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Analysis Percentile of Seismic Hazards

지진재해도의 백분위수 분석 방법 비교

  • 이현미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 서정문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 김민규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 최인길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Received : 2010.10.12
  • Accepted : 2011.01.04
  • Published : 2011.04.30

Abstract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which can effectively apply inevitable uncertainties in seismic data, considers a number of seismotectonic models and attenuation equations. The calculated hazard by PSHA is generally a value dependent on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and expresses the value as an annual exceedance probability. To represent the uncertainty range of a hazard which has occurred using various seismic data, a hazard curve figure shows both a mean curve and percentile curves (15, 50, and 85). The percentile performs an important role in that it indicates the uncertainty range of the calculated hazard, could be calculated using various methods by the relation of the weight and hazard. This study using the weight accumulation method, the weighted hazard metho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the moment method, has calculated the percentile of the computed hazard by PSHA on the Shinuljin 1, 2 site. The calculated percentile using the weight accumulation method, the weighted hazard method, an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have similar trends and represent the range of all computed hazards by PSHA. The calculated percentile using the moment method effectively showed the range of hazards at the source which includes a site. This study suggests the moment method as effective percentile calculation method considering the almost same mean hazard for the seismotectonic model and a source which includes a site.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분석은 지진자료에 내재된 필연적인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수의 지진 지체 모델과 감쇄식이 가중치와 함께 고려된다.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재해도는 일반적으로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한 값으로, 연초과확률로 표시된다. 또 다수의 지진자료에 의해 발생되는 재해도의 불확실성 범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평균 재해도 곡선뿐 아니라 15, 50, 85 백분위수의 곡선도 함께 도시한다. 따라서 백분위수는 산출된 재해도의 불확실성 범위를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지진자료에 의한 가중치와 산출된 재해도의 관계를 이용한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백분위수 분석 방법으로 중요도 누적법, 재해도 가중법, 최우법, 적률법을 선정하여 신울진 1,2호기의 확률론적 지진재해도분석으로 산출된 재해도의 백분위수를 계산 하였다. 전반적으로 중요도 누적법, 재해도 가중법, 최우법으로 계산된 백분위수 곡선의 경향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실제 산출된 전체 재해도의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적률법으로 계산된 백분위수는 평균 재해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지를 포함한 지진원에 대한 재해도를 효과적으로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지진원과 부지를 포함한 지진원에 대한 평균 재해도가 거의 같게 나타나는 점을 고려하여 부지를 포함한 지진원의 재해도를 백분위수에 잘 반영하는 적률법을 효과적인 백분위수 산출방법으로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종림, 장천중, 신진수, 연관희, 정의호, “지진재해도 평가의 불확실성 개선에 관한 연구,” TR.96NJ21.J1999.72,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대전, 1999.
  2. US NRC Regulatory Guide 1.60,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1973.
  3. US NRC Regulatory Guide 1.208, A Performance-based Approach to Define the Site-specific Earthquake Ground Motion, 2007.
  4. US NRC Regulatory Guide 1.65,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ismic Source and Determination of Safe Shutdown Earthquake Ground Motion, 1997.
  5. 지진공학회, 내진설계기준연구 I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고양시, 257-415, 1997.
  6. 서정문, 이현미, 최인길, “한반도의 최적 지진원 변수 b값 및 그이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제14권, 제1호, 35-42, 2010.
  7. 平野 光將, 高田 毅士, 能島 暢呂, 山口 彰, 中村 晉, 村松 建, 越塚 誠一, 原子力發電所の 地震を 起因とした 確率論的安全評価実施基準, AESJ-SC-P00X:200X, 社團法人 日本原子力学会, 日本, 2006.
  8. 서정문, 이현미, 최인길, 김민규, “원전부지 확률론적 지진재해도분석 입력변수의 민감도분석,” KAERI/TR-3931/2009, 한국원자력연구원, 대전, 2009.
  9. Ang, A. H., and Tang, W. H., “Probability Concepts in Engineering Emphasis on Application to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2nd ed.,” John Wiley & Sons, inc., Hoboken, 96-255,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