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Mitigation Effect of Upo-Swamp on the Air temperature Variation with Nighttime Cooling Rate

야간 냉각율을 이용한 우포늪의 기온변화 완화효과 평가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8.30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po-swamp upon local thermal environment with nighttime cooling rate. To do this, we set up the AWS(Automatic Weather observation System) over the central part of Upo-swamp on the early October 2007. We conducted the study by comparing the AWS data with another weather data observed by several meteorological observation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located at the vicinity of Upo-swamp for one year. The air temperature of Upo-swam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urrounding in cold-climate season. But it was opposite in warm-climate season. We confirmed that Upo-swamp roles to mitigate the daily and annual air temperature ranges. And the daily air temperature variation of Upo-swamp lagged behind the land one. This phenomenon represent that the heat reservoir capacity of Upo-swamp is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ground.

Keywords

References

  1. 강용균, 1984, 동해에서 발달한 저기압과 관련된 에너지 수지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20(2), 1-21.
  2. 강정훈, 함규황, 1997, 우포늪 일대의 조류, 한국조류학회지, 4(1), 35-46.
  3. 김상운, 2007, 창녕군의 자연늪 현황 및 관리방안 -우포늪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4. 김해동, 2001, 우포늪이 주변 기후환경 완화에 미치는 효과, 환경과학논집, 6,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 99-106.
  5. 김형민, 2006, 우포늪 식생에 관한 생태적 연구,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6. 권동희, 2006, 한국의 습지지형 연구성과와 과제, 한국지형학회지, 13(1), 25-34.
  7. 권혁재, 1976, 낙동강 하류지방의 배후습지성 호소, 대한지리학회지, 14, 1-8.
  8. 구필수, 1985, 우포 자연습원식생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9. 문형태, 김준호, 1985, 낙동강 하구 사주식생의 천이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28(1), 1226-9239.
  10. 박연규, 강언종, 1998, 우포늪과 목포늪의 어류상, 진주산업대학교논문집, 6(1), 밀양산업대학교, 179-185.
  11. 배연재, 조선일, 황득휘, 이황구, 나국본, 2004, 우포습지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다양성과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75-91.
  12. 손명원, 전영권, 2003, 낙동강 하류 연안 자연습지의 자연지리적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 66-76.
  13. 양운진, 이상용, 2003, 우포.목포늪의 자정작용에 관한 연구, 연구총서, 7, 경남대학교 경남지역문제연구원, 155-172.
  14. 이순환, 김민정, 이화운, 2007, 국지규모 풍력에너지 평가를 위한 기상 관측 자료의 영향 반경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 585-595. https://doi.org/10.5572/KOSAE.2007.23.5.585
  15. 이순환, 박명희, 김해동, 2008, 도시화에 의한 야간 대기냉각율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 83-90.
  16. 이정준, 2008, 우포늪에서 수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동태 및 예측,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17. 이원호, 권기정, 2006, 우포늪의 월동기 조류상, 기초과학연구논문집, 23, 동아대학교부설기초과학연구소, 19-27.
  18. 이혜진, 차재석, 박희천, 2006, 우포늪 물닭(Fulica atra)의 둥지분포, 한국조류학회지, 13(2), 31-37.
  19. 정우규, 공영식, 양운진, 1995, 목포(나무벌)의 수생 및 습생관속식물상과 그들의 보호, 환경연구, 17,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77-94.
  20. 정진순, 2004, 낙동강 하류의 습지 환경 변화 연구 -창녕-밀양 구간을 중심으로, 교육학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1. 창녕군청 우포늪 사이버생태공원, 2007, http://www.upo.or.kr/frame01.html.
  22. 함규황, 손성원, 1998,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과 창원군 주남저수지 일대의 조류분포, 연구논문집, 경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61-273.
  23. 황순진, 이양주, 1997, 습지의 가치와 관리의 중요성, 2, 경기개발연구원, 53-54.
  24.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25. Kang, Y. Q., 1984, One-dimensional model of the oceanic and continental seasons,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0, 60-66.

Cited by

  1. Seasonal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Weir Construction Using Satellite Image in the Nakdong River vol.24, pp.11, 2015, https://doi.org/10.5322/JESI.2015.24.11.1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