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Key-factors in Worsening of Eyesight for Schoolchildren as a Consequence of Computer Usage Time

컴퓨터 사용 시간에 따른 초등학생의 시력저하 요인 분석

  • 주헌식 (삼육대학교 컴퓨터학부)
  • Received : 2010.09.01
  • Accepted : 2011.02.21
  • Published : 2011.03.28

Abstract

In this paper, I had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assigned for computer usage and weakening eyesight. First of all, students classified by gender, school year, eyesight, and wearing glasses along demographic characters took part in a poll, and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about computer time, factors of weakening eyesight, and purpose of computer use. The finding in this analysis composed of a cross-tabulations between annual eyesight change and the factors to change their eyesight is that 63.6 % of 165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akened their eyesight within a year. To show a correlation between computer usage duration and worsening eyesight in this pape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weakened vision by computer usage duration per day and week instead of a yea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between computer usage duration and weakened vision for the people who wear glasses or not trough Independent-Samples T test, weakened vision was shown in computer usage duration per day and week, but not shown in the duration by the year. Therefore, weakening vision was also worse for the people who didn't wear glasses than the others. This study indicated 24..5% of teenagers had poor eyesight by using their comput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analysis on purposes of computer usage, the biggest purpose accounting for 36.4% of the total was the computer usage as a game consol, and the computer as a learning tool was the next biggest purpose at 32.1%. This paper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computer usage time and a factor of weakened eyesight through an analysis of the factor. Therefore, schoolchildren's parents should be more interested in their computer usage.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사용 시간과 시력 저하 관계를 분석했다. 우선 첫째로,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을 성별, 학년, 시력과 안경 착용으로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 하였다. 설문은 컴퓨터 사용 시간, 시력 저하의 요인들, 그리고 컴퓨터 사용 목적에 관한 질문들을 하였다. 학생들의 연간 시력 변화와 시력 변화의 원인에 대해서 교차 분석한 결과, 설문에 참가한 165명의 학생 중 63.6%가 한 해 동안 시력이 나빠졌다. 컴퓨터 사용시간과 시력 저하 상관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회귀 분석한 결과 일일과 주간 컴퓨터 사용에서는 시력저하를 나타냈고, 년 컴퓨터 사용에서는 시력저하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독립 표본 T검정으로 안경 착용과 미착용자의 컴퓨터 사용 시간과 시력 저하를 분석한 결과 일일과 주간 컴퓨터 사용에서는 시력저하를 나타냈고, 년 컴퓨터 사용에서는 시력저하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런데 안경 미 착용자가 안경 착용자에 비해서 시력 저하를 더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는 24.5%의 학생들이 컴퓨터 사용으로 시력저하를 나타냈다. 컴퓨터 사용 용도의 빈도분석 결과에서는 컴퓨터 게임이 36.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학습목적이 32.1%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사용 시간과 시력 저하의 요인 분석을 통해 컴퓨터 사용 시간이 시력저하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학생들의 컴퓨터 사용에 대한 학부모님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종준, 김영기, "인터넷 게임의 과다사용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학회, 제9권, 제2호, pp.513-520, 2004.
  2. 정아란, 엄기영, "만 5세 유아의 컴퓨터게임 이용 실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89-114, 2006.
  3. http://www.eurekalert.org/~paper.html
  4. 정승희, 박인순, "중.고등학생들의 컴퓨터 사용 실태와 VDT 자각증상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3-35, 2003.
  5. 남재철, 이수정, "컴퓨터 사용이 초등학교 고 학년생의 시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교육 학회논문집, 제9권, 제2호, pp.457-465, 2004.
  6. 이영선, 유관희,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 대한 컴퓨터게임과 인성 특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제9호, pp.84-92, 2006.
  7. 장영남, 이무식, 홍지영, 황혜정, "초등학생 컴퓨터 게임 중독,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행동 관련 요인 분석", 보건교육.보건증진학회지, 제26권, 제3호, pp.63-74, 2009.
  8. 정아란, 이정기, 이준, "유아의 인터넷 게임 이용 현황 연구",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학술대회, 제1권, 제1호, pp.821-824, 2006.
  9. 정아란, 이정기, "이준 유아의 컴퓨터 게임 이용 실태 분석", 전자통신연구소논문지, 제9권, 제1호, pp.27-32, 2006.
  10. 박진숙, 정현진, 박종승,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컴퓨터게임의 활용", 한국컴퓨터 게임학회 논문지, 제14호, pp.71-80, 2008.
  11. 신선희, 오진주, "학령기 아동의 시력저하 실태 및 관련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8권, 제2호, pp.164-173, 2002.
  12. 김효진, 김은지, 김종은, "초등학교 학생의 근시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광학회지, 제15권, 제2호, pp.175-183, 2010.
  13. 신희선, "학령기 아동의 시력 건강 행위 예측 요인", 아동간호학회지, 제9권, 제3호, pp.294-300, 2003.
  14. 김진구, 김훈, "초등학교 교실 조명과 학생 시력변화의 관계분석 및 교실 조명 개선에 관한 연구",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19권, 제1호, pp.15-23, 2005.
  15. 윤영미, "학령전기 아동의 시력건강증진 프로그램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57-264, 2006.

Cited by

  1. Effect of Aberrations and Contrast Sensitivity due to the Amount of Astigmatism on Vision vol.22, pp.2, 2017, https://doi.org/10.14479/jkoos.2017.22.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