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cribing Superfluous Gastroprotective Agents: an Indicator of Polypharmacy

불필요한 소화기관용 약제의 처방: 다제처방의 요인

  • Cho, E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
  • Kim, Su-Kyeong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 조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김수경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Received : 2011.03.15
  • Accepted : 2011.06.1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서론: 본 연구는 불필요한 소화기관용 약제의 처방이 한국에서의 처방전 당 약물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과의 연관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한 자료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처방전 데이터와 환자의 기타 모든 의료보험 청구데이터를 이용하였고, 두 데이터셋을 연결하여 처방전들을 소화기관용 약제의 필요성에 따라 소화기관질환 그룹, 관절염질환 그룹,소화기관용 약제 처방이 불필요할 것으로 그 외 질환 그룹으로 구분, 분리하였다. 결과: 처방전 당 약물의 평균 개수의 분포는 세 그룹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관절염질환 그룹과 그 외 질환 그룹의 거의 절반 이상은 한 개의 소화기관용 약제를 포함하였다. 세 그룹 모두 처방전 당 약물 개수와 처방전 당소화기관용 약제의 개수가 1차 선형관계를 보였다. 그 외 질환 그룹에서는 처방전 당 전체 약물이 평균 6개를 넘는 경우, 적어도 한 개의 소화기관용 약제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불필요한 소화기관용 약제를 처방하는 것은 다제처방의 매우 유의한 예측인자임을 보였다. 결론: 향후, 약제 처방전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약물을, 특히 소화기관용 약제를, 처방 시 약제의 불가피한 필요성에 대해 판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Fulton MM, Allen ER. Polypharmacy in the elderly: a literature review. J Am Acad Nurse Pract 2005; 17: 123- 132. DOI: 10.111/j.1041-2972.2005.0020.x.
  2. Jones BA. Decreasing polypharmacy in clients most at risk. AACN Clin Issues 1997; 8: 627-634. https://doi.org/10.1097/00044067-199711000-00014
  3. Ziere G, Dieleman JP, Hofman A, Pols HA, van der Cammen TJ, Stricker BH. Polypharmacy and falls in the middle age and elderly population. Br J Clin Pharmacol 2006; 61: 218-223. DOI: 10.1111/j.1365-2125.2005.02543.x.
  4. Willey CJ, Andrade SE, Cohen J, Fuller JC, Gurwitz JH. Polypharmacy with oral antidiabetic agents: an indicator of poor glycemic control. Am J Manag Care 2006; 12: 435-440.
  5. Lee JS, Lee JE, Jung KY, et al., Polypharmacy and inappropriate drug prescrip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J Korean Acad Fam Med 2008; 29: 925-931.
  6. Kim S. An analysis of effects by delisting non-ethical gastro-intestinal drugs. In College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8.
  7. Cho HJ, Kim CB. Prescription behaviours of office-based doctors to standardized common cold patients in Korea. Pharmacoepidemiol Drug Saf 2002; 11: 401-405. DOI: 10.1002/pds.718.
  8. Byeon JJ. Prescription of digestive system drugs to the patients with no digestive symptoms. J Korean Acad Fam Med 1997; 18: 78-84.
  9. Viktil KK, Blix HS, Moger TA, Reikvam A. Polypharmacy as commonly defined is an indicator of limited value in the assessment of drug-related problems. Br J Clin Pharmacol 2007; 63: 187-195. DOI: 10.1111/j.1365-2125.2006.02744.x.
  10. Chong SA, Ravichandran N, Poon LY, Soo KL, Verma S. Reducing polypharmac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treatment algorithm: use of a treatment algorithm on the impact on polypharmacy. Ann Acad Med Singapore 2006; 35: 457-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