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eativity of the Unconscious and Religion : Focusing on Christianity

무의식의 창조성과 종교 : 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1.03.14
  • Accepted : 2011.06.03
  • Published : 2011.06.25

Abstract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creativity of unconscious and religion. Jung criticized how Freud's approach in studying the unconscious as a scientific inquiry focuses on the unconscious as reflecting only those which is repressed by the ego. Jung conceived of the unconscious as encompassing not only the repressed but also the variety of other psychic materials that have not reached the threshold of the consciousness in its range. Moreover, since human psyche is as individualistic as is a collective phenomenon, the collective psyche is thought to be pervasive at the bottom of the psychic functioning and the conscious and the personal unconscious comprising the upper level of the psychic functioning. Through clinical and personal experience, Jung had come to a realization that the unconscious has the self-regulatory function. The unconscious can make "demands" and also can retract its demands. Jung saw this as the autonomous function of the unconscious. And this autonomous unconscious creates, through dreams and fantasies, images that include an abundance of ideas and feelings. These creative images the unconscious produces assist and lead the "individuation process" which leads to the discovery of the Self. Because this unconscious process compensates the conscious ego, it has the necessary ingredients for self-regulation and can function in a creative and autonomous fashion. Jung saw religion as a special attitude of human psyche, which can be explained by careful and diligent observation about a dynamic being or action, which Rudolph Otto called the Numinosum. This kind of being or action does not get elicited by artificial or willful action. On the contrary, it takes a hold and dominates the human subject. Jung distinguished between religion and religious sector or denomination. He explained religious sector as reflecting the contents of sanctified and indoctrinated religious experiences. It is fixated in the complex organization of ritualized thoughts. And this ritualization gives rise to a system that is fixated. There is a clear goal in the religious sector to replace intellectual experiences with firmly established dogma and rituals. Religion as Jung experienced is the attitude of contemplation about Numinosum, which is formed by the image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at is propelled by the creativity and autonomy of the unconscious. Religious sector is a religious community that is formed by these images that are ritualized. Jung saw religion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best or the uttermost value. And this relationship has a duality of being involuntary and reflecting free will. Therefore people can be influenced by one value, overcome with the unconscious being charged with psychic energy, or could accept it on a conscious level. Jung saw God as the dominating psychic element among humans or that psychic reality itself. Although Jung grew up in the atmosphere of the traditional Swiss reformed church, it does not seem that he considered himself to be a devoted Christian. To Jung, Christianity is a habitual, ritualized institution, which lacked vitality because it did not have the intellectual honesty or spiritual energy. However, Jung's encounter with the dramatic religious experience at age 12 through hallucination led him to perceive the existence of living god in his unconscious. This is why the theological questions and religious problems in everyday life became Jung's life-long interest. To this author, the reason why Jung delved into problems with religion has to do with his personal interest and love for the revival of the Christian church which had lost its spiritual vitality and depth and had become heavily ritualized.

