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Network Design System for Optimal Water Quality Monitoring in Reservoir

저수지 최적수질측정망 구축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이요상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 권세혁 (한남대학교 비즈니스 통계학과) ;
  • 이상욱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 반양진 (K-water댐 유역관리처 수질환경팀)
  • Received : 2011.02.22
  • Accepted : 2011.04.06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For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ecure reliable water quality information. There are many variables that need to be included in a comprehensive practical monitoring network : representative sampling locations, suitable sampling frequencies, water quality variable selection, and budgetary and logistical constraints are examples, especially sampling loc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issues. Until now, monitoring network design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was set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judgments, which is a problem of representativ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network design system for optimal water quality monitoring using the scientific statistical techniques. Network design system is made based on the SAS program of version 9.2 and configured with simple input system and user friendly output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ers. It applies to Excel data format for ease to use and all data of sampling location is distinguished to sheet base. In this system, time plots, dendrogram, and scatter plots are shown as follows: Time plots of water quality variables are graphed for identifying variables to classify sampling locations significantly. Similarities of sampling locations are calculated using euclidean distances of principal component variables and dimension coordinate of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re calculated and dendrogram by clustering analysis is represented and used for users to choose an appropriate number of clusters. Scatter plots of principle component variables are shown for clustering information with sampling locations and representative location.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수질정보의 기대수준에 맞는 신뢰성 있는 수질자료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수질모니터링은 조사지점, 수질항목, 측정주기 등이 성패의 중요한 요인이 되며, 이중에서 특히 조사지점은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수질조사를 위한 관측지점은 대부분 정성적 판단에 따라 정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질 대표성이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같은 수질측정망 구축 시 문제점을 과학적인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개선한최적수질측정망구축시스템으로제시하였다. 구축된 최적수질측정망 구축시스템은 SAS 프로그램 버전 9.2를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이용자의사용편의성을 고려하여 간단한 입력으로 측정망을 구축할 수 있는 체계로 구성하였다. 분석 데이 터형식은 자료 입출력 및 관리가 용이한 엑셀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하였으며, 관측지점별 데이터는 시트로만 구별하게 하였다. 시스템에서는 시계열 분석과 유사성계산을 하여, 각 수질의 변화패턴을 고려할 수 있는 상관계수를 활용한 다차원척도법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덴드로그램으로 제시하며, 그 결과를 활용하여 군집 개수를 결정한다. 이용자가 최종 산점도 출력시스템에 원하는 군집의 개수를 입력하면 수질 특성 파악이 가능한 주성분 산점도가 출력되며, 군집 내 관측지점의 중심점을 대표지점으로 선정하면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세혁, 이요상(2010). “수질관측지점 유사성 측정방법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한국통계학회, 제17권, 제1호, pp. 39-45.
  2. 이요상, 권세혁(2009), “다변량기법을 활용한 용담호 수질측정지점 유사성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Vol. 18, No. 6, pp. 401-409.
  3. 한국수자원공사(2005, 2006, 2007). 용담댐 일원 하천유량측정 등 수문조사보고서.
  4. Jamie, B., and Richard, B. (2007). “Water Quality Monitoring.” Taylor & Francis.
  5. Johnson, D.E. (1998). “Applies Multivariate Methods for Data Analysis.” Duxbury Press.
  6. Robert, O.S., Paul, D.R. (2008). “Network desig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of surface freshwater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7, pp. 639-648. https://doi.org/10.1016/j.jenvman.2007.03.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