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 Interrupted and the Child Care of Married Women

  • 엄경애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투고 : 2010.11.08
  • 심사 : 2011.01.27
  • 발행 : 2011.02.28

초록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career interruption of highly-educated housewives, their experiences of caring for their children after career interruption,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reemployment. The participants were university-graduated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older than 2 year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twenty-nine participants. The essence of this study is the belief system that career and maternal roles are not compatibl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possessed a certain motherhood ideology, so they gave up working in order to care for their children, deferring their careers for a while. The participants had ambivalent feelings about working mothers, and described their children by highlighting their negative aspects.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ersistent conflicts about developing their careers and caring for their children during their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The participants seemed to possess a vague sense of hope about their career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careers were ambiguous in the past, present, and even in the futur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인하대학교

참고문헌

  1. 구명숙․홍상욱(2005).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연구: 전업주부 재취업 훈련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63-167.
  2. 권희경(2010).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87-97.
  3. 김남주․권태희(2009). 기혼여성의 직장․가정균형과 삶의 질의 상호관계. 여성연구, 76(1), 43-70.
  4. 김선미(2004). 전업주부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537-553.
  5. 김영경(2007).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경력개발계획과 재취업 교육 요구분석 연구. 여성연구, 73(2), 85-118.
  6. 김영옥(2002). 여성의 동태적 노동공급: 취업연속성과 첫 노동시장 퇴출 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5(2), 5-40.
  7. 김정희․문혁준(2006).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부모역할만족도 및 양육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4(1), 115-129.
  8. 김지경(2003).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단절 및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9. 김지경(2004).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3), 91-104.
  10. 김지경․조유현(2003). 젊은 여성의 첫 출산 후 노동시장 복귀에 관한 분석. 노동경제논집, 26(3), 181-207.
  11. 김태홍(2000). 여성고용구조의 변화와 향후 정책방향. 서울: 한국 여성개발원.
  12. 김태홍․민무숙․김영옥․김선미․양순애․진미석․주재선 (2001). 여성인적자원 개발 및 활용제고를 위한 추진 전략.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3. 김희연(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위탁 과제 보고서.
  14. 문혁준(2003).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생활만족도 비교 연구. 아동학회지, 24(5), 59-75.
  15. 문혁준(2009).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어머니의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0(2), 57-69.
  16. 민무숙(2002). 여대생의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위한 대학의 지원 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7. 박경란․이영숙․전귀연(2001). 현대가족학. 서울: 신정.
  18. 박경숙․김영혜(2003). 한국 여성의 생애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63-90.
  19. 박수미(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 19(1), 43-80.
  20. 방경숙(2004). 취업모와 미취업모의 양육태도, 양육부담감 및 학령전기 자녀의 기질과 건강관련 변인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0(2), 217-224.
  21. 오은진․박성정․민현주․김난주․송창용․김지현(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조사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2. 윤택림(2001). 한국의 모성. 서울: 미래인력연구원.
  23. 윤택림(1996). 생활문화 속의 일상성의 의미: 도시 중산층 전업 주부의 일상성과 모성 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2(2), 79-117
  24. 이민경(2007). 중산층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담론 - 자녀교육 지원 태도에 대한 의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7(3), 159-181.
  25. 이숙현(2004). 고학력 여성의 취업 중단과 재진입. 김미경․백진아․이미숙․이미정․이선이․이숙현 공저, 일과 가족사이. 서울: 조은글터.
  26. 이재경(2003).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근대가족과 페미니즘. 서울: 또하나의문화.
  27. 이재열(1996).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인구학, 19(1), 5-44.
  28. 이현정(2009). 취업모의 직업 특성이 양육행동과 영유아의 운동, 사회, 인지 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3), 1-21.
  29. 장서영(2008).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여성연구, 74(1), 79-104.
  30. 장서영․오민홍․은혜경․최미정(2007).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고용정보원.
  31. 장영은(2009). The effects of child care and maternal employment on mothers' well-being and child outcomes: the roles of maternal beliefs and attitudes (보육과 어머니 취업이 어머니의 복지감과 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신념과 태도의 역할). 가족과 문화, 21(1), 175-207.
  32. 장지연․김지경(2001). 양육형태와 비용이 기혼여성의 취업단절에 미치는 영향. 제 3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논문집.
  33. 조정문․장상희(2001). 가족사회학. 서울: 아카넷.
  34. 통계청(2007). 경제활동인구연보.
  35. 통계청(2008). 사회조사 가족 부문.
  36. 통계청(2009). 경제활동인구조사.
  37. 통계청(2010). 인구동태통계.
  38. 한겨레(2009. 3. 22). 30대 여성, 고용악화 최대 피해자. http://www.hani.co.kr에서 2010년 3월 8일 인출.
  39. 한국여성개발원(2004). 여성통계연보.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40. 한규석(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41. 홍현미라․권지성․장혜경․이민영․우아영(2008).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42. 황수경(2002).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패턴과 여성노동시장의 이중구조. 한국인구학회 전기학술대회발표문, 25-53.
  43. 황수경(2003). 여성의 직업선택과 고용구조.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44. 황수경․권혜자․김인선(2006).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 지원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45. Friedan, B.(1978). 김행자 역(1996). 여성의 신비. 서울: 평민사.
  46. Giorgi, A.(1985). 신경림․장연집․박인숙․김미영․정승은 역(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서울: 현문사.
  47. Jang, S. Y. & Merriam, S.(2004). Korean culture and the reentry motivations of university women. Adult Education Quarterly, 54(4), 273-290. https://doi.org/10.1177/0741713604266140
  48. Padgett, D. K.(1998). 유태균 역(2001).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나남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