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ecipitation Change to the Groundwater Recharge

강수량 변화가 지하수함양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1.03.08
  • Accepted : 2011.09.15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and to analyze how the precipitation change can affect urban area and coastal area to groundwater recharge. The variation in the precipitation data of the regional groundwater basin, which includes Busan Metropolitan City Suyeong Gu area, was to estimate the change in the groundwater recharg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changes. Research result reflects that as the precipitation varied,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groundwater recharge. However, differences in the precipitation ratio and the groundwater recharge ratio were consistent. Variation in the precipitation had less impact on the groundwater recharge ratio, and the groundwater recharge ratio decreased as timeline increased. When the precipitation increased by 10 %, groundwater recharge changed by 2.23 %. Accordingly, when it decreased by 10 %, groundwater recharge changed by 2.20 %. When it increased by 20 %, groundwater recharge changed by 4.39 %, and when it decreased by 20 %, groundwater recharge changed by 4.36 %. Despite the dramatic changes in the precipitation, the changes in the groundwater recharge were minimal. From the research, we can observe that the precipitation chan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atio, but it doesn't really affect the groundwater recharge. Therefore, in urban area, the changes in groundwater recharge don't conform to the changes in the precipitation, and the effect of direct runoff can increase the possible occurrence of urban flooding.

강수량변화가 도시 및 해안지역의 지하수함양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포함하는 광역 지하수유역에 강수량자료를 변화시켜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고 강수량증감에 따른 지하수함양량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수량 증감에 따라 지하수함양량의 증감량은 차이가 있으나 강수량과 지하수함양량의 변화 양상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수량의 변화에 대한 지하수함양률의 변화폭이 최근으로 올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함양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강수량 변화 시의 지하수함양량의 전체 평균 변화율은 강수량이 10 % 증가 시에는 2.23 %, 10 % 감소 시에는 2.20 %, 20 % 증가 시에는 4.39 %, 20 % 감소 시에는 4.36 %로 강수의 변화율에 비하여 지하수함양량은 적은 변화율을 보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강수량의 변화율에 비하여 지하수함양률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지역에서 강수량이 변화할 시에는 지하수함양량의 변화율이 이에 미치지 못함으로 직접유출에 미치는 영향이 그 양만큼 커지게 되어 도시홍수의 발생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다은, 정용, 박무종, 윤재영, 김상단, 최민하. 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자원 분야의 취약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3(1): 25-33.
  2. 김병식, 권현한, 김형수. 2011. 기후변화가 가뭄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습지학회지 13(1): 1-11.
  3. 김병식, 윤석영. 2008. 이상기후에 대비한 수자원 분야의 대응 -이상기후대비 시설기준강화 연구단의 3년 간 성과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지 56(2): 13-21.
  4. 김승. 2008. 기후변화와 수자원의 안정적 확보방안. 춘천물포럼.
  5. 김영란, 김갑수.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서울시 물관리 전략. SDI 정책리포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0): 1-20.
  6. 류문현, 장석원, 박두호. 2011. 기후변화와 가뭄: 물의 잠재가격 및 피해 추정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3(2): 209-218.
  7. 배상근. 2005. 지하수함양량 산정을 위한 NRCS-CN방법의 적용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6B): 425-430.
  8. 이승현, 배상근. 2010. 도시화에 의한 장기 지하수 함양량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9(6): 779-785.
  9. 이용준, 박종윤, 박민지, 김성준. 2008. SWAT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I).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8(6B): 653-663.
  10. 이자원. 2010. 우리나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해에 대한 적응기법 개발 동향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4): 635-648.
  11. Aguilera, H,. Murillo, J. 2009. The effect of possible climate change and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based on a simple model: a study of four karstic aquifers in SE Spain. Environmental Geology, 57(3):963-974. https://doi.org/10.1007/s00254-008-1381-2
  12. Alley, W.M., Reilly, T.E., Franke, O.I. 1999. Sustainability of groundwater resources.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186, pp. 79.
  13. Aron, G., Miller, A. and Laktos, D. 1977. Infiltration Formula Based on SCS Curve Number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 Div. ASCE 103(IR4): 419-427.
  14. Elisabeth, M. H. and Nicole, G. 2009. Urban from and climate change: balancing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the US and Australia. Habitat International 33: 238-245.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08.10.005
  15. Green, T.R., Bates, B.C., Charles, S.P., Fleming, P.M. 2007. Physically based simulation of potential effects of carbon dioxide altered climates on groundwater recharge. Vadose Zone Journal 6(3): 597-609. https://doi.org/10.2136/vzj2006.0099
  16. Hjelmfelt, A. T. 1980. Curve Number Procedures as Infiltration Method. Journal of Hydraulic. Div. ASCE 106(HY 6): 1107-1111.
  17. Holman, I.P. 2006. Climate change impacts on groundwater recharge - uncertainty, shortcomings, and the way forward?. Hydrogeological Journal 14(5): 637-647. https://doi.org/10.1007/s10040-005-0467-0
  18. http://www.kma.go.kr
  19. http://www.wamis.go.kr/main.aspx
  20. IPCC, 2006.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IPCC 2006), IGES, Japan.
  21. McEvoy, D., Lindley, S., and Handley, J. 2006.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urban areas: synergies and conflicts.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159(4): 185-192. https://doi.org/10.1680/stbu.2006.159.4.185
  22. Sandstrom, K. 1995. Modeling the effects of rainfall variability on groundwater recharge in semi-arid Tanzania. Nordic Hydrology 26: 313-330.
  23. Vaccaro, J.J. 1992. Sensitivity of groundwater recharge estimates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Columbia Plateau, Washingt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7(D3): 2821-2833. https://doi.org/10.1029/91JD01788
  24. Wolderamlak, S.T., Batelaan, O., De Smedt, F. 2007.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undwater system in the Grote-Nete catchment, Belgium. Hydrogeological Journal 15(5): 891-901. https://doi.org/10.1007/s10040-006-0145-x