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Local Council Assembly Records

지방의회 회의기록물 관리방안 연구 -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방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

  • Hwang, Nan-Hee (Dept. of Archival Science, Chungnam Natioanl University) ;
  • Lee, Sung-Sook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hungnam Natioanl University)
  • 황난희 (충남대학교 대학원 기록보존학과) ;
  • 이성숙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0.09.03
  • Accepted : 2010.10.20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Many records and documents are produced during the process of functions of local councils such as resolution, monitoring and balancing function, representation for the residents, Such records of local councils have importance in terms of objective basis and standards for local policy building and making. The most essential records among these are those of local councils assembly. The fundamental function of local councils is the assembly of individual members of the council and standing committees. For this, the author firstly reviewed the current management system of local council assembly records focusing on Daejeon Yuseonggu Council and conducted researches and interviews with the officers responsible for record keeping. And finally, the author analyzed such researches and findings. From this analysis, the author discovered the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record keeping and suggested the improveme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firstly in terms of institutional aspects and secondly in terms of the stages of record keeping and management based on ISO 15489,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records management.

지방의회 기록물은 지방의회가 의결기능, 집행기관 견제 감시기능, 주민대표기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산된다. 지방의회 기록물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록물은 회의기록물이다. 지방의회의 본질적인 기능이 의원 개개인과 의원들로 구성된 회의체의 활동을 통해서 수행되며, 지방의 법률과 정책을 심의, 토론, 표결하는 의결기관, 회의기관이라는 점에서, 의사결정과정의 결과물이 회의기록물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지방의회의 회의기록물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 관리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제도적 측면과 기록물관리 국제표준인 ISO 15489를 준거로 한 주요 기록관리 단계별 측면으로 나누어 지방의회 회의기록물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각각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03. 한국국가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역사비평사.
  2. 김윤기. 2002. 우리나라 지방의회 Website 평가에 관한 연구. 국제문화연구, 20: 45-62.
  3. 김자경. 2004.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행정기관의 자료관시스템 규격 발전방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4. 김형석. 2008. 기초자치단체의 영구기록물관리기관 설치모형 연구.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 기록관리학과.
  5. 남석훈. 1999. 국회회의록시스템. 국회보, 396: 153-155.
  6. 대전광역시 유성구의회 규칙. [1991.04.11 규칙 제157호, 개정 2008.12.26 의회규칙 제 12호].
  7. 대전광역시 유성구의회 조례. [전문개정 2006.09. 01 조례 제724호]
  8. 박미주. 2008. 지방의회의 기록분류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협동과정.
  9. 배병호. 2003. 會議錄과 情報公開法상 非公開對 象情報. 行政判例硏究, 8: 147-167.
  10. 변주연. 2008. 공공기관의 회의록 생산 공개 제도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1. 엄태석. 2005. 기초지방의회의 이해, 서울: 한국학술정보.
  12. 유성구 의회 홈페이지. [인용 2009.08.03]. .
  13. 유성구청 홈페이지. [인용 2009.08.03]. .
  14. 이원영. 2002. 의회기록의 특질과 종류. 기록학 연구, 9: 110-142.
  15. 이주성. 2003. 국회 회의공개원칙의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기록과학.
  16. 임경호, 이용우 공저. 2006. 新지방의회 운영론, 서울: 한국행정DB센타.
  17.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국가기록관리 혁신 로드맵. 대전: 국가기록원.
  18. 지방자치법. [일부개정 2009. 04. 01 법률 제9577호].
  19.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홈페이지. [인용 2009. 08.09]. .
  20. 최연주. 2006. 로컬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지방의회 기록관리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기록과학.
  21. 트라이튼테크, 한국국가기록연구원 공동연구. 2007. 지방기록물관리기관설치 운영 지원연구. 제3권, 대전: 국가기록원.
  22.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2004. 기록관리 국제 표준자료집, 국가기록원 표준 시리즈 1. 대전: 국가기록원.
  23.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2007. (알기쉬운) 공공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령 해설집. 대전: 국가기록원.
  24.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2007.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집. 대전: 국가기록원.
  25. ICA. 2003. 법률기록물관리. 신동희 역, 서울: 진리탐구.
  26. T. R. Schellenberg. 2002. 현대기록학개론. 이원영 역, 서울: 진리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