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재한 중국 조선족과 한족 유학생의 건강증진행위

A Comparison of Health-promoting Behavior of Han-Chinese to Korean-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투고 : 2011.04.21
  • 심사 : 2011.06.22
  • 발행 : 2011.06.30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 of Han-Chinese to Korean-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Methods: Subjects were 111 Han-Chinese and 105 Korea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January 5 to May 30, 2009. The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Chinese students was 2.55, 2.49 for Korean-Chinese students and 2.61 for Han-Chinese students. The mean score of health-promoting behavior of Korean-Chinese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Han-Chinese group (t=2.048, p=.04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e mean score of health-promot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2.019, p=.046) in Han-Chinese student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motivation for studying abroad (t=2.732, p=.033) in Korean-Chinese students. Conclusion: Health-promot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both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students by consider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Korean-Chinese may be targeted as a priority group for promoting health behaviors.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수영, 장수미(2010).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 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399-421.
  2. 김준호(2006).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해.
  3. 김준호(2006).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해.
  4. 김희경(2007).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의 성별비교 분석. 교육연구, 21 (1), 198-219.
  5. 나동석, 강석화(2010).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문화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 (7), 21-46.
  6. 박성주(2002). 중국에 거주한 한국인 유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미혼 남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7. 박연숙(2009). 한국 일부 대학생과 재한 중국 유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영향 요인.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8. 박인숙, 김란, 박명희(2007).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 (2), 203-211.
  9. 서지연(2009).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완주군.
  10. 손신(2010). 중국유학생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주.
  11. 안현옥(1999). 중국 연변 지역 조선족 및 한족의 건강수준인식과 생활양식간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2. 야노미찌코(2002). 재한 일본 유학생의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3. 왕페이(2008). 주한 중국 유학생들의 음주형태에 관한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14. 이신애(2005). 일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신체조성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15. 이신애(2005). 일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신체조성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공주.
  16. 임인숙(2008). 중국 조기유학생의 유학생활 실태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보호요인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17. 임춘희(2009).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문화에서의 스트레스와 적응. 한국생활과학회지, 18 (1), 93-112.
  18. 조순영, 이인숙, 함영림, 김주형(2006). 일부 간호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SAT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2 (1), 78-85.
  19. 최금해(2008).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학교생활과 사회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0 (1), 115-138.
  20. 출입국 . 외국인정책본부(2010). 유학생 현황 [Online]. Available:. http://www.moj.go.kr/HP/TIMM/imm_06/imm_60502.jsp [2010, May 4]
  21. 허은희, 정연강, 엄순교(1998).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1 (2), 203-215.
  22. 허춘영(1999). 재한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과 정신건강 실태: 한족, 조선족 유학생간의 비교.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3. 황유진(2009). 여성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구.
  24. 황해연(2007). 재한 중국 유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와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5. Milio, N. (1986). Promoting health through public policy. Ottwa, Canadi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6. Pender, N. J., & Pender, A. R.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Conn: Appleton & Lange.
  27.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 Res, 36 (2), 7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