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dentity of scape for Historical city, Gyeongju II - With a characteristic of landscape elements of Gyeongju in unified Silla period by Computer Graphic -

역사도시 경주의 경관정체성에 관한 연구 II - C.G.를 이용한 통일신라시대 경주의 경관요소 특성 연구를 통한 경관정체성 규명을 중심으로 -

  • 홍사철 (서라벌대학 건축리모델링과)
  • Received : 2011.04.22
  • Accepted : 2011.05.09
  • Published : 2011.06.25

Abstract

Urban scape of Gyeongju is overlapped by periods. So, a study of each Periodical urban scape is required to understanding the present urban scape. All it requires study is on account of different a characteristic and the meaning of the scape. Especially, unified Silla period was most flourished in all time, has Abundant image of urban scape, heavily influences present urban scape. The research was proceeded through the classifying the concept of Urban form and the basic ideology and adopting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at that time with the literatures and maps, on Unified Silla Period. And then tried to find out the identity of landscape with the link between the concepts of the representative landscape and that of Urban form in chronological order. The identity of historical landscape in Gyeongju on Unified Silla Period from the result of research has been influenced on by the connection with natural environment, urban form revealed by grid, space organized by vigorously heading up the inside, and Buddhistic ideology and esthetics.

Keywords

References

  1. 민덕식, 신라왕경의 도시계획에 관한 시고(상,하), 사총 제35,36집, 고려대학교 사학회
  2. 윤무병, 신라왕경의 방제, 두계 이병도박사 구순기념논문집, 1987
  3. 이근직, 신라왕경의 성립과 전개, 건축역사연구 제15권 4호, 2006년 10월
  4. 김경대, 신라왕경 도시계획 원형탐색과 보존체계설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7
  5. 김한배, 우리도시의 얼굴 찾기, 태림문화사, 1998
  6. 이근우, 신라의 도성과 일본의 도성, 신라문화 26집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2005
  7. 박태우, 통일신라시대의 지방도시에 관한 연구, 백제문화 제18집, 충남대학교, 1987
  8. 이규목, 도시 상징성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9. 이기봉, 신라왕경의 범위와 구역에 대한 지리적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0. 田中俊明, 이병도 역, 신라중대 있어서의 왕경과 사원, 신라왕경연구, 1995
  11. 이주형, 도시 형태론, 보성각, 2001
  12. Kevin Lynch, 한영호, 정진우역, The Image of the City, 광문각,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