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the Self-identity Development of Career Women: Focusing on Parents-daughter Relationships

전문직 여성의 자아정체감 발달에 관한 질적 연구: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 정영혜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 Received : 2010.11.08
  • Accepted : 2011.02.0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investigate how career women form their self-identity in relationship to their parents from the viewpoint of life-span development, and to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hange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adult children and forming desirable parents-daughter relationships by developing the substance theory which suit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 In this study, 24 unmarried women who have parents and engage in professional jobs were selected for an in-depth interview.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67 concepts, 29 subordinate categories and 13 categories were extracted during the process of open-coding; a research model was th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the grounded theor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hree types: the reality-convinced type, the conflict-compromising type and the self-regulated type who "persistently worry about themselves and try to develop". These results verify the process of career women "worrying about themselves and developing constantly" and its structure by forming their self-identities, adjusting the effects of several contextual factors and using mediatory strategies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elf-identity.

Keywords

References

  1. 권현미(2010).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아강도,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문성미(2001).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청소년 자녀의 자아정체감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박순희(2003). 여자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 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박아청․이승국(1999).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신뢰감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7(1), 217-229.
  5. 백승진(2008). 대학생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6. 안요섭(2009).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들의 자아정체감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양성은(2005). 지방대학생의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71-180.
  8. 이경혜(199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발달에 관한 연구경향과 전망에 관한 일고찰. 한국아동교육학회, 6(2), 143-153.
  9. 윤형숙(1999). 여성의 직업생활 경험과 삶의 질: 전문직 여성과 비공식부분 여성의 직업생활 만족도의 비교분석. 여성연구, 7(1), 49-94.
  10. 이기숙․고정자․권희경․김득성․김은경․김향은․옥경희 (2009). 현대 가족관계론. 서울: 파란마음.
  11. 이나영(2007). 고등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성격 및 학교적응과의 상관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이종승(1981). 학업성취에 관련된 변인의 한 인과분석. 한국교육학회, 19(3), 109-120.
  13. 이지영(2003). 청소년의 심리적 독립 및 자아정체감과 의사결정 유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장지선(2003).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 및 애착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통계청(2007). 한국표준직업분류표. www.nso.go.kr.
  16. 통계청(2010). 경제활동인구조사. www.nso.go.kr.
  17. Blos, P. (1983). Adolescence. Baden-Wurrttemberg, Stuttgart: Free Press.
  18.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3rd ed).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19. Erikson, E.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Y.: W. W. Norton & Co.
  20. Gilligan, C. (1982). 허란주 역(1997). 다른 목소리로: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서울: 동녘.
  21. Glaser, B. G,. & Strauss, A. 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of Qualitative Research. N.Y.: Aldine.
  22. Grotevant, H., & Cooper, C. (1986). Individuation Family Relationships: A Perspective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Identity and Role Taking Skill in Adolescence. Human Development. 29, 82-100. https://doi.org/10.1159/000273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