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Korean Media Industry Trends and Competitive Strategies by Introducing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국내 미디어산업 변화 및 사업자 경쟁방안에 관한 연구

  • 조지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동향분석실) ;
  • 송주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 이봉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Received : 2010.11.21
  • Accepted : 2010.12.01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Recently, a new media reform bill has pass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in Korea. The introduction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that combine news and entertainment programs is expected to have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the media related industry. And it affects not only existing traditional media operators, but also companies that consider entering the comprehensive programming business.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caused by the emergence of new businesses and identifies competitive strategies. Using Scenario Network Mapping (SNM) that is a scenario planning methodology for developing an industry network map in a complex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mpetitive factors were identified: new business competitiveness, government policy and support, and content differenti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n initial study on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strategies. It also provides implications to the government and the entrepreneur who is considering starting a comprehensive programming business.

최근 정부의 미디어 관련법 개정으로 국내 미디어 산업 환경 및 산업 구조에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종합편성 채널의 도입 결정은 기존 전통적인 미디어 사업자와 종합편성채널 사업 진입에 가능성이 있는 국내 기업, 콘텐츠 사업자 등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종합편성채널 사업자의 경쟁 방안에 관한 초기 연구로 써 Scenario Network Mapping 방법론을 통해 산업의 변화와 사업자의 경쟁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규 사업의 경쟁력 확보, 정부의 정책적 지원, 콘텐츠 차별화 성공이 사업 정착의 주요 성공 요인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정책적 지원보다는 사업자의 자체 경쟁력이 더욱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종합편성채널 사업 도입에 따른 이슈 분석 및 경쟁방안에 관한 초기 연구로 사업 진입을 고려하는 사업자와 정부에게 종합편성채널에 관한 이해를 돕고 전략 방향 설정 등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수일, '방송산업에의 경쟁 도입', 한국개발 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2006(15).
  2. 이수일, '방송산업의 경쟁 활성화 방안', 한국개발연구원, 정책포럼 제 176호, 2007.
  3. 황근, '종합편성채널 도입의 타당성 검토',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발표문 2007.
  4. 성동규, 노창희, '국내 방송콘텐츠 유통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제 8권, 제 3호, pp. 271-313, 2008.
  5. 이영주,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 사업자 구도와 주요 쟁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 구도 워크숍, 2008.
  6. 김호석(2009), 미디어법이 방송산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협회, 월간방송문화2009(8):36-41.
  7. 김영주, '미디어 산업의 구조변동: 공급자 지형과 규제 정책의 변화', 한국언론재단, 미디어 인사이트, 통권, 제 4호, 2008.
  8. 김영주, '방송산업의 구조변화와 규제 쟁점', 경제규제와법, 제 2권, 제 1호, pp. 83-108, 2009.
  9. 강명현, '유료방송 콘텐츠의 다양화 및 안정적 공급을 위한 법제도적 연구', 한국언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pp. 29-50, 2007
  10. 이영주, 하주용, '다채널 유료 TV 시장에서의 방송신문 겸영과 종합편성 채널정책 방안',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pp. 45-63, 2008.
  11. 전범수, '방송법 개정과 방송산업 지형의 변화', 미디어법 개정에 따른 미디어산업의 변화 전망과 과제 세미나, 한국언론재단, 2009.
  12. 황근, '방송 소유.겸영 규제완화 효과와 향후 정책과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세미나 발제문, 2008.
  13. 아시아 투데이 기획 시리즈, '방송 산업 재편닻 올랐다 1', 2009. 9. 14.
  14. 윤석년, '방송관련법 개정안의 내용과 주요 쟁점', 한국언론학회, 방송법 개정안의 영향과 과제세미나 발제문, 2009.
  15. 김신동,'종합편성채널의 역할과 방향', 한국언론학회, 세미나 발표문, 2007.
  16. 김준호, 홍진환, `시나리오 네트워크 매핑 방법론을 이용한 방송산업의 미래 전략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제 8권, 제 1호, pp. 51-63, 2009.
  17. South Wind Design, 'Window on the Future: A Scenario Planning Primer', Ann Arbor, South Wind Design, 2001.
  18. 장종인, '미래연구방법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보통신정책, 제 19권, 제 9호, 2007.
  19. 현대원, '정보커뮤니케이션 산업에 대한 정부조직개편 방향성 연구 :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 9권, 제 3호, pp. 644-686, 2009.
  20. List, D., 'Scenario Network Mapping: The Development of a Methodology for Social Inquiry', PhD thesis, Division of Business and Enterprise, 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2005.
  21. 김준호, 홍진환, 임성준, 'IPTV 도입에 따른 미래 산업생태계 변화 예측과 대응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SNM을 활용하여',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제 37권 제 6호, pp.1651-1672, 2008.
  22. 박용진(2006), "방송통신융합시대의 콘텐츠 유통 활성화 방안에 관한연구",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23. 정윤식(2009), "미디어 산업 지형 변화 전망", 신문과 방송 2009(9): 10-14.
  24. 김해수, `방송산업 통계의 시계열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방송통신정책, 제 21권, 제2호, pp. 29-50. 2009.
  25. 방송통신위원회, '2008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