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Industry and School Recognized by Teachers in Charge of 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Industry and School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Incheon Area

인천지역 특성화 고등학교의 산학협력 담당교사가 인식하는 산학협동교육

  • Received : 2011.01.31
  • Accepted : 2011.03.02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industry and school recognized by tentatively called managers of cooperative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industry and school,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Incheon A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and examined their recognition for cooperative education between industry and school focusing on curriculum (purpose and content), operational system including supporting system (establishment and operational level) and educational type (process, effectiveness, problems and reinforcing measur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using Likert 5 score scale and analyzed the survey results using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etc. From the comprehensive results from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lthough outcomes from industry-school cooperation are relatively high, participation is insufficient and intermediating organizations connecting concerned parties and mediating them are not enough because recognition and will of interested parties of industry-school cooperation are not sufficient. In addition, policies, legal and systematical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for activation and efficiency of industry-school cooperation are not established perfectly, therefore, there are a lot of things to be improvement in operation. In particular, it was observed that establishment of internal organization and infrastructure for the number of workers in vocational training organizations are decisively inadequate.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지역 특성화 고등학교의 산학협력 담당교사인 가칭 산학협력부장 등이 인식하는 산학협동교육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산학협동교육에 대한 인식을 교육과정(목적 및 내용), 지원체제를 포함한 운영체제(구축 및 활동 수준), 교육(진행 및 효과성, 문제점,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한 다음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로 알아보았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산학협력에서 나타난 성과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판단되나, 아직까지 산학협력 이해관계자의 인식이나 의지가 부족하여 참여가 미흡하고, 이해관계자를 연결하고 조정하는 매개기구가 부족한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학협력의 활성화 및 효율화를 위한 정책 및 법적 제도적, 재정적 인프라가 아직 완벽하게 구축되지 않아 운영에 미숙한 점이 많고, 특히 직업교육기관 내부의 조직이나 인원의 인프라 구축이 결정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산학협동교육이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첫째, 학교 경영자들의 참여 의지 제고, 교사들의 적극성 제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직업교육기관의 비전과 선언, 교원들의 업무과중을 줄이기 위한 학교 업무 재구조화, 학교 문화의 개선 등의 내적요인과 둘째, 지역 내 인적 물적 자원의 연계활용을 위한 산학협력 포럼, 산학협력 네트워크 센터 협의처, 학교 내부의 산학협의체 등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고리, 셋째, 정부 등의 로드맵 및 전략, 지속적인 지원기구 및 법적 제도적 산학협력 인프라의 구축 등의 외적 요인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년 전문계 고등학교 현황.
  2. 윤갑식(2007). 인천지역 산업구조 특성과 산업연관분석. 인천발전연구원.
  3. 이무근(2003). 직업교육학 원론. 서울 : 교육과학사.
  4. 이용순, 김선태, 이광호(2005). 전문계 고등학교 정체성 확립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정지선 외(2005). HRD 중심의 산학협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정지선, 김수원(2005). 인적자원개발 중심의 산학협력체제 구축 : 직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직업교육과 HRD 중심 산학협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정지선 외(2006). 산학클러스터의 HRD 기능 강화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James L. Hoerner, James B. Wehrley (1995). Work-Based Learning : The Key to School-to-Work Transition : GLENCOE McGraw-Hill.
  9. Nunnally, J. C. (1978). Psychometic theory. New York: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