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the Seated Stone Buddha and Its Scientific Characteristics

석조불좌상(石造佛坐像)의 보존과 과학적 특성 연구

  • Jo, Yeontae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조연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Received : 2011.10.01
  • Accepted : 2011.11.22
  • Published : 2011.12.10

Abstract

The seated stone Buddha(Bon5190) of National Museum of Korea initially consisted of some 90 fragments, making it difficult to guess its overall appearance. Under a restoration work which lasted four months, the fragments were joined together, giving shape to a seated Stone Buddha in Bhumisparsa(earth touching) mudra and an associated figure of Bodhisattva missing the face. The statue was made from a single stone block by digging out the center. Traces of lacquer coating and a gilded layer above the lacquer coat were found in various parts. Polarizing microscopy and XRD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one was zeolite, a mineral formed through diagenesis of volcanic glassy ashes from trachytic tuff (Nuldaeri) and dacitic tuff (Guryongpo). In Korea, zeolite deposit found mostly in Gyeongsangbuk-do, in places like Yeonil, Guryongpo, Gampo and Ulsan. The restored statue of seated Buddha proved very similar in appearance to the seated stone Buddha of Deoksa Temple i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housed in Yeongsanjeon Hall). The scroll inside the statue,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of creation of this Buddhist sculpture, indicates that the monk Seung-ho took part in it as the head sculptor-monk.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석조불좌상(石造佛坐像, 본5190)의 보존처리는 원래의 형태를 알 수 없는 약 90여 편의 파편으로만 전해왔으나, 4개월 동안 접합과 복원작업을 통해 오른팔을 내려 오른 무릎 위에 두고 손끝은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자세의 석조불좌상과 추가적으로 얼굴부분이 결손된 보살상을 복원하게 되었다. 불상의 제작은 한 덩어리의 돌을 조각하고 속을 파내어 만든 것으로 표면에는 옻칠을 한 후 그 위에 금을 입혔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편광현미경 관찰과 XRD분석 결과 눌대리 조면암질과 구룡포데사이트질 응회암의 화산유리질 물질이 속성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불석(佛石, Zeolite)으로 밝혀졌으며 국내의 제올라이트 산출지는 경상북도 연일, 구룡포, 감포, 울산지역 등에 분포하고 있다. 보존처리를 완료한 석조불좌상과 유사한 형식의 불상을 파악한 결과, 경북 청도군에 위치한 덕사(德寺) 영산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석가모니불좌상(石造釋迦牟尼佛坐像)으로 복장 발원문 기록을 통해 승호(勝湖)가 수조각승으로 불사 조성에 참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Cited by

  1. 평창 발견 석조보살좌상의 보존처리와 3차원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복원 vol.20, pp.None, 2018,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18.20.00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