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문화적응 유형화를 중심으로한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부부갈등과 가족상담자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기대

Marital Conflicts and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Among Immigrated Women Focusing on Typology of Cultural Adaptation

  • 이아진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 최연실 (상명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투고 : 2010.10.19
  • 심사 : 2010.12.07
  • 발행 : 2011.02.28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n characteristics of sociological and demographic population, marital conflicts and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surrounding factors of cultural adaptation among immigrated wome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36 immigrated women in Kyonggi province, Seoul metropolitan cities, Cholla and Chunchung provinces and Inche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relatively few marital conflicts were found, as a whole, while they had the high levels of expectation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Second, immigrated women can be clustered as three different types: 'multiplicity type', 'undifferentiated type' and 'adaptation type'. Third, sociological and demographic population characteristics which were subdivided and clustered according to cultural adaptation made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population. Population with multiplicity type out of the above-stated three types accounted for the highest conflict rates, while population with 'adaptation' type accounted for the lowest conflict rates. Lastly,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made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population. Population with multiplicity type showed the highest expectation levels on expectations to family counselors' cultural competence, while population with undifferentiated type showed the lowest level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유진. (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2. 김경신. (2009). 다문화가족 사업 평가 및 정책 대안. 한국가족학회지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9-40.
  3. 김연수. (2007).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4. 김연희. (2007).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117-144.
  5. 김오남. (2006a).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오남. (2006b).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8, 33-76.
  7. 김유경, 조애저, 최현미, 이주연. (2008). 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8. 김태호. (1995). 다문화주의 상담의 동향과 한국사회에서의 발전과제. 원광대학교 교육연구소, 14, 231-246.
  9. 남순현. (2008). 다문화가족상담. 광주: 광인사.
  10. 노하나. (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외숙. (1996). 다문화적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에 대한 검토. 한국심리학회 창립 50주년 동계 연구 세미나 자료집.
  12. 박은진. (2007).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문화적응과 스트레스 그리고 심리적 건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박종삼. (1983). 한.미 국제결혼에서 나타나는 의사전달 갈등의 임상적 고찰. 한국사회학, 2, 1-15.
  14.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15. 박주희, 정진경. (2008).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21.
  16. 박태영. (1998).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5, 27-50.
  17.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18. 성지혜. (1996). 중국교포여성과 한국남성간의 결혼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손은록. (2004).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과 갈등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과 결혼한 조선족 여성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송미경. (2009).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상담의 모색.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연구논총, 23, 41-51.
  21. 송성자. (1974). 국제결혼에 있어서의 부부갈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신경희, 양성은. (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 1-8.
  23. 양순미, 정현숙.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24. 양옥경, 김연수. (2007).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25. 양옥경, 김연수, 이방현. (2007). 서울거주 국제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도시연구, 8(2), 229-251.
  26.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 (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37-168.
  27. 여성가족부. (2005). 국제결혼부부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결과보고서. 서울: 여성가족부.
  28. 여성가족부.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29.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 김성국․정근식․유형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패와 전망. 서울: 한울.
  30. 이규삼. (1999). 국제결혼가정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금연. (2003). 국내 국제결혼과 그 이해-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탁토론회 자료집. 안양전진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32. 이선주, 양애경, 장미혜, 최현미, 송성실. (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I):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3. 이승종. (1995).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 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윤호. (2007). 베트남 국제결혼가정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장성숙, 황주연. (2006).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에 따른 상담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2, 39-55.
  36. 정진경, 양계민. (2004).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01-136.
  37. 정천석, 강기정.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1), 5-23.
  38.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충남거주 외국인 여성을 위한 정책모색 워크샵 자료집.
  39. 최금해. (2007).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0. 최연실, 권용혁, 김태성, 우실하. (2007). 한.중 국제결혼에서의 갈등과 적응: '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 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251-299.
  41. 최운선.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46(1), 141-181.
  42. 최외선. (1992). 아내가 인지한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33-143.
  43. 최현미. (2008). 다문화시대의 전문인력 양성. 전북상담학회 추계 학술세미나 자료집.
  44. 최현미, 이혜경, 신은주, 최승희, 김연희, 송성실. (2008). 다문화가족복지론. 서울: 양서원.
  45. 최혜지. (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163-194.
  46. 통계청. (2009). 2008년도 이혼통계. 서울: 통계청.
  47.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하지승, 최연실. (2008). 기혼남녀의 성인애착 유형과 가족상담 기대.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2), 67-94.
  49. 홍달아기, 채옥희. (2006a).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 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50. 홍달아기, 채옥희. (2006b).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1-12. https://doi.org/10.5934/KJHE.2007.16.4.733
  51. Berry, J, W. (1976). Human ecology and cognitive style: Comparative studies in 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New York: Sage/Halsted.
  52. Berry, J. W., & Kim, U. (1987). "Accultural and mental health." In Dasen P., Berry J. W. and N. Satorius(Eds.). Cross-Cultural Psychology and Health Towards Applications. London.
  53. Berry, J. W., Kim, U., Minde, T., & Mok, D. (1998).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1, 491-511.
  54. Berry, D. T. (2001). "Development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 (EAAM)." Journal of Immigrant Health, 3(4), 193-197. https://doi.org/10.1023/A:1012227611547
  55. Cross, T. L., Bazron, B. J., Dennis, K. W., & Issacs, M. R. (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56. Manoleas, P. (1994). "An outcome approach to assess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MSW students."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3, 43-57.
  57. McPhatter, A. (1997).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76(1), 255-278.
  58. Ponterotto, G. J., Gretchen, D., Utsey, O. S., & Rieger, P. B. (2002). "A revision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awareness scale."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30, 143-180.

피인용 문헌

  1.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fferences and Types of Accultur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vol.30, pp.2,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2.153
  2. Influences of Personality Patterns on Marital Adjustment by Interacting with Conflict Resolution Styles vol.31, pp.2,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2.109
  3. Predictors of Acculturation Type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vol.32, pp.3,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3.1
  4. A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 Marriage Immigrants' Marital Life: Beyond Objectified Typification vol.16, pp.3,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3.1773
  5. Review of professional work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mplications in Korea vol.8, pp.1, 2016, https://doi.org/10.1080/2005615X.2015.1112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