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유진. (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 김경신. (2009). 다문화가족 사업 평가 및 정책 대안. 한국가족학회지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9-40.
- 김연수. (2007).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 김연희. (2007).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사회복지분야의 문화적 역량.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117-144.
- 김오남. (2006a).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오남. (2006b).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8, 33-76.
- 김유경, 조애저, 최현미, 이주연. (2008). 다문화시대를 대비한 복지정책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태호. (1995). 다문화주의 상담의 동향과 한국사회에서의 발전과제. 원광대학교 교육연구소, 14, 231-246.
- 남순현. (2008). 다문화가족상담. 광주: 광인사.
- 노하나. (2007).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외숙. (1996). 다문화적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에 대한 검토. 한국심리학회 창립 50주년 동계 연구 세미나 자료집.
- 박은진. (2007).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문화적응과 스트레스 그리고 심리적 건강.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종삼. (1983). 한.미 국제결혼에서 나타나는 의사전달 갈등의 임상적 고찰. 한국사회학, 2, 1-15.
- 박주희, 정진경.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395-432.
- 박주희, 정진경. (2008). 타문화에 대한 태도발달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21.
- 박태영. (1998).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5, 27-50.
-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 성지혜. (1996). 중국교포여성과 한국남성간의 결혼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손은록. (2004). 국제결혼 가정의 부부갈등 요인과 갈등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과 결혼한 조선족 여성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미경. (2009).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상담의 모색.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연구논총, 23, 41-51.
- 송성자. (1974). 국제결혼에 있어서의 부부갈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경희, 양성은. (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 1-8.
- 양순미, 정현숙. (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 양옥경, 김연수. (2007).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6, 79-110.
- 양옥경, 김연수, 이방현. (2007). 서울거주 국제결혼이주 여성의 문화적응과 사회적 지원서비스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도시연구, 8(2), 229-251.
-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 (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37-168.
- 여성가족부. (2005). 국제결혼부부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결과보고서. 서울: 여성가족부.
- 여성가족부. (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조사 및 중장기 지원정책방안 연구.
- 윤형숙. (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 김성국․정근식․유형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패와 전망. 서울: 한울.
- 이규삼. (1999). 국제결혼가정의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금연. (2003). 국내 국제결혼과 그 이해-실태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국제결혼과 여성폭력에 관한 정책제안을 위한 원탁토론회 자료집. 안양전진상복지관 이주여성쉼터.
- 이선주, 양애경, 장미혜, 최현미, 송성실. (2008). 다민족․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II):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이승종. (1995).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 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윤호. (2007). 베트남 국제결혼가정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성숙, 황주연. (2006). 자아강도와 자기은폐에 따른 상담동기와 상담자에 대한 기대.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2, 39-55.
- 정진경, 양계민. (2004).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01-136.
- 정천석, 강기정. (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3(1), 5-23.
-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03). 충남거주 외국인 여성을 위한 정책모색 워크샵 자료집.
- 최금해. (2007).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최연실, 권용혁, 김태성, 우실하. (2007). 한.중 국제결혼에서의 갈등과 적응: '소외'와 '타자화'의 체험에 서 '소통'과 '화합'의 모색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2), 251-299.
- 최운선.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사회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46(1), 141-181.
- 최외선. (1992). 아내가 인지한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33-143.
- 최현미. (2008). 다문화시대의 전문인력 양성. 전북상담학회 추계 학술세미나 자료집.
- 최현미, 이혜경, 신은주, 최승희, 김연희, 송성실. (2008). 다문화가족복지론. 서울: 양서원.
- 최혜지. (2009).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1): 163-194.
- 통계청. (2009). 2008년도 이혼통계. 서울: 통계청.
-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하지승, 최연실. (2008). 기혼남녀의 성인애착 유형과 가족상담 기대.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6(2), 67-94.
- 홍달아기, 채옥희. (2006a).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 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지, 15(5), 729-741.
- 홍달아기, 채옥희. (2006b).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4): 1-12. https://doi.org/10.5934/KJHE.2007.16.4.733
- Berry, J, W. (1976). Human ecology and cognitive style: Comparative studies in cultural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New York: Sage/Halsted.
- Berry, J. W., & Kim, U. (1987). "Accultural and mental health." In Dasen P., Berry J. W. and N. Satorius(Eds.). Cross-Cultural Psychology and Health Towards Applications. London.
- Berry, J. W., Kim, U., Minde, T., & Mok, D. (1998).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21, 491-511.
- Berry, D. T. (2001). "Development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 (EAAM)." Journal of Immigrant Health, 3(4), 193-197. https://doi.org/10.1023/A:1012227611547
- Cross, T. L., Bazron, B. J., Dennis, K. W., & Issacs, M. R. (1989). Towards a culturally competent system of care.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Child Development Center.
- Manoleas, P. (1994). "An outcome approach to assess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MSW students."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al Work, 3, 43-57.
- McPhatter, A. (1997). "Cultural competence in child welfare: What is it? How do we achieve it? What happens without it?". Child Welfare, 76(1), 255-278.
- Ponterotto, G. J., Gretchen, D., Utsey, O. S., & Rieger, P. B. (2002). "A revision of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awareness scale." Journal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30, 143-180.
피인용 문헌
-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fferences and Types of Acculturation in Multicultural Families vol.30, pp.2, 2012, https://doi.org/10.7466/JKHMA.2012.30.2.153
- Influences of Personality Patterns on Marital Adjustment by Interacting with Conflict Resolution Styles vol.31, pp.2, 2013, https://doi.org/10.7466/JKHMA.2013.31.2.109
- Predictors of Acculturation Types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vol.32, pp.3,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3.1
- A Qualitative Research on Women Marriage Immigrants' Marital Life: Beyond Objectified Typification vol.16, pp.3,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3.1773
- Review of professional workers’ multicultural competence: implications in Korea vol.8, pp.1, 2016, https://doi.org/10.1080/2005615X.2015.1112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