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후변화가 도시배수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n Urban Drainage System

  • 강나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김수전 ;
  • 이건행 (국립환경과학원) ;
  • 김덕길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곽재원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노희성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투고 : 2011.09.12
  • 심사 : 2011.11.23
  • 발행 : 2011.12.31

초록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전지구적인 지구온난화는 대형 태풍의 발생, 집중호우의 증가 등 기존의 기후 특성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로 말미암아 자연재해의 강도가 강해지고 있고, 인명과 재산피해가 대규모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미래 기후변화를 예측하고 도심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대상지역으로는 배수 관거의 용량 초과로 인해 상습적으로 침수가 발생하는 인천광역시 계양구 일대를 선정하였다. 먼저,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기후모형들을 검토하여 적정 기후시나리오와 기후모형을 선정하고, 수집한 강우자료를 시간단위로 축소한 뒤 미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확률강우량을 구하였다. 미래 증가하는 확률강우량을 XP-SWMM모형에 적용해 도시배수시스템의 홍수유출량을 산정 하였는데, 대상지역에 월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recent decade, the occurrences of typhoon and severe storm events are increasing trend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 is more and more stronger and the loss of life and damage of property are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urban drainage system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natural disaster and for this, we selected Gyeyang-gu, Incheon city as a study area. We investigated the climate models and scenarios for the selection of proper model and scenario, then we estimated frequency based rainfall in hourly unit considering climate change. The XP-SWMM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future flood discharge on urban drainage system using the estimated frequency based rainfall. As a result, we have known that the study area will be overflown in the future and so we may need prepare proper measures for the flood prevention and control.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0) 1990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 연구조사 보고서 제 1권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2. 경민수, 이정기, 김형수(2009) 일 강우발생모형을 이용한 월 단위 GCM의 축소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 29권 5B호, pp. 441-452
  3. 권현한, 김병식, 김보경(2008)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한 Regional Climate Model 강수 계열의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28 No.5B, pp. 525-533
  4. 배덕효, 정일원, 이병주(2007) A2시나리오에 따른 국내 수자원의 변동성 전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 40권, 제 12권 pp. 921-930
  5. 김병식, 권현한, 김형수(2011) 기후변화가 가뭄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습지학회지, 제 13권 제 1호 pp. 1-11
  6. 김다은(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자원 분야의 취약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제 13권 제 1호 pp. 25-33
  7. 김수전(2011) 기후변화가 유역의 수자원 및 생태 서식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8. 경민수(2010) 기후변화가 표준강수지수 및 확률강수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9. 송창준(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배수시스템의 취약성 분석과 대응방안으로서 LID 기법 적용성 평가,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0. 송창우(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량의 지역 빈도해석,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1. Roald L.A., Skaugen,T.E., Beldring, S., Vaeringstad, T.,Engeset, R., and Forland, E.J.(2003) Scenarios if annual and seasonal runoff for Norway. European Geophysical Dociety, Vol. 5, 10395
  12. Stewart, I.T., Cayan, D.R., and Dettinger, M.D.(2005) Changes towards earlier streamflow timing across Western North America. Journal of climate 18:1136-1155. https://doi.org/10.1175/JCLI3321.1
  13. Andersson, L., Wilk, J., Todd, M.C., Hughes, D.A., Earle, A., Kniveton, D., Layberry, R., and Savenije, H.G.(2006) Impact of climate change 무 development scenarios on flow patterns in the Okavango River. Journal of Hydrology, Vol.331, pp. 43-57 https://doi.org/10.1016/j.jhydrol.2006.04.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