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s of Performance Based Pay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초등교사와 초등보건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 Received : 2011.12.05
  • Accepted : 2011.12.2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improvements on performance-based pay's evaluation method of health teachers. Methods: For subjects, 200 teacher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200 health teacher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were conveniently sampled, and then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to recognize recognition of teachers working under the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 which was quoted in the questionnaire of Choi ji-hye (2005) and Lee mi-gyeong (2008). Inquiry for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evaluation of health teacher's performance-based pay system and improvements on the performance-based pay's evaluation method of health teachers were used after consultation with five incumbent health teachers and a review with the thesis director. Results: The performance-based pay's evaluation method of health teachers has the same method with general teachers in schools, so it is not fai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ealth teachers. The ways to improve the performance-based pay evaluation method of health teachers is as follows: first, the approval on improving 'the number of class hours' which is a detailed item of a teacher's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on to 'the number of health lesson hours per week and the number of students visiting the school infirmary per week'; second, improving 'life guidance' into 'counseling results of medically-treated students, parents of students and personal hygiene guidance'; third, improving 'a teacher in charge' into 'awarding of points by being recognized as a health teacher in charge of all students and considering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region,; forth, improving 'difficulty of position' into 'the number of health-teacher's annual promotion task items and the treatment number of issuing and receiving of official documents', and improving the 'task difficulty' into 'importance and urgency of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risk level and urgency of infectious diseases and avoiding work in charge' appeared to be more than 90%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of teachers being carried out every year should be executed by preparing fair evaluation criteria suitable for task properties and the role of health teachers with different evaluation criteria compared to general teachers.

Keywords

References

  1. 경기신문(2010.12.07). 보건교사 성과급 기준 형평성 논란.
  2. 교육인적자원부(2001).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3. 교육인적자원부(2002).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4. 교육인적자원부(2003).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5. 교육인적자원부(2004).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6. 교육인적자원부(2005).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7. 교육인적자원부(2006). ′06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8. 교육인적자원부(2007). '07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9. 교육과학기술부(2008). '08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지침.
  10.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9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평가기준.
  11. 교육과학기술부(2009). 교원 성과상여금 오해에서 이해까지.
  12.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0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 지침.
  13.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 지침.
  14. 교육과학기술부(2011. 2.11). 2011년 교육공무원 성과상여금 지급 방안 확정 발표 보도자료.
  15. 김미정, 유수정(2007). 교원 성과급 정책 인식에 관한 사례연구. 교육연구논총, 28 (2), 147-164.
  16. 김영두(2009). 교원성과급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성과급제도 개혁을 위한 공무원 . 교원 공동 정책토론회. 4.1. 영등포 전교조.
  17. 김태일(2000.12). 교원 처우개선의 합리적 방안 연구: 교원보수체계 개편의 세부 실천 방안 마련. 교육부 정책연구 보고서.
  18. 김혁동, 김지은, 구자원, 민희자(2009). 효과성과 공정성을 통하여 살펴본 교원성과급 제도. 성과급제도 개혁을 위한 공무원 ․ 교원 공동 정책토론회. 4.1. 영등포 전교조.
  19. 김혜정(2002). 교원 성과급 제도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 남정걸(2006).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제 4판. 교육과학사.
  21. 박균열(2009). 옹호연합모형(ACF)을 활용한 교원성과급 정책변동 분석. 한국교육, 36 (1), 217-242.
  22. 박창화(2010). 성과급제도의 발달에 관한 행정사적 고찰: 교원성과 급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사학지, 27, 55-79
  23. 서원준(2007). 교원성과급 제도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효율적 운영방안.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군산.
  24. 신상명(2001). 교원성과급의 쟁점과 과제. 2001 한국교육평론, KEDI 연구보고서.
  25. 신상명(2009). 교원성과상여금제도의 운영 및 성과에 대한 평가. 제 56차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6. 엄준용(2003). 교원 성과급제도의 동기부여 효과. 고려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서울.
  27. 이미경(2008). 교원 성과급 제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성취동기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부산.
  28. 이상기, 옥장흠(2010). 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형설출판사, 381- 386.
  29. 이선교(2006).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원성과급제도 인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기.
  30. 이응재(2003). 교원 성과급 보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31. 이종수, 윤영진(2005). 새 행정학. 대영문화사, 145-160.
  32. 이지영(2008). 교원 성과급제도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전주교육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33. 이화섭(2003). 교육공무원의 성과급제도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4. 이쌍철, 홍창남(2008). 교원성과급 정책집행의 순응 및 불응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6 (4), 217-240.
  35. 전제상(2001). 교원평가와 교원성과금. 교육이론과 실천, 11 (2), 143-186.
  36. 전제상(2010). 교원성과상여금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한국교원교육연구, 27 (30), 69-91.
  37. 정수진(2009). 교원 성과급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8. 진동섭, 이윤식, 김재웅(2011). 교육행정 및 학교경영의 이해. 교육 과학사, 244-246.
  39. 최준호, 하미승, 강인호, 권용수, 황성원(2005). 공무원성과상여금 제도 정착방안에 대한 연구: 교육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9 (4), 47-66.
  40. 최지혜(2005). 교원 성과급제도와 교원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41. 하봉운(2005). 교사성과급 지급을 위한 교사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반응 분석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3 (1), 239-259.
  42. 한지민(2010). 교원성과급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43. 함종철(2010). 충청북도 초등학교 교원성과급 지급 방식 및 기준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주.
  44. Fred C. Lunenburg, & Allan C. Ornstein. (2004).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cepts and practices, 4th ed. 129, Delmont CA: Wadsw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