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ation of CAN-based Visible LED Communication Systems

CAN 기반 LED 가시광 통신 시스템 구현

  • 손경락 (한국해양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 Received : 2010.11.29
  • Accepted : 2011.01.20
  • Published : 2011.01.31

Abstract

LED-based lighting motivated by significant energy savings provides an opportunistic development of widespread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s. Their transceivers have a variety of competitive advantages over RF including high bandwidth density, reliability, lower energy consumption, and long lifetime. But, it is difficult for existing buildings and structures such as ships and vehicles to install the communication cable to the ceiling. In this paper, controller area network (CAN)-based LED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were proposed. Results indicate the viability of developing inexpensive CAN interface modules and transceivers might be embedded in lighting products to support the indoor wireless networking.

에너지 절감을 위한 백색 LED 기반 조명은 자유공간상의 광 무선통신 분야를 개척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가시광 통신을 위한 트랜시버는 LED와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므로 높은 대역폭과 신뢰성, 저 전력 등의 장점이 있어 기존의 무선통신과 양립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건축물이나 배와 자동차와 같은 구조물에 조명을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를 설치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또는 선박의 통신망으로 갖춰진 CAN 기반의 LED 통신시스템을 제안한다. 실내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CAN 인터페이스 모듈과 트랜시버를 조명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1. T. D. C. Little, P. Dib, K. Shah, N. Barraford, and B. Gallagher, "Using LED lighting ubiquitous indoor wireless networking", MCL Technical Report, No. TR-05-20-2008, pp.1-13, 2008.
  2. 정태진, 이원희, 윤대영, 김종호, "테라헤르츠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통신시스템 응용기술 동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6호, pp. 99-109, 2009.
  3. 김대호, 임상규, 강태규, "LED 조명통신 융합 가시광 무선통신 응용 서비스 모델", 정보와 통신, pp. 3-9, 2009.
  4. T. Komine and M. Nakagawa, "Integrated system of white LED visible-light communication and power-line communication", IEEE Trans. Consum. Electron, vol. 49, no. 1, pp. 71-79, 2003. https://doi.org/10.1109/TCE.2003.1205458
  5. http://www.bu.edu/smartlighting
  6. http://www.uclight.ucr.edu
  7. 계광현, 손경락, "가시광 LED를 이용한 양방향 무선통신 시스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제34권, 제6호, pp. 852-857, 2010. https://doi.org/10.5916/jkosme.2010.34.6.852
  8. 김종원, 강태규, 정명애, "가시광 통신 표준 및 기술 동향,"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주간기술동향, 통권 1400호, pp. 1-11, 2009.
  9. 신홍석, 최정석, 이경우, 박성범, 정대광, 이영민, 박진우, "무선가시광 통신을 위한 MAC Protocol에 대한 연구," 정보와 통신, pp. 30-35, 2009.
  10. S. Corrigan, "Introduction to the controller area network (CAN)," SLOA 101 App. Report, Texas Inst, 2002.

Cited by

  1. A study on the Frequency Modulation-based Audio Transmission System for Short-range Underwate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vol.36, pp.1, 2012, https://doi.org/10.5916/jkosme.2012.36.1.166
  2. LED통신기반 PC-PC 전송시스템 vol.12, pp.1, 2012, https://doi.org/10.7236/jiwit.2012.12.1.181
  3. 위치기반서비스 제공을 위한 휴대기기용 가시광통신 송수신기 구현 vol.42, pp.4, 2011, https://doi.org/10.7840/kics.2017.42.4.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