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 Educational Aspiration, and Family's Social-Economic Status

인터넷, 교육열망,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

  • 정재기 (숭실대학교 정보사회학과)
  • Received : 2011.10.28
  • Accepted : 2011.11.17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amily background and educational aspiration of adolescents affect the usage pattern of internet among adolescents. Recently, the focus of studies on digital divides shifts from the gap in the access to the internet to the difference in usage pattern of internet. Building on these studies,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cerns that the difference in usage pattern of internet among adolescents potentially lead to the reproduction of social inequality across the generations. The analysis of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reveals that the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higher income level of parents, the children tend to spend more time in searching with the internet and spend less time in doing the internet game. The level of educational aspiration exerts similar effects on internet use of adolescent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effects of educational apsiration is larger among older adolesce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모들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청소년들의 교육열망이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근의 정보격차 관련연구들은 다양한 속성에 따른 구체적인 인터넷 이용형태의 차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형태의 차이가 세대간 불평등의 재생산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여, 부모의 지위에 따른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형태의 변이 원인을 교육열망의 기제를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청소년패널조사(KYPS)를 무작위효과모형 (random effect model)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사회 경제적 지위가 높 수록, 정보지향적 인터넷 활동빈도는 증가하고, 오락지향적 인터넷 활동빈도는 감소한다. 청소년의 높은 교육열망 역시 정보지향적 이용을 증가시키고, 오락지향적 이용을 감소시킨다. 교육열망의 매개효과는 정보지향적 이용에서 더욱 뚜렷하며, 교육열망의 효과는 청소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연구의 함의와 한계가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