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unctional foot orthotics on the balance according to Foot Shape

기능성 발보조기의 족부형태별 균형유지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11.20
  • Accepted : 2011.12.2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functional loot orthoses, when wearing shoes, are in the direct contact with bottom of foots to improve and recover the correctness of abnormal lower limb musculoskeletal imbalance and the primary role of foot and also, it can act to keep the balance and weight of body and support the weakened region, so that it is very helpful to keep body balance for the standing position. In this paper, it was researched that foot orthoses which is accommodable for the function of impact absorption including the gait stability affect on the balanced performances of body in according to the formation and the material of foot part. Taking into account the balanced performances by using the sway velocity, the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the effects on the balanced performances by each formation and material for foot orthoses was evaluated into significant values(p<0.006) in only the eye-opening posture with Firm state, In this posture, the static process performed by each foot formation reveals in order of normal foot(p<0.010), flat foot(p<0.000) and hollow foot(p<0.003) and then, on the base of each formation of foot part, the result that analyze the effects of the materials of foot orthoses on the balance performance appeared showing that soft materials is more effective on the normal foot and, on the other hand, rigid materials is more effective in balancing on flat foot and hollow foot.

기능성 발보조기는 신발 착용 시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어 비정상적인 신체 분절의 교정 및 발의 기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체중 및 균형을 유지시키고 약화된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사람의 직립자세 유지를 위한 균형 유지에 많은 도움이 된다. 이에 본 사례 연구에서는 보행 안정성을 비롯한 충격 흡수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기능성 발보조기가 족부 형태 및 재질에 따라 신체의 균형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람의 평균 무게 중심점의 흔들림 속도(sway velocity)를 이용한 균형감각 자세유지도의 고찰을 통해 족부형태별, 기능성 보조기의 재질에 따른 신체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한 결과, 안정한 상태에서 눈을 뜬 자세에서만 유의(p<0.006)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 자세에서 발의 형태별로 구분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정상족(p<0.010), 편평족(p<0.000), 요족(p<0.003)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능성 발보조기의 재질에 따른 발의 형태별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성재질은 정상의 발에서 그리고 경성재질은 편평족과 요족에 있어서 균형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기철, 김영비, "중심동요에서 본 직립자세유지 능력에 관한 연구(II)", 比較文化硏究, Vol.8, pp.161-166, 1997.
  2. 이홍재 외 4 인, "하지의 임상생체역학", 군자출판사, pp.30-31, 2007
  3. 이소영, "바른 걷기자세의 족부 의학적 고찰", 가정의학회지, 제27권, 제4호, pp.437, 2006.
  4. 선상규 외 9 인, "편평족과 정성족을 가진 사람의 체력특성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논문집, 제17권, 제6호, pp.687-694, 2006.
  5. 서태수, "청년층의 편평족 실태조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9권 , 제1호, pp97-101, 1997.
  6. Richardson, E.G., "Pes Planus", In Canaly ST(ed), Campbell's operative orthopedics, ed 10, Mosby, pp.1712-1745, 2003.
  7. Harris, R.I. and Beath,T., "Hypermobile flatfoot with short tendo- achilles", J Bone Joint Surg, 30-A, pp.116-138, 1999.
  8. 이홍재 외 4 인, "하지의 임상생체역학", 군자출판사, pp.30-31, 2007.
  9. Hertel, J., Sloss, B. R. and Earl, J. E., "Effect of foot orthotics on Quadriceps", pp.245-246, 2005.
  10. 김승재, "보행 시 과도한 회내와 관련된 발 질환을 위한 맞춤형 발보조기의 고정적 기능", 한국운동역학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5-79, 2006.
  11. G. Mattacola, "Effect of orthoses on postural stability m asymptomatic subjects with rearfoot malalignment during a 6-week acclimation period", Arch Phys Med rehabil, Vol 88, pp.653-660, 2007. https://doi.org/10.1016/j.apmr.2007.02.029
  12. Brown,L.P. and Yavorsky,P.L., "Biomechanics and Pathmechanics: a review",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 18, pp.7,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