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stablishing the Subbase Compaction Control Method based on the In-situ Elastic modulus

현장탄성계수에 근거한 보조기층 다짐관리방안 연구

  • 최준성 (인덕대학 토목환경설계과) ;
  • 김종민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한진석 (세종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김부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Received : 2010.01.19
  • Accepted : 2010.12.03
  • Published : 2011.03.15

Abstract

The resilient modulus which is presented mechanical properties of compacted subbase material is the design parameter on the Mechanistic - Empirical pavement design guide. The compaction control method on the Mechanistic - Empirical pavement design guide will be the way to confirm whether the in-situ elastic modulus measured after the compaction meets the resilient modulus which is applied the design. The resilient modulus in this study is calculated by the neural network suggested by Korea Pavement Research Program, and degree of compaction as the existing compaction control test and plate bearing capacity test(PBT)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 in-situ elastic modulus is measured. The Light Falling Weight Deflectometer(LFWD) is additionally tested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in-situ elastic modulus and resilient modulus, and is proposed correlation equation and test interval which can reduced overall testing cost. Also, the subbase compaction control procedure based on the in-situ elastic modulus is proposed using the in-situ PBT and LFWD test result.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보조기층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보조기층 다짐재료의 역학적 특성을 반영한 실내 회복탄성계수는 역학적-경험적 포장설계법에서 적용하는 설계 인자이다. 따라서, 역학적-경험적 포장설계법의 보조기층 현장에서 실시하여야 하는 다짐관리는 다짐 후 측정된 현장 탄성계수가 설계에 적용된 실내 회복탄성계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다짐관리 시험인 들밀도 시험과 평판재하시험(PBT)의 시험결과와 현장탄성계수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현장에서 탄성계수를 측정할 수 있는 소형 충격 재하시험(LFWD)을 통한 현장탄성계수와 실내 회복탄성계수와의 상관관계식과 시험간격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현장시험을 통한 보조기층의 다짐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9) "도로공사 표준 시방서"
  2. 권기철(2004) "국내 보조기층 재료의 변형특성을 고려한 전체 변형률 영역의 구성모델 개발",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pp, 65-77
  3. 김지환, 강병준, 이준환, 최준성(2008)" 응력의존성을 고려한 보조기층 해석모델 개발", 대한토목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4. 김종민, 최준성, 한진석, 김부일(2008) "노상 및 보조기층의 평판재하시험 대체를 위한 소형 충격재하시험 활용방안 연구", 한국도로학회 2008 학술발표회 논문집
  5. 박현일, 권기철, 오세붕(2005) "인공신경망 모델에 근거한 노상토 및 보조기층 재료의 탄성계수 추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pp, 61-71
  6. 최준성, 김인수, 김수일(2002) "도로포장 구조체의 물성추정을 위한 비파괴 시험장비와 국산화 연구", 대한토목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09-212
  7. 최준성, 김종민, 김부일, 한진석(2006) "탄성계수에 근거한 포장하부구조 다짐기준 정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도로학회 2006 학술발표회 논문집
  8. 최준성, 김종민, 김부일, 한진석(2009) "노상 및 보조기층의 소형 충격 재하시험 활용방안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pp. 85-98
  9. 한국형 도로포장설계법 개발과 포장성능 개선 방안 연구(2006, 2007, 2008, 2009) "C 도로포장 하부구조 다짐관리 지침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