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독락당 원림 경관조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ing the Landscape in Dok-Rak-Dang Garden

  • 정윤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Chung, Yun-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ung, Jong-S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10.19
  • 심사 : 2010.12.16
  • 발행 : 2011.02.28

초록

이 연구는 문헌고찰과 현지관찰을 통해, 회재 이언적이 조영한 독락당 원림 내 장소들의 위치를 추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원림의 경관조영특성을 분석하였다. 회재가 은거를 위해 독락당과 함께 조영했던 원림 즉 자계주변공간은, 회재 이전에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이었지만, 회재가 그곳을 거닐고 관찰하면서 산과 물과 바위를 선택하고, 거기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사산오대'라는 특별한 장소가 되었다. 사산오대의 사산은 독락당 일곽을 위요하고 있는 북에 도덕, 남에 무학, 동에 화개, 서에 자옥산을 말하고, 오대는 자계계곡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한 바위에 이름 붙인 세심, 관어, 영귀, 징심, 탁영대를 말한다. 독락당 원림의 경관조영 특성은 자연과 합일하는 미적 체험의 태도인 '인공과 자연의 공간적 연결', 자연 내의 공간을 체험적 관점에서 '유기적으로 영역화', 자연을 관찰하고 경관을 취하여 이름을 붙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한 '사유화된 자연의 장소화'에 있다. 원림 내에서 사산오대는 자연을 미적으로 체험하기 위한 경관 거점이자 요소로 기능한다. 그 특성은 자연을 인위적으로 변형하는 구축적 조형 태도와는 구별되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즐기는'전통적인 자연관에서 비롯되었고, 조영자의 사상적, 미학적 관점이 취경과 명명의 방법으로 의도된 공간 질서를 만들고, 미적 체험을 통해 '장소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구축 중심의 정원조영과는 구별되는 실천적인 한국적 정원조영의 태도를 보여 준다. 연구의 결과는 전통정원의 미학적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literary works and references related to Dok-Rak-Dang(獨樂堂) and the attributes of managing the landscape in Dok-Rak-Dang Garden based on the assumption of position and the spatial structure revealed in the site. Hoe-Jae Lee Eon-Jeok(1491-1553), a distinguished scholar of Neo-Confusionism, built Dok-Rak-Dang and managed the surrounding areas during his retirement years. He called the mountains, stream, and rock along and near the Ja-Ge Stream Four Mountains and Five Platforms(四山五臺). Before he named these, they were not considered special. The Four Mountains which are Do-Duk in north, Mu-Hak in south, Hwa-Gae in east, and Ja-Ok in west enclose Dok-Rak-Dang and the surrounding areas. The Five Platforms, Se-Sim, Gwan-Eo, Yeong-Gue, Jing-Sim, and Tak-Yeong, in order from downstream, are places with beautiful scenery in Ja-Ge Stream. The attributes of managing the landscape in Dok-Rak-Dang Garden are the following: One is the spatial integration of what is natural and artificial as the attitude of aesthetic experience in accord with nature. Another is flexible territorialization as the way of organizing spaces in nature from the experiential aspect. The other is place making of personalized natur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observing, choosing, and naming landscapes in nature. Four Mountains and Five Platforms function as landscape bases and elements to appreciate nature aesthetically. Those attributes are different from the attitude of constructing spaces. Rather, they originate from the traditional view on the appreciation of nature. Above all, place-making in nature was acquired from designed spatial structure and experiential aesthetic appreciation in the space through observing, choosing, and naming landscapes in nature reflecting creator's own ideological and aesthetic thoughts, and it might be explained as one of practical way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영(2009) 임거십오영의 시문분석을 통한 독락당 일대의 경관해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정은(2006) 유거와 탐승, 자연미의 상보적 기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 김관석(1984) 조선시대주거 獨樂堂 일곽에 관한 연구(I). 대한건축학회지 28(121): 32-39.
  4. 김관석(1985) 조선시대주거 獨樂堂 일곽에 관한 연구(II). 대한건축학회지 29(122): 4-9.
  5. 김봉렬(2002) 조선중기 도학시와 생태학적 상상력. 동양한문학연구 25: 251-283.
  6. 김봉렬(2006) 김봉렬의 한국건축 이야기 2. 앎과 삶의 공간: 파주: 돌베개. pp. 120-121.
  7. 김석수, 최효승(2003) 독락당 일곽의 조영과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11): 199-206.
  8. 김성원(1998) 한국 전통건축에서 둘러쌈의 표현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독락당 일곽의 공간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하명 역(2005) 정철, 박인로, 윤선도 저, 강호에 병이 깊어 죽림에 누웠더니. 겨레고전문학선집 10. 파주: (주) 도서출판 보리.
  10. 박해성(1999) 독랑당의 공간표현과 사상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유호진(2004) 조선중기 도학시와 생태학적 상상력. 동양한문학연구 25: 251-283.
  12. 윤일이(2002) 晦齋李彦迪의 建築觀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11) (통권169호): 117-124.
  13. 이승민, 최기수(2002) 회재 이언적의 조영관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0(3): 15-25.
  14.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2책. 서울: 휴머니스트.
  15. 이종호(2007) 퇴계 이황의 자연미 수용과 산수미학. 경북대 퇴계연구소.
  16. 장도규(2002) 이언적 시에 나타난 도학적 사유의 표현. 한국사상과 문화 13: 5-28.
  17. 장도규(2006) 회재 이언적의 삶과 임거십오영. 한국사상과 문화. 한국사상문화학회지 16: 63-84.
  18. 한국문화재청(2002) 독락당: 실측조사보고서 제27호.
  19.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2007) 바위틈에 핀 들꽃: 여주이씨 독락당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