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tical Study for Improving the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eam depend on Section Change

합성보의 단면변경을 통한 내화성능 향상에 관한 해석 연구

  • Received : 2010.12.02
  • Accepted : 2011.04.08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On the result of load-bearing fire test to confirm the fire resistance of a composit beam, if the composit beam has lower fire resistance than required standard, it can be improved by section change. But if there are many types of section change, it takes much time and cost owing to conducting many tests.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ich part of the asymmetric H-section composit beam affected most on fire resistance by heat-transfer analysis. Then, we checked the tendency of improving fire resistance depend on section change by heat-transfer and non-linear structural analysis and suggested a changed section having 1-hour fire resistance.

합성보의 내화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재하가열시험 결과, 내화성능이 부족한 경우 단면의 변경을 통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변경조건이 다양하다면 다수의 실험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H형강 합성보 단면에서 내화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열전달해석을 수행하여 확인하고, 이후 단면변경을 통한 내화성능 향상 추세를 열전달해석 및 비선형구조해석으로 확인하여 1시간 내화성능을 가질 수 있는 변경된 단면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상훈, 최승관, 김희주, "비대칭 H형강을 사용한 슬림플로어 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19, No.4, pp.357-366(2007).
  2. 박원섭, 최승관, 한상훈, 이철호, 김정현, "비대칭 슬림플로어 합성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469-472(2008).
  3. 박수영, 김흥열, 홍갑표, "하중비에 따른 비대칭 H형강 슬림플로어 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26, No.9, pp.55-62(2010).
  4. 민정기, 강석원, 김명한, 김상대, "iTECH보의 내화성능에 대한 해석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Vol.21, No.7, pp.37-45(2005).
  5. C.G. Bailey, "The behavior of Asymmetric Slim Floor Steel Beams in Fire",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50, pp.235-257(1998).
  6. V.K.R. Kodur and M.M.S. Dwaikat, "Response of Steel Beam-column Exposed to Fire", Engineering Structures, Vol.31, pp.369-379(2009). https://doi.org/10.1016/j.engstruct.2008.08.020
  7. BS 5950-8:2003, "Structural Use of Steelwork in Building. Code of Practice for Fire Resistant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