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eismic Retrofit Design of the Stabilized Piles by 1g Shaking Table Tests and Pseudo-static Analysis

1g 진동대 실험 및 등가정적해석을 이용한 억지말뚝의 사면안정 내진보강 효과 연구

  • 한진태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조종석 (UC Davis 토목공학과) ;
  • 유민택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승현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1.02.22
  • Accepted : 2011.03.14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Korea has about 70% of its land classified as the mountain area, which has led to cut-slope being the result of substantial road and railway construction.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research about the seismic retrofit design of a slope, even though many earthquakes have recently occurred at home and abroad.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bilizing effect of piles against sliding during an earthquake, a series of 1 g shaking table tests and pseudo-static analyse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 stabilizing effect of piles against sliding during an earthquake was verified by the 1 g shaking table tests and the most effective result from the pseudo-static analyses was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piles on the central part of the slope, where the failure surface included piles unlike the lower part and upper part of the slope. Furthermore, when the pile was installed on the central part of the slope, the change of the safety factor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wo piles was evaluated.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인 국내 지형 조건에서 도로, 철도 등 크고 작은 건설 공사에서는 필연적으로 사면이 형성된다. 그러나, 최근 국내외적으로 빈번히 발생하는 지진에 대한 사면안정 보강공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g 진동대 실험 및 등가정적해석을 이용하여 사면의 내진 보강공법으로써 억지말뚝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억지말뚝이 적용된 사면 및 억지말뚝의 지진시 거동을 분석하였다. 1 g 진동대 실험 결과로부터, 억지말뚝 보강 사면의 지진시 사면파괴 억지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등가정적해석을 통해 억지 말뚝을 사면 하부 또는 상부보다 사면 파괴면의 중앙부에 말뚝을 설치했을 때 사면파괴 억지효과가 가장 큼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뚝이 사면 중앙부에 설치되었을 경우, 말뚝의 중심 간격에 따른 안전율 변화를 등가정적해석으로부터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주택공사 (1999) 대한주택공사 토목구조물 내진설계지침.
  2. 송영석 (2004) 활동억지시스템으로 보강된 사면의 설계법,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17-327.
  3. 이승호 (2005) 억지말뚝 근입깊이 및 배치간격에 따른 사면 안전율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pp. 115-121.
  4. 정상섬, 유광호, 이선근 (2003) 억지말뚝-사면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19권, 5호 pp. 163-173.
  5. 한국지반공학회 (2006) 지반구조물의 내진설계.
  6. 홍원표, 한중근, 송영석, 신도순 (2003) 대절토사면에 보강된 억지말뚝의 활동억지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사면안정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65-81.
  7. 홍원표, 송영석 (2005) 사면에 설치된 억지말뚝의 활동억지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1권, 1호, pp. 69-80.
  8. Ito, T., Matsui, T. and Hong, W.P. (1981) Design method for stabilizing piles against landslide-one row of piles, Soils and Foundations, Vol.21, No.1, pp. 21-37. https://doi.org/10.3208/sandf1972.21.21
  9. Ito, T., Matsui, T. and Hong, W.P. (1982) Extended design method for multi-row stabilizing piles against landslide, Soils and Foundations, Vol.22, No.1, pp. 1-13. https://doi.org/10.3208/sandf1972.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