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ptimal Site Selection of Carbon Storage Facility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위성영상과 GIS를 활용한 CO2 지중저장 후보지 선정

  • Hong, Mi-Seon (School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Sohn, Hong-Gyoo (School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Jung, Jae-Hoon (School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Cho, Hyung-Sig (School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Han, Soo-Hee (School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홍미선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손홍규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정재훈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조형식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한수희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1.02.09
  • Accepted : 2011.02.20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In the face of growing concern about global warming,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One method to mitigating the release of carbon dioxide is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CCS includes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industrial emission in plants, transport to a storage site, and long-term isolation in undergrou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alyses on optimal site selection, surface monitoring, and additional effects by the construction of CCS facility in Gyeongsang basin, Korea. For the optimal site selection, necessary data; geological map, landcover map, digital elevation model, and slope map, were prepared, and a weighted overlay analysis was performed. Then, surface monitoring was performed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As a result, the candidate region was selected inside Gyeongnam for carbon storage. Finally, the related regulations about CCS facil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legal question of selected site.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가 국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를 억제시키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장기간 안정적으로 저장시킬 수 있는 탄소 포집 및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CCS 기술은 이산화탄소 저감 방안 중 가장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이산화탄소 최적 저장지의 선정 및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이 야기할 수 있는 부수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분지를 대상으로 GIS 기법을 이용하여 CCS 설비를 위한 적지 분석을 수행하고, 현황분석 및 법적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지분석에는 지질도, 수치표고모형, 경사도, 토지피복도를 이용한 경중률 분석이 사용되었으며, 현황분석에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지내 이산화탄소 저장시설 설치를 위한 최적후보지가 선정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법적분석에서는 탄소 저장과 관련된 현행 규정 및 탄소 저장시설의 설비 시 문제가 될 수 있는 각종 법적 사항을 조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제뉴스, 2010. 환경의 메카 포스코 광양제철소 탐방, http://blog.naver.com/prelancer
  2. 윤용승, 이승종, 2008. FutureGen 프로젝트와 CO2 지하저장 현황, 공업화학 전망, 11(1): 2-15.
  3. 이진덕, 이현화, 김성길, 2001.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 시스템의 이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4(4): 29-38.
  4. 이태종, 한누리, 고광범, 황세호, 박권규, 김형찬, 박용찬, 2009.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Pilot 부지 선정을 위한 의성지역 TM 탐사,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12(4): 299-308.
  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온실가스 대응 및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중점 녹색기술로서의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CCS)기술 현황과 정책동향, 동향브리프, 1: 1-18.
  6. 황국웅, 이규완, 2000. GIS와 다요소의사 결정방법 (MCE)에 의한 김해 대청공원 집단시설지구 적지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3(3): 45-53.
  7. 허 철, 강성길, 최종수, 홍섭, 2008. 국내외 이산화탄소 육상/해양지중저장 연구 현황 및 비교 분석,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