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aturation and Ground Water Level at Embankment by TDR Sensor

TDR센서를 이용한 제방의 포화도 및 지하수위 해석

  • 김기영 (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댐안전연구소) ;
  • 한희수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 이재호 ((주)메카지오텍 연구사업부) ;
  • 박민철 (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1.01.19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measured ground water behavior by TDR (time domain reflectometer) sensors were analyzed by the data filtering technique such as moving average method and Fourier transform, and the ground water level and unsaturated zone were tried to be determined numerically. At first, the variation of TDR data according to the saturation degree was measured by lab test, which is translated as a function of saturation degree. Then, changes of ground water level and lateral seepage in field conditions were simulated using acrylic pipe, and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to make calibration curve. Furthermore, TDR sensors were installed into the in-situ embankment to insure the field application. The saturation degree, unsaturated and dried zones were determined from the measured data.

본 논문은 TDR센서를 이용하여, 지반 내 지하수의 거동을 계측하고 이를 이동 평균법과 푸리에 변환을 통한 필터링 기법으로 포화 및 불포화 영역의 구분 및 변화를 수치적으로 결정하고자 하였다. 먼저 실내실험을 통하여 포화도 변화에 따른 TDR데이터의 변화를 계측하고 이를 포화도에 대한 함수로 만들었다. 다음으로 아크릴 실내모형실험을 통하여 현장의 지하수위 변화 및 측방 침투조건을 재현하고 이에 대한 TDR데이터 변화를 계측한 후 해석하여, TDR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계측자료 교정함수를 만들었다. 이 후 현장 제방에 TDR센서를 설치하고 지하수위를 변화시켜 가며 지반의 지점별 포화도를 파악함으로써 지하수위 및 건조, 불포화영역을 결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Beck, T. J., Kane, W.F., "Current and Potential Uses of TDR for Geotechnical Monitoring", Proceedings, 47th Highway Geology Symposium, 1996, pp.94-103.
  2. Kane, W.F., Beck, T. J., "Development of a TDR system to Monitor Landslide Activity", Proceedings, 45th Highway Geology Symposium, 1994, pp.163-173.
  3. 한희수, "나노-TDR센서를 이용한 토목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3권 제5호, 2009, pp.93-100.

Cited by

  1.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Levee Leakage Monitoring System Using Movable TDR Sensor vol.13, pp.3, 2014, https://doi.org/10.12814/jkgss.2014.13.3.001
  2. Assessment of Error Norm in Models to Obtain Hydraulic Conductivity Through Dielectric Constant vol.18, pp.5,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5.247
  3. 개량된 TDR센서를 이용한 대형 모형제방의 침투 해석 vol.28, pp.11, 2011, https://doi.org/10.7843/kgs.2012.28.11.53
  4. 분포형 TDR센서를 이용한 화강풍화토 대형모형제방의 침투거동 해석 vol.30, pp.3, 2011, https://doi.org/10.7843/kgs.2014.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