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team teaching between vocational teachers and industry-educational adjunct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팀티칭에 대한 공업계열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인식 비교 연구

  • Received : 2011.02.07
  • Accepted : 2011.03.21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in order to examine and perform the plan for activating the team teaching between industry-educational adjunct teachers and vocational teachers in technical high schoo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both teacher groups acknowledge the necessity of the team teaching, but vocational teachers are less likely to recognize the necessity than industry-educational adjunct teachers. Second, In the preparation of team teaching, both two groups of the teachers believe that the preliminary interchange and training between them are to be highly supportive for the activities expected to help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opportunity of communication and narrow the difference of opinions between them by promoting the deep interest about applicable field and sharing the mutual idea between the teachers in the preparation of team teaching. Third, And the two groups recognize that the cooperation and joint establishment of design of team teaching and the individual process or joint progress of class activity are desirable for the proper design of team teac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lass environment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not only the reciprocal activities between teachers but the interest class by systematically preparing the class design and role division clearly. Fourth, In the practice of team teaching, the two groups believe that the teaching activities can be usually divided and progressed, but it is desirable to work together in the related contents. The vocational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eract with students by connecting with the case of industry field. On the other side, industry-educational adjunct teachers think that the learning contents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students by associating with the case of industry field. Fifth, And two groups of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desirable to evaluate the grade by reflecting on the assessment by vocational teachers(50%), industry-educational adjunct teachers(50%).

이 연구의 목적은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팀티칭 수업 과정 모형(안)의 단계를 바탕으로 공업계 고교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팀티칭의 실태와 인식을 비교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는 공업계 고교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 간 팀티칭 활성화 방안 연구 및 실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교과교사와 산학겸임교사는 팀티칭이 필요하다고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필요성에 대하여 전문교과교사는 산학겸임교사보다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팀티칭 준비 단계에서 두 교사 집단은 교사 간 사전 교류 및 연수가 가장 도움이 된다고 인식 하였다. 따라서 팀티칭 준비 단계에서는 교사 간 의견 차이를 좁히고 소통의 기회를 갖도록 자리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충분한 학습 기자재 및 물리적 시설이 마련되어있는지 확인하여 팀티칭 실행 시 이론적 내용과 실습의 통합이 이루어져 팀티칭 운영이 매끄럽게 진행 될 수 있게 준비를 해야 한다. 셋째, 팀티칭 계획 단계에서 두 교사 집단은 팀티칭 계획 활동을 서로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립하고, 수업 활동은 협력 계획에 따라 분담하여 각자 진행하거나 서로 협력하여 공동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교사 간 명확한 역할 분담과 수업 계획을 사전에 체계적으로 준비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응답자들은 수업 계획서 개발 시 주된 방해 요인은 현행 교육과정, 재정, 수업 진도 강요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업 계획 시 자율적으로 교사 재량에 의한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에 있어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팀티칭 실행 단계에서 두 교사 집단은 동일 수업 내 수업 활동을 분담하여 진행하되 관련 있는 내용은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수업 운영 형태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팀티칭 실행을 위해 전문교과교사는 '학생의 흥미와 관심에 따른 학습 내용'을 산학겸임교사는 '충분한 학습기자재 및 물리적 시설 환경 제공'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팀티칭 평가 단계에서 바람직한 성적 평가 형태에 대해 두 교사 집단은 전문교과교사가 50%, 산학겸임교사가 50% 평가하여 반영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성호(1997). 교육공학원론. 양서원.
  2. 김원경.문석만 (2006). 제6회 전국실업계 고등학교 교수․학습 우수사례. 전문계고교간의 팀티칭과 PBL수업을 활용한 학습효과 증진 및 직업 기초능력 향상 방안.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교육인적자원부. 159-193.
  3. 박성익(2003). 교수.학습 방법의 이해와 실제(I,II). 교육과학사.
  4. 안광식(2006). 공업계 고등학교 공업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수행능력의 중요도 및 수준. 직업교육연구. 25(3), 21-38.
  5. 이병욱.최동선(2006). 산업 현장과 교육 현장 연계를 통한 교원 역량 강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이은경(2008). 실업계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7. 이인효(1997). 열린교육의 개념과 다양한 수업 방법. 열린교육연구. 5(1), 59-77.
  8. 정인성.이옥화(2001). 대학의 웹 기반 가상수업 팀티칭 모형 개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2), 27-50.
  9. 한국교육개발원(1975).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6.
  10. Buckley, F. J. (2000). Team teaching(what, why, and how).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