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ater budget analysis in the groundwater system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water budget distributions in the ground water system in Geum-gang watershed. The annual amounts of precipitation, runoff, evapotranspiration, dam storage change and water supply over the sub-watershed in Geum-gang watershed were evaluated the residual groundwater from 2002 to 2006, based on the water budget considering inflow and outflow. Then we are able to expect residual groundwater of each sub-bas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udy, the year 2003 and 2006 were recorded the highest and the lowest precipitation value, respectively. Average run-off percentage against precipitation was 60.44%. Annual evapotranspiration in each of years didn't show the remarkable variations but the values were high in the lower reaches of the basin. The residual waters in Geum-gang basin were determined to be 133.36 in 2002, 77.64 in 2003, -19.40 in 2004, -82.25 in 2005 and -128.07 mm in 2006. The residual water in Geum-gang basin was high in the main and up stream such as Maepo. Also the residual water showed low distributions in Nonsan and Seokhwa.
금강유역의 지하수계 내 물수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유역의 2002년에서 2006년까지 강우량, 하천 유출량, 증발산량 및 상수도 유입량, 댐 저류변화량을 산출하였고 이 값들을 바탕으로 유역 내 유출입량을 고려하여 금강유역 내 물수지 잔류량을 산정함으로써 년도 및 소 유역별 수자원의 분포 양상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2003년에 가장 많은 강우량이 기록되었고, 2006년의 강우량이 가장 적었으며 강우량 대비 유출률은 5개년 평균 60.44%로 산출되었다. 년도 별 증발산량은 큰 편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주로 금강 하류 지역에서 다량의 증발산이 산출되었다. 산정된 값들을 토대로 물수지를 분석한 결과 각 년도 별 유역 내 물수지 잔류량은 2002년 133.36, 2003년 77.64, 2004년 -19.40, 2005년 -82.25, 2006년 -128.07 mm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역 내에 잔류되어있는 수자원의 총량이 적어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금강 유역 물수지 잔류량은 대체로 금강의 상류와 금강 본류인 공주 부근에서 많이 산출 되었고, 청주 인근의 미호천 유역과 논산이 위치한 금강 하류 유역으로 갈수록 유역 내 잔류량이 적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