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on "Jin Do Dasiraegi"

진도 다시래기의 상징적 의미

  • Sang-Hag Park (Department of Psychiatry, School of Medicine, Chosun University)
  • 박상학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과)
  • Received : 2011.09.01
  • Accepted : 2011.12.02
  • Published : 2011.12.25

Abstract

This thesis presents the research of analytical psycholoy in respect of Jindo Dasiraegi. In a funeral of Jindo, situated in the southern island of Korea, there is a theatrical performance which is called Dasiraegi(rebirth). This research manifested a basic, universal meaning of psychological approach related the implicit of death in performing theatre from a analytic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heatrical feast are like these ; 1) funeral festival 2) entrance of clown(the existence of antipole and conflict) 3) eroticism 4) active participation of female character 5) difficulty in her delivery 6) the moment of joy thanks to childbirth. The prerequisite of this feast should be a propitious mourning of person dying old and rich. That is, after having a complete life, it could be an entire death. Three main roles in Dasiraegi ; a bat-blind buddhist devotee, a strolling actor teasing men, an apostate monk, theses characters lock horns in a form of triangle conflict relations, then they keep a balance with a fake mourner as a protagonist , modulator and narrator. These characters are indeed clowns who manifested a metaphor as a decent, sacred and reasonable part of shadow regards group consciousness. The alive and the deceased, mourner and fake mourner, piety and confusion, wail and laugh, silence and grumble, death and birth, diverse antipole all coexist then theses are in harmony. The blind devotee and the monk are in antipole, the entertainer(anima) provokes a conflict between them. The infant is a solution as same as a result of conflict. This conflict seems to be eased by birth of a baby which is a symbol of wholeness(ganzheits) but the conflict of antipole is reenacted as insisting his parental right so this solution is leaving the baby to the chief mourner who is fourth character and the first beginning. Unconsciousness, hereby, is negotiating with appeared reality. The Images in unconsciousness are conscious and this new energy in unconsciousness is proceeding towards consciousness, then it became a therapeutic power for the loss of consciousness. Dasiraegi is the play of consolation much more for the alive than the deceased. The death signified not a loss but a resurrection and this intends a transition of new leading independent role for the alive. These make us have more prudent consideration concern the double sense of renewal for the dead and the alive. It is preserved as only a form of drama on stage after disappearance of Dasiraegi in a funeral recently. Dasiraegi was a manifestation of unconsciousness for compensation about the unilateral attitude of group consciousness to the strict death excessively. Therefore, this will enable reflect the relativeness and the attitude which regards the death as the end today.

한국의 남쪽 섬 진도의 장례식에서는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다시래기(再生 ; 다시 낳기)라는 연극을 한다. 그 과정 중에 숨겨진 죽음과 관련된 원초적이고 보편적인 심리적 의미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 본다. 이 연희의 특징은 1) 축제식 장례 2) 광대의 등장(대극의 존재와 갈등) 3) 성적표현들 4) 여성의 적극적 참여 5) 출산과정의 난관 6) 아이의 탄생과 함께 나누는 기쁨들로 요약된다. 이는 인생의 마지막 통과의례 중 전이기의 의례(Transition)이다. 연희의 전제조건인 호상(好喪)은 삶의 여정에서 그가 갖추어야 할 페르조나(persona)들에 대한 집단의식의 판단이다. 갖추어진 삶을 산 다음에 제대로 된 죽음이 된다. 등장하는 눈 뜬 장님 거사와 남성들을 희롱하는 사당 그리고 파계승 세 사람은 삼각의 갈등 구조를 보인다. 거기에 연출자이면서 주인공인 가상제가 합세 4인의 균형을 이룬다. 이들은 예의 바르고 이성적인 집단의식의 그림자적 측면을 나타내는 광대들이다. 동시에 트릭스터 원형상의 모습을 나타낸다. 산 자와 죽은 자, 상자와 가상자, 경건함과 난장판, 통곡과 웃음, 침묵과 넋두리, 죽음과 출생 등 다양한 대극이 공존하고 이로서 전체가 된다. 거사와 중은 대극이며 사당(아니마)은 둘 사이를 오가며 갈등을 부추긴다. 아기는 그 갈등의 소산이며 동시에 해결책이기도 하다. 갈등은 전체성의 상징인 아이의 탄생으로 해소되는 듯 하다 아기의 친권을 두고 재연되고 그 해결은 네 번째 인물이자 최초의 시작인 상주에게 아기를 맡기는 것이다. 이렇게 무의식은 드러나는 현실과 손을 잡는다. 무의식의 상들이 의식화 되고 무의식에서 생성된 새로운 에너지는 의식으로 흘러들어 의식의 결손을 치유하는 힘이 된다. 다시래기는 죽은 자를 위한 것이기 보다 오히려 산자를 위로하기 위한 성격이 더 강한 놀이이다. 죽음이 상실이 아니라 새로 태어남이요, 살아남은 자에게는 새로운 독립된 지도자로의 변환을 뜻한다. 죽은 자와 산 자 모두에게 갱신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최근에 민간의 장례절차에서는 다시래기가 사라지고 단지 무대에서 굿으로 그 형태가 일부 보존되고 있다. 지나치게 엄격한 죽음에 대한 집단의식의 일방적 태도를 보상하는 무의식의 표현이 다시래기라면, 그 사라 저감은 죽음을 종결로 보고 너무 쉽게 정리해 버리려는 오늘날의 사회적 태도와 관련성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1년도 조선대학교병원 선택 진료학술 연구비의 지원을 받았음.

References

  1. 국사 편찬 위원회(2005) :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서울.
  2. 김미숙(2004) : ≪밀양백중놀이≫, 국립문화재 연구소, 서울.
  3. 김열규(1989) : ≪민속과 민간신앙에 비친 죽음 ; 죽음의 사색≫, 서당, 서울.
  4. 김열규 (2001) :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궁리, 서울.
  5. 김열규 (2003) : ≪도깨비 날개를 달다≫, 한국학술정보(주), 경기 파주.
  6. 베레나 카스트(Verena Kast) 지음, 채기화 옮김(2007) : ≪애도(Trauern)≫, 궁리, 서울.
  7. 아니엘라 야훼, 이부영 역(1990) : ≪C.G.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8.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데이비드 케슬러, 김소향 역(2007) : ≪상실수업≫, 이레, 서울.
  9. 이강수(2002) : ≪노자와 장자, 무위와 소유의 철학≫, 길, 서울.
  10. 이경엽(2004) : ≪진도 다시래기≫, 국립문화재 연구소, 서울.
  11. 이경엽 (2004) : ≪지역민속의 세계≫, 민속원, 서울.
  12. 이경엽 (2004) : 무형문화재와 민속전승의 현실, 한국 민속학, 40(2004,12).
  13. 이도희(2005) : '한국 전통상장례에서 상징의 분석심리학적 이해'≪심성연구≫, 20(2).
  14. 이두현(1992) : ≪한국의 가면극≫, 일지사, 서울.
  15. 이두현 (1997) : ≪한국 가면극선≫, 교문사, 서울.
  16. 이두현 (1997) : ≪한국무속과 연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17. 이부영(1968) : 한국무속자료에서 본 사령의 현상과 그 치료(1), 신경정신의학, 7(2), p11.
  18. 이부영 (1970) : 사령의 무속적 치료에 대한 분석 심리학적 연구, 최신의학, Vol. 13, No. 1, 이부영 교수 논문집 제1권.
  19. 이부영 (1999) : ≪그림자≫, 한길사, 서울.
  20. 이부영 (2002) :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21. 이부영 (2011) : 제3판 ≪분석심리학≫, 일조각, 서울.
  22. 임어당, 김영수 편 역(2003) : ≪유머와 인생≫, 아이필드, 경기 고양.
  23. 임재해(2004) : ≪전통상례≫, 대원사, 서울.
  24. 일연, 이병도 외 역(1991) : ≪한국의 민속. 종교사상, 삼국유사≫, 삼성출판사, 서울.
  25. 장 뒤비뇨/류정아 역(1998) : ≪축제와 문명≫, 한길사, 서울.
  26. 전경수(1994) : ≪한국문화론, 전통편≫, 일지사, 서울.
  27. 정종수(2008) : ≪민속으로 살핀 탄생에서 죽음까지, 사람의 한평생≫, 학고재, 서울.
  28. 조엔 카스(Joan Cass), 김말복 역(1989) : ≪역사속의 춤≫, 이화여자 대학교 출판부, 서울.
  29. 칼 구스타브 융, 이부영 외 역(1993) :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서울.
  30. 파드마 삼바바지음, 류시화 옮김(2000) : ≪티벳 사자의 서≫, 정신세계사, 서울.
  31. Fraser Boa저, 박현순, 이창인 공역(2004) : ≪융 학파의 꿈 해석≫, 학지사, 서울.
  32. 한국 외국어대학교(2006) : ≪세계의 장례문화≫, 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서울.
  33. 융 CG(2002) : 융기본저작집 2, ≪원형과 무의식≫, 솔, 서울.
  34. 융 CG (2004) : 융 기본저작집 3, ≪인격과 전이≫, 솔, 서울.
  35. 융 CG (2004) : 융 기본저작집 9, ≪인간과 문화≫, 솔, 서울.
  36. 융 CG (2005) : 융 기본저작집 7, ≪상징과 리비도≫, 솔, 서울.
  37. 융 CG (2006) : 융 기본저작집 8,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 서울.
  38. 한국종교연구회(2004) : ≪종교다시 읽기≫, 청년사, 서울.
  39. 함석헌 주석(1996) : ≪바가바드기타≫, 한길사, 서울.
  40. Ann and Barry Ulanov(1980) : The Clown Archetype, QUADRANT, Journal of C.G. Jung Foundation for Analytical Psychology, v.13, Spring.
  41. Bou-Yong Rhi 이부영(1997) : "Cultural background of humour in Korean tradition : Towards the great humour, a humour beyond the humour" L'HUMOUR Histoire, Culture et Psychologie, SIPE 1997 Proceedings.
  42. Jung CG(1970) : Civilization in Transition, Woman in Europe. C.W, 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43. Jung CG (1976) : Symbols of Transformation, C.W. 5,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44. Jung CG (1977) : Two Essays onAnalytical Psychology, C.W. 7. Routledge & Kegan Paul., London.
  45. Jung CG (1980) : On the psychology of the Trickster-figure. C. W. 9-1,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46. Jung CG and Kerenyi C(1993) : Essays on a Science of Mytholo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