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aste Preference on Harmony of Coffee Food

  • 복혜자 (고려대학교 가정학과) ;
  • 진양호 (경기대학교 관광대학 외식조리학과)
  • Bok, Hye-Ja (Dept. of Home Economics Food Science, Korea University) ;
  • Jin, Yang-Ho (Department of Food Service & Culinary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 투고 : 2010.10.13
  • 심사 : 2011.01.04
  • 발행 : 2011.01.31

초록

본 연구에서 커피 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커피음식조화도와 맛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맛 커피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선호도가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피음식 조화도에서 외국음식은 제과 제빵류에서 보통수준 또는 그 이상의 조화도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커피믹스보다는 원두커피가 더 조화롭다고 인식하였고, 한국음식은 커피와의 조화도에서 보통수준 또는 그 이하의 조화도가 있다고 인식하였는데 이중 후식류인 떡류와 전통간식류, 한과류에서 상대적으로 조화도의 인식이 높았다. 맛 선호도와 커피 음식조화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외국음식은 단맛과 짠맛이 낮을수록 커피와 어울리는 것으로 신맛과 쓴맛, 매운맛, 담백한 맛은 선호도가 높을수록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음식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 선호도로 외국음식은 일부음식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단맛과 단백한 맛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음식은 일부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쓴맛과 단백한 맛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harmony of coffee-food and taste preference was examined by conducting an investigative analysis in oilier to find out taste preference having effect on the harmony of coffee-food. As a result of study, foreign food was perceived as having average level or higher harmony in confectionery and bread in harmony of coffee-food, coffee beans were perceived as being more harmonious than a coffee mix. Korean food was perceived as average or lower harmony with coffee with s relatively high level in rice cake, traditional snacks and Hangwa, all of which are traditional desserts. In the correlation between taste preference and harmony of coffee-food, foreign food was shown well-matched with coffee as sweet and salty tastes were low; however, for sour, hitter, spicy and plain tastes, the more preference they had, the better-matched they were. As a result, taste preference had effect on harmony with coffee-food. For foreign food, it was shown that sweet and plain tastes influenced it while bitter and plain tastes did in Korean food in gener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