8월까지 4개월간 고려대 구로병원에서 검진을 받은 2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중 O형 환자 23명, A형 환자 20명, B형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온식염수 시험관응집법, 미세원주응집법, 항글로불린 시험관응집법과 항글로불린 미세원주응집법의 네 가지 방법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결과: 시험관 응집법, 미세원주응집법, 항글로불린 시험관응집법, 항글로불린 미세원주응집법 네 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O형 환자들의 동종응집소 역가의 중앙값은 각각 항-A는 64 (8-512), 64 (8-512), 128 (8-2,048)과 128 (16-2,048)이고, 항-B는 64 (16-128), 128 (16-256), 128 (16-512)과 256 (16-512)였다. 동일한 네 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A형 환자들의 항-B 동종응집소 역가의 중앙값은 각각 64 (8-128), 64 (8-128), 32 (8-128), 64 (8-256), B형 환자들의 항-A 동종응집소 역가의 중앙값은 각각 64 (16-128), 128 (8-128), 128 (8-256), 256 (8-256)였다. 네 가지 동종응집소 측정 모두에서 항글로불린 미세원주응집법이 가장 높은 역가를 보였다. 미세원주응집법에 의한 역가는 실온식염수 시험관응집법에 의한 역가와 같거나 한 단위 역가만큼 더 높았다. 항글로불린 미세원주응집법으로 측정한 역가는 항글로불린 시험관응집법으로 측정한 역가와 같거나 한 단위 역가만큼 더 높았다. 네 가지 방법에 의한 동종응집소 역가의 기하평균은 O형 환자의 항-A, 항-B, A형 환자의 항-B 및 B형 환자의 항-A 모두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 항글로불린 미세원주응집법이 네 가지 방법 중 가장 민감한 방법이었다. 항글로불린을 첨가한 동종응집소 역가 측정이 장기 이식 등의 임상 판단에 중요하며 시험관응집법에 비해 미세원주응집법에 수기 과정이 간편함을 고려할 때 항글로불린 미세원주 응집법을 사용하여 기관 간 변이를 측정한다면 동종응집소 역가 표준화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