본 논문에서는 무의식의 창조성이 종교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그리스도교를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융은 인간의 무의식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려 했던 프로이트의 무의식관이 오직 자아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억압되어 있는 부문만을 포함하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무의식의 범위에는 억압된 내용뿐만 아니라 의식의 문턱값에 이르지 못한 모든 심리적 소재가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또한 인간 정신 역시 전적으로 개별적인 현상일 뿐 아니라 집단적 현상이기도 한 것이기에, 이러한 집단정신이 정신기능의 하부를 포괄하고 있고, 의식과 개인적 무의식은 정신기능의 상부를 포괄하는 것으로 보았다. 무의식은 자기조절의 기능을 지니고 있음을 융은 다양한 임상경험과 스스로의 체험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무의식은 '요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요구를 다시 거두어들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융은 무의식이 지닌 자율성으로 보았으며, 이처럼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무의식이 창조적으로 만들어내는 꿈이나 환상을 통한 상(像)들은 풍성한 관념뿐 아니라 감정을 포함하는 모든 것이다. 무의식의 이러한 창조적인 상들이 인간이 본래의 자기(Self)를 찾아나가는 '개성화의 과정'을 도와주고 이끌어나가는 것이다. 이처럼 자아의식을 보상하는 무의식의 과정은 전체 정신의 자가조절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지니고 있어 창조적인 방법으로 자율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융이 체험했던 종교란 바로 무의식의 창조성과 자율성에 의해 움직여지는 집단의식의 상들이 의식을 사로잡아 형성된 '누미노줌'에 대한 숙고의 자세이며, 종파란 바로 이러한 상(像)들이 제의(ritual)나 의식으로 굳어져 신앙 공동체로 형성된 것이다. 융은 종교를 최고, 혹은 가장 강력한 가치와의 관계로 파악하고, 이러한 관계는 양면적, 즉 자유의지에 의한 것이기도 하고 불수의적인 것이기도 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사람들은 하나의 가치, 즉 어떤 에너지가 부하된 정신적 요소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사로잡힐 수도 있고, 혹은 그것을 의식적으로 수용할 수도 있게 된다. 융은 인간 속에서 최대의 세력을 갖고 있는 압도하는 정신적 요소, 또는 그러한 심리학적 사실이 신(神)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았다. 융은 어린 시절부터 스위스 개혁교회의 전통적인 분위기에서 자랐지만 자신을 헌신적인 그리스도교인 으로 생각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에게 다가온 기독교는 지적(知的) 정직성도 부족했고 영적인 활력도 부족한 생명력이 사라진 습관적이고 관례적인 한 기관일 뿐이었다. 융은 12살 때 자신의 환상을 통해 만났던 극적인 종교적인 체험을 통해서 자신의 무의식 안에 살아있는 신의 존재를 인식했기에, 일생을 통해 끊임없는 신학적인 질문과 삶 안에 얽혀있는 종교적 문제들과 대면했다. 이는 분명히 제도화된 그리스도교의 소생을 위한 융 자신의 개인적인 관심이고 사랑이었음을 이 논문에서 밝혀보려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기(2003) : ≪종교심리학≫, 학지사, 서울.
  2. 김웅태(2001) : ≪종교의 현대적 적응≫, 가톨릭대학교출판부, 서울.
  3. 김승혜(1995) : ≪종교학의 이해≫, 분도출판사, 왜관.
  4. 게라르두스 반 델 레에우, 손봉호. 길희성 옮김(1995) : ≪종교현상학 입문≫, 분도출판사, 왜관.
  5. 귄터 란츠콥스키, 박태식 옮김(1997) : ≪종교사 입문≫, 분도출판사, 왜관.
  6. 귄터 보르캄, 허혁 역(1996) : ≪바울, 그의 생애와 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서울.
  7. 루돌프 옷토, 길희성 옮김(2009) : ≪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 왜관.
  8. 스탠리 B. 매로우, 안소근 옮김(2000) : ≪바오로 서간과 신학≫, 바오로딸, 서울.
  9. 엘리아데, 이은봉 옮김(2000) : ≪종교형태론≫, 한길사, 서울.
  10. 윌리엄 제임스, 김재영 옮김(2000) :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사, 서울.
  11. 윌프레드 스미스, 길희성 옮김(1997) : ≪종교의 의미와 목적≫, 분도출판사, 왜관.
  12. 융(2001) : "실제 정신치료의 기본원칙",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솔, 서울.
  13. 융 (2002) : "아니마 개념을 중심으로 본 원형에 대하여", ≪원형과 무의식≫, 솔, 서울.
  14. 융 (2004) : "전이의 심리학", ≪인격과 전이≫, 솔, 서울.
  15. 융 (2008) : "심리학과 종교",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 서울.
  16. 융 (2008) : "미사에서의 변환의 상징",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 서울.
  17. 융 (2008) : "욥에의 응답",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 서울.
  18. 존 오도넬, 박종구 옮김(2008) : ≪삼위일체 하느님의 신비≫, 가톨릭출판사, 서울.
  19. 주교회의 성서위원회(2005) : ≪성 경≫,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서울.
  20. 정양모(2000) : ≪위대한 여행≫, 생활성서사, 서울.
  21. 크리스찬 베커, 장상 옮김(2004) : ≪사도 바울≫, 한국신학연구소, 서울.
  22. Clift, W(2000) : Jung and Christianity,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New York.
  23. Jung CG(1921/1990) : CW 7, Psychological Typ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24. Jung CG (1959) : "Christ, A Symbol of the Self", CW 9/2 Aion, pp.36-71,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25. Jung CG (1969) : "A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Trinity", CW 11, Psychology and Religion: West and Ea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26. Stein M(1999) : Jung on Christian